문제검색

본문 바로가기

문제검색

검색을 해주세요. 현재는 전체 문제가 보여지고 있습니다.

17. 상황학습(situated learning)의 설계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지식이나 기능은 유의미한 맥락 안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교실에서 학습한 것과 교실 밖에서 필요로 하는 것의 관계 형성을 돕는다.

전이(transfer)를 촉진할 수 있도록 추상적인 형태의 지식을 제공한다.

다양한 사례를 활용하여 능동적인 문제해결을 유도한다.

정답보기

16. 사회인지이론에서 주장하는 관찰학습의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파지단계 → 재생단계 → 동기화단계 → 주의집중단계

주의집중단계 → 파지단계 → 재생단계 → 동기화단계

동기화단계 → 주의집중단계 → 파지단계 → 재생단계

재생단계 → 주의집중단계 → 동기화단계 → 파지단계

정답보기

15. 조선시대 성균관 유생의 출석 확인을 위한 방식은?

학교모범(學校模範)

원점법(圓點法)

탕평책(蕩平策)

학교사목(學校事目)

정답보기

14. 형태주의 심리학(Gestalt psycholog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학습자는 세상을 지각할 때 외부자극을 단순히 합하는 것 이상의 작업을 수행한다.

문제 장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요소의 관계를 파악하는 통찰에 주목한다.

학습은 인지구조의 변화가 아니라 행동의 변화를 나타낸다.

쾰러(W. K?hler)의 유인원 실험은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정답보기

13. 인지주의 학습전략 중 기존에 가지고 있던 정보를 새로운 정보에 연결하여 정보를 유의미한 형태로 바꾸는 것은?

정적 강화

부적 강화

체계적 둔감화

정교화

정답보기

12. 학교교육의 기능을 보는 관점이 다른 것은?

학교는 불평등한 경제적 구조를 재생산한다.

학교의 문화전달과 사회통합적 기능을 높이 평가한다.

학교는 능력에 맞게 인재를 사회의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데 기여한다.

학교교육의 사회화 기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정답보기

11. “학교의 시설, 교사의 자질, 교육과정 등의 측면에서 학교 간의 차이가 없어야 한다.”라는 관점에 해당하는 것은?

교육기회의 허용적 평등

장학금 제도

교육조건의 평등

대학입학특별전형제도

정답보기

10. 학생이 사전에 온라인 등으로 학습내용을 공부해 오게 한 후 학교 수업에서는 문제해결이나 토론 등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는 수업 형태는?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탐구수업

토론수업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

정답보기

9. 코메니우스(J. A. Comenius)의 교육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전(古典)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전달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감각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교육을 이끌어가는 방법상의 원리를 자연에서 찾는다.

수업에서는 사물이 사물에 대한 언어보다 앞서야 한다.

정답보기

8. 실존주의 교육철학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교육의 목적은 자유롭고 주체적이며 창조적인 인간형성에 있다.

교육은 자기결정적인 자아의 형성을 위한 것이다.

교육에서는 인간적인 만남이 중요하다.

인간의 본질을 규격화된 것으로 이해한다.

정답보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가로수등대길 2200225500-205
Tel 02-0000-0000 Fax 02-0000-0000
Copyright ⓒ item.bumup.net.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