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검색
17. 상황학습(situated learning)의 설계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식이나 기능은 유의미한 맥락 안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② 교실에서 학습한 것과 교실 밖에서 필요로 하는 것의 관계 형성을 돕는다.
③ 전이(transfer)를 촉진할 수 있도록 추상적인 형태의 지식을 제공한다.
④ 다양한 사례를 활용하여 능동적인 문제해결을 유도한다.
정답보기16. 사회인지이론에서 주장하는 관찰학습의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파지단계 → 재생단계 → 동기화단계 → 주의집중단계
② 주의집중단계 → 파지단계 → 재생단계 → 동기화단계
③ 동기화단계 → 주의집중단계 → 파지단계 → 재생단계
④ 재생단계 → 주의집중단계 → 동기화단계 → 파지단계
정답보기14. 형태주의 심리학(Gestalt psycholog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학습자는 세상을 지각할 때 외부자극을 단순히 합하는 것 이상의 작업을 수행한다.
② 문제 장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요소의 관계를 파악하는 통찰에 주목한다.
③ 학습은 인지구조의 변화가 아니라 행동의 변화를 나타낸다.
④ 쾰러(W. K?hler)의 유인원 실험은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정답보기13. 인지주의 학습전략 중 기존에 가지고 있던 정보를 새로운 정보에 연결하여 정보를 유의미한 형태로 바꾸는 것은?
① 정적 강화
② 부적 강화
③ 체계적 둔감화
④ 정교화
정답보기12. 학교교육의 기능을 보는 관점이 다른 것은?
① 학교는 불평등한 경제적 구조를 재생산한다.
② 학교의 문화전달과 사회통합적 기능을 높이 평가한다.
③ 학교는 능력에 맞게 인재를 사회의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데 기여한다.
④ 학교교육의 사회화 기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정답보기11. “학교의 시설, 교사의 자질, 교육과정 등의 측면에서 학교 간의 차이가 없어야 한다.”라는 관점에 해당하는 것은?
① 교육기회의 허용적 평등
② 장학금 제도
③ 교육조건의 평등
④ 대학입학특별전형제도
정답보기10. 학생이 사전에 온라인 등으로 학습내용을 공부해 오게 한 후 학교 수업에서는 문제해결이나 토론 등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는 수업 형태는?
①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② 탐구수업
③ 토론수업
④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
정답보기9. 코메니우스(J. A. Comenius)의 교육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전(古典)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전달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② 감각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③ 교육을 이끌어가는 방법상의 원리를 자연에서 찾는다.
④ 수업에서는 사물이 사물에 대한 언어보다 앞서야 한다.
정답보기8. 실존주의 교육철학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교육의 목적은 자유롭고 주체적이며 창조적인 인간형성에 있다.
② 교육은 자기결정적인 자아의 형성을 위한 것이다.
③ 교육에서는 인간적인 만남이 중요하다.
④ 인간의 본질을 규격화된 것으로 이해한다.
정답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