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검색
13. 막구조 및 케이블 구조의 허용응력 설계법에 따른 하중조합으로옳지 않은 것은?
① 고정하중+활하중+초기장력
② 고정하중+활하중+강우하중+초기장력
③ 고정하중+활하중+풍하중+초기장력
④ 고정하중+활하중+적설하중+초기장력
정답보기12. 강구조의 국부좌굴에 대한 단면의 분류에서 구속판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압연 H형강 휨재의 플랜지
② 압축을 받는 원형강관
③ 휨을 받는 원형강관
④ 휨을 받는 ㄷ형강의 웨브
정답보기11. 철근과 콘크리트의 재료특성과 휨 및 압축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설계가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철근은 설계기준항복강도가 높아지면 탄성계수도 증가한다.
② 콘크리트 압축응력 분포와 콘크리트변형률 사이의 관계는 직사각형, 사다리꼴, 포물선형 또는 강도의 예측에서 광범위한 실험의 결과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어떤 형상으로도 가정할 수 있다.
③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계수 β1의 범위는 0.65≤β1≤0.85이다.
④ 철근의 변형률이 fy에 대응하는 변형률보다 큰 경우 철근의 응력은 변형률에 관계없이 fy로 하여야 한다.
정답보기10. 조적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조적구조에서 기초의 부동침하는 조적 벽체 균열의 발생 원인이 될 수 있다.
② 보강조적이란 보강근이 조적체와 결합하여 외력에 저항하는 조적시공 형태이다.
③ 조적구조에 사용되는 그라우트의 압축강도는 조적개체의 압축강도의 1.3배 이상으로 한다.
④ 통줄눈으로 시공한 벽체는 막힌줄눈으로 시공한 벽체보다 수직하중에 대한 균열 저항성이 크다.
정답보기9. 조적구조의 벽체를 보강하기 위한 테두리보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초판 위에 설치하여 조적벽체의 부동침하를 방지한다.
② 조적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수직 균열을 방지한다.
③ 조적벽체 상부의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킨다.
④ 조적벽체를 일체화하여 벽체의 강성을 증대시킨다.
정답보기8. 콘크리트구조의 내진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진력에 의한 휨모멘트 및 축력을 받는 특수모멘트 골조에 사용하는 철근은 실제 항복강도에 대한 실제 극한인장강도의 비가 1.25 이상이어야 한다.
② 프리캐스트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일체식 구조물에서 요구되는 안전성 및 사용성에 관한 조건을 갖추고 있지 않더라도 내진구조로 다룰 수 있다.
③ 지진력에 의한 휨모멘트 및 축력을 받는 특수모멘트 골조에 사용하는 보강철근은 설계기준항복강도 fy가 전단철근인 경우 500MPa까지 허용된다.
④ 구조물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관련 구조전문가에 의해 설계되고 그 성능이 실험에 의해 검증된 진동감쇠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정답보기6. 목재의 기준 허용휨응력 Fb로부터 설계 허용휨응력 F′b을 결정하기위해서 적용되는 보정계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좌굴강성계수 CT
② 습윤계수 CM
③ 온도계수 Ct
④ 형상계수 Cf
정답보기5. 현장 말뚝재하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말뚝재하실험은 지지력 확인, 변위량 추정, 시공방법과 장비의적합성 확인 등을 위해 수행한다.
② 말뚝재하실험에는 압축재하, 인발재하, 횡방향재하실험이 있다.
③ 말뚝재하실험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정재하실험방법은 고려할 수 있으나, 동재하실험방법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④ 압축정재하실험의 수량은 지반조건에 큰 변화가 없는 경우 구조물별로 1회 실시한다.
정답보기4. 강구조의 용접접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플러그 및 슬롯용접의 유효전단면적은 접합면 내에서 구멍 또는 슬롯의 공칭단면적으로 한다.
② 그루브용접의 유효길이는 접합되는 부분의 폭으로 한다.
③ 그루브용접의 유효면적은 용접의 유효길이에 유효목두께를 곱한 것으로 한다.
④ 필릿용접의 유효길이는 필릿용접의 총길이에서 4배의 필릿 사이즈를 공제한 값으로 한다.
정답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