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검색
3.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콘크리트의 최소피복두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중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 80 mm
②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절판부재: 20mm
③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 80mm
④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로 D35 이하의 철근을 사용한 슬래브: 20 mm
정답보기2. 목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목재 단면의 수심에 가까운 중앙부를 심재, 수피에 가까운 부분을 변재라 한다.
② 목재의 단면에서 볼트 등의 철물을 위한 구멍이나 홈의 면적을 포함한 단면적을 순단면적이라 한다.
③ 기계등급구조재는 기계적으로 목재의 강도 및 강성을 측정하여 등급을 구분한 목재이다.
④ 육안등급구조재는 육안으로 목재의 표면결점을 검사하여 등급을 구분한 목재이다.
정답보기1. 토질 및 기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물에 포화된 느슨한 모래가 진동, 충격 등에 의하여 간극 수압이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에 전단저항을 잃어버리는 현상을 액상화 현상이라 한다.
② 온통기초는 상부구조의 광범위한 면적 내의 응력을 단일 기초판으로 연결하여 지반 또는 지정에 전달하도록 하는 기초이다.
③ 사질토 지반의 기초하부 토압분포는 기초 중앙부 토압이 기초 주변부보다 작은 형태이다.
④ 연약한 점성토 지반에서 땅파기 외측의 흙의 중량으로 인하여 땅파기 된 저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히빙(Heaving)이라 한다.
정답보기17. 콘크리트구조에서 용접철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냉간신선 공정을 통하여 가공되므로 연신율이 감소되어 큰 연성이 필요한 부위에 사용할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② 인장을 받는 용접이형철망은 정착길이 내에 교차철선이 없을 경우 철망계수를 1.5로 한다.
③ 겹침이음길이 사이에 교차철선이 없는 인장을 받는 용접이형 철망의 겹침이음은 이형철선 겹침이음길이의 1.3배로 한다.
④ 뚜렷한 항복점이 없는 경우, 인장변형률 0.002일 때의 응력을 항복강도로 사용한다.
정답보기16. 기초구조 및 지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2개의 기둥으로부터의 응력을 하나의 기초판을 통해 지반 또는 지정에 전달하도록 하는 기초는 연속기초이다.
②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지반의 최대저항력은 지반의 허용지지력이다.
③ 직접기초에 따른 기초판 또는 말뚝기초에서 선단과 지반 간에 작용하는 압력은 지내력이다.
④ 지지층에 근입된 말뚝의 주위 지반이 침하하는 경우 말뚝 주면에 하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은 부마찰력이다.
정답보기15. 강구조 H형단면 부재에서 플랜지에 수직이며 웨브에 대하여 대칭인 집중하중을 받는 경우, 플랜지와 웨브에 대하여 검토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단, 한쪽의 플랜지에 집중하중을 받는 경우이다)
① 웨브크리플링강도
② 웨브횡좌굴강도
③ 블록전단강도
④ 플랜지국부휨강도
정답보기14.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구조세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선단부는 지지층에 확실히 도달시켜야한다.
②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주근은 4개이상 또한 설계단면적의 0.25% 이상으로 하고 띠철근 또는 나선철근으로 보강하여야 한다.
③ 저부의 단면을 확대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측면경사가 수직면과 이루는 각이 30°를 초과할 경우, 전단력에 대해검토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④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을 배치할 때 그 중심간격은 말뚝머리 지름의 2.0배 이상 또한 말뚝머리 지름에 1,000 mm를 더한 값 이상으로 한다.
정답보기13. 보통모멘트골조에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철근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스트럿-타이모델에 따라 설계하지 않은 일반적인 보 부재로, 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는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강도의 2배 이하이며, d는 보의 유효깊이이다)
① 용접이형철망을 사용한 전단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600MPa를 초과할 수 없다.
② 부재축에 직각으로 배치된 전단철근의 간격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인 경우 d/2 이하 또한 600 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③ 종방향 철근을 구부려 전단철근으로 사용할 때는 그 경사길이의 중앙 3/4만이 전단철근으로서 유효하다.
④ 경사스터럽과 굽힘철근은 부재의 중간 높이에서 반력점 방향으로 주인장철근까지 연장된 30°선과 한 번 이상 교차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보기12. 설계지진 시 큰 횡변위가 발생되도록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 설치하는 수평적으로 유연하고 수직적으로 강한 구조요소는?
① 능동질량감쇠기
② 동조질량감쇠기
③ 점탄성감쇠기
④ 면진장치
정답보기11. 등가정적해석법에 의한 내진설계에서 밑면전단력 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반응수정계수가 클수록 밑면전단력은 감소한다.
② 건축물 중요도계수가 클수록 밑면전단력은 감소한다.
③ 건축물 고유주기가 클수록 밑면전단력은 감소한다.
④ 유효건물중량이 작을수록 밑면전단력은 감소한다.
정답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