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검색

본문 바로가기

문제검색

검색을 해주세요. 현재는 전체 문제가 보여지고 있습니다.

3.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EBCDIC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확장 이진화 10진 코드로 BCD 코드를 확장한 것이다.

특수 문자 및 소문자 표현이 가능하다.

4비트의 존 부분과 4비트의 디지트 부분으로 구성된다.

최대 64개의 문자 표현이 가능하다.

정답보기

2. 다음 중 멀티미디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멀티미디어와 관련된 표준안은 그래픽, 오디오, 문서 등 매우 다양하다.

대표적인 정지화상 표준으로는 손실, 무손실 압축 기법을 다 사용할 수 있는 JPEG과 무손실 압축 기법을 사용하는 GIF가 있다.

MPEG은 Intel사가 개발한 동영상 압축 기술로 용량이 작고, 음질이 뛰어나다.

스트리밍이 지원되는 파일 형식은 ASF, WMV, RAM 등이 있다.

정답보기

1. 다음 중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조기억장치 같은 큰 용량의 기억 장치를 주기억장치 처럼 사용하는 개념이다.

주기억장치의 용량보다 큰 프로그램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주소 매핑(mapping)이라는 작업이 필요하다.

주기억장치의 접근 시간을 최소화하여 시스템의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정답보기

38. 다음 중 폼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컨트롤 마법사를 사용하여 폼을 닫는 매크로 함수를 실행하는 '명령 단추'를 삽입할 수 있다.

폼에서 연결된 테이블의 레코드를 삭제한 경우 영구적인 작업이므로 되돌릴 수 없다.

폼에 컨트롤을 삽입하면 탭 순서가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 순으로 자동 지정된다.

폼 디자인 도구를 이용하여 여러 컨트롤의 크기와 간격을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정답보기

37. 다음 중 폼에서 <Tab> 키를 누를 때 특정 컨트롤에는 포커스가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은?

'탭 인덱스' 속성을 '0'으로 설정한다.

'탭 정지' 속성을 '예'로 설정한다.

'탭 인덱스' 속성을 '-1'로 설정한다.

'탭 정지' 속성을 '아니오'로 설정한다.

정답보기

36. 다음 중 폼 작성 시 사용하는 컨트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레이블 컨트롤은 제목이나 캡션 등의 설명 텍스트를 표현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텍스트 상자는 바운드 컨트롤로 사용할 수 있으나 언바운드 컨트롤로는 사용할 수 없다.

목록 상자 컨트롤은 여러 개의 데이터 행으로 구성되며 대개 몇 개의 행을 항상 표시할 수 있는 크기로 지정되어 있다.

콤보 상자 컨트롤은 선택 항목 목록을 보다 간단한방식으로 나타내기 위해 드롭다운 화살표를 클릭하기 전까지는 목록이 숨겨져 있다.

정답보기

35. 다음 중 '일련 번호' 데이터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새로운 레코드 추가 시 자동으로 번호가 부여된다.

해당 데이터 필드에 값이 입력되면 일련 번호는 수정할 수 없다.

삭제된 일련 번호는 다시 부여되지 않는다.

일련 번호 형식의 필드 크기는 변경할 수 없다.

정답보기

34. 다음 중 두 테이블의 조인된 필드가 일치하는 행만 포함하여 보여주는 조인 방법은?

간접 조인

내부 조인

외부 조인

중복 조인

정답보기

33. 다음 중 각 데이터 형식에 맞는 쿼리의 조건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숫자 데이터 형식인 경우: >=2000 AND <=4000

날짜 데이터 형식인 경우: <"2019-07-17"

문자 데이터 형식인 경우: <>"성북구"

문자 데이터 형식인 경우: In ("서울","부산")

정답보기

32. 다음 중 요약 데이터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합계, 평균 등의 집계 함수를 계산한 다음 데이터시트의 측면과 위쪽에 두 세트의 값으로 그룹화하는 쿼리 유형은?

선택 쿼리

크로스탭 쿼리

통합 쿼리

업데이트 쿼리

정답보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가로수등대길 2200225500-205
Tel 02-0000-0000 Fax 02-0000-0000
Copyright ⓒ item.bumup.net.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