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을 해주세요. 현재는 전체 문제가 보여지고 있습니다.
26. 2μm이하의 점토함유률에 대한 소성지수와의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부피변화
② 선수축
③ 활성도
④ 군지수
정답보기
25.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흙의 입도 분석법은?
① 비중계법
② 피펫법
③ 침전법
④ 원심력법
정답보기
24.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함유량 시험방법이 아닌것은?
① 중량법
② 수주압력법
③ 계산법
④ 공기실압력법
정답보기
23. 유동곡선에서 타격 회수 몇회에 해당하는 함수비를 액성 한계로 하는가?
① 15회
② 20회
③ 25회
④ 30회
정답보기
22. 콘크리트 압축강도용 표준공시체의 파괴최대 하중이 37,100kgf일 때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약 얼마인가? (단, 표준공시체는 15x30cm 임)
① 52.5kgf/cm2
② 105kgf/cm2
③ 155kgf/cm2
④ 210kgf/cm2
정답보기
21. 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설계와 현장에 따른 품질관리를 위하여 행하는 시험은?
① 증발감량시험
② 용해도시험
③ 인화점시험
④ 안정도시험(마샬식)
정답보기
20.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은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얼마 이하인 경우 적용하는가?
① 200mm
② 150mm
③ 100mm
④ 50mm
정답보기
19.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량 시험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500g 시료를 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용량의 90% 까지 채운다음 교란시켜 기포를 모두 없앤다.
② 플라스크를 항온수조에 담가 23± 1.7℃의 온도로 조정후 플라스크, 시료, 물의 무게를 측정한다.
③ 잔골재를 플라스크에서 꺼낸다음 항량이 될 때까지 105± 5℃에서 건조시키고 실온까지 식힌후 무게를 단다.
④ 흡수량 시험은 3회 이상으로 하며, 측정값은 그 차가 0.5% 이하여야 한다.
정답보기
18. 흙의 비중 측정을 할 때 표준 온도는 몇도로 하는가?
① 0℃
② 4℃
③ 10℃
④ 15℃
정답보기
17. 흙의 수축한계 시험에서 수축접시 3개를 만들때 필요한 시료의 양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100gf
② 150gf
③ 200gf
④ 250gf
정답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