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검색
31. 재료에 인장과 압축하중을 오랜 시간 반복적으로 작용시키면 그 응력이 인장강도보다 작은 경우에도 파괴되는 현상은?
① 인성파괴
② 피로파괴
③ 취성파괴
④ 크리프파괴
정답보기30. 다음 중 폭발방지대책으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방폭성능 전기설비 설치
② 정전기 제거를 위한 접지
③ 압력계 설치
④ 폭발하한 이내로 불활성가스에 의한 희석
정답보기29. 아세틸렌을 용기에 충전 시 미리 용기에 다공물질을 채우는데 이때 다공도의 기준은?
① 75% 이상, 92% 미만
② 80% 이상, 95% 미만
③ 95% 이상
④ 98% 이상
정답보기28. 비중이 공기보다 커서 바닥에 체류하는 가스로만 나열된 것은?
① 염소, 암모니아, 아세틸렌
② 프로판, 수소, 아세틸렌
③ 프로판, 염소, 포스겐
④ 염소, 포스겐, 암모니아
정답보기27. 정전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습도가 낮을수록 정전기를 축적하기 쉽다.
② 화학섬유로 된 의류는 흡수성이 높으므로 정전기가 대전하기 쉽다.
③ 액상의 LP가스는 전기 절연성이 높으므로 유동 시에는 대전하기 쉽다.
④ 재료 선택 시 접촉 전위차를 적게 하여 정전기 발생을 줄인다.
정답보기25. 가스사용시설에서 원칙적으로 PE배관을 노출배관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지상배관과 연결하기 위하여 금속관을 사용하여 보호조치를 한 경우로서 지면에서20㎝ 이하로 노출하여 시공하는 경우
② 지상배관과 연결하기 위하여 금속관을 사용하여 보호조치를 한 경우로서 지면에서 30㎝ 이하로 노출하여 시공하는 경우
③ 지상배관과 연결하기 위하여 금속관을 사용하여 보호조치를 한 경우로서 지면에서 50㎝ 이하로 노출하여 시공하는 경우
④ 지상배관과 연결하기 위하여 금속관을 사용하여 보호조치를 한 경우로서 지면에서 1m 이하로 노출하여 시공하는 경우
정답보기24. 고압가스 배관의 설치기준 중 하천과 병행하여 매설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배관은 견고하고 내구력을 갖는 방호구조물 안에 설치한다.
②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2.5m 이상의 매설심도를 유지한다.
③ 하상(河床, 하천의 바닥)를 포함한 하천구역에 하전과 병행하여 설치한다.
④ 배관손상으로 인한 가스누출 등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때에 그 배관에 유입되는 가스를 신속히 차단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한다.
정답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