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검색
18. 가연성가스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누출 시 산소결핍에 의한 질식의 위험성이 있다.
②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이 높을수록 위험성이 커진다.
③ 폭발한계가 넓을수록 위험하다.
④ 폭발하한이 높을수록 위험하다.
정답보기15. 액화석유가스의 시설기준 중 저장탱크의 설치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천장, 벽 및 바닥의 두께가 각각 30cm 이상의 방수조치를 한 철근콘크리트구조로 한다.
② 저장탱크실 상부 윗면으로부터 저장탱크 상부까지의 깊이는 60cm 이상으로 한다.
③ 저장탱크에 설치한 안전밸브에는 지면으로부터 5m 이상의 방출관을 설치한다.
④ 저장탱크 주위 빈 공간에는 세립분을 25% 이상 함유한 마른 모래를 채운다.
정답보기14. 산소 저장설비에서 저장능력이 9,000m3 일 경우 1종 보호시설 및 2종 보호시설과의 안전거리는?
① 8m, 5m
② 10m, 7m
③ 12m, 8m
④ 14m, 9m
정답보기12. 액화가스를 운반하는 탱크로리(차량에 고정된 탱크)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탱크 내 액화가스 액면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은?
① 폭발방지장치
② 방파판
③ 압력방출장치
④ 다공성 충진제
정답보기11. 고압가스의 제조시설에서 실시하는 가스설비의 점검 중 사용개시 전에 점검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기초의 경사 및 침하
② 인터록, 자동제어장치의 기능
③ 가스설비의 전반적인 누출 유무
④ 배관 계통의 밸브 개폐 상황
정답보기10. 고압가스 제조시설에 설치되는 피해저감설비로 방호벽을 설치해야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압축기와 충전장소 사이
② 압축기와 가스충전용기 보관장소 사이
③ 충전장소와 충전용 주관밸브 조작밸브 사이
④ 압축기와 저장탱크 사이
정답보기9. 다음의 고압가스의 용량을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때 운반책임자를 동승시키지 않아도 되는 것은?
① 아세틸렌 : 400m3
② 일산화탄소 : 700m3
③ 액화염소 : 6500kg
④ 액화석유가스 : 2000kg
정답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