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검색
19. 압축 가연성가스를 몇 m3 이상을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는 때에 운반책임자를 동승시켜 운반에 대한 감독 또는 지원을 하도록 되어 있는가?
① 100
② 300
③ 600
④ 1000
정답보기16. 다음 운전 중의 제조설비에 대한 일일점검 항목이 아닌 것은?
① 회전기계의 진동, 이상음, 이상온도상승
② 인터록의 작동
③ 제조설비 등으로부터의 누출
④ 제조설비의 조업조건의 변동상황
정답보기15. 고압가스 특정제조의 플레어스택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가연성가스가 플레어스택에 항상 10%정도 머물 수 있도록 그 높이를 결정하여 시설한다.
② 플레어스택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이 다른 시설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안전한 높이와 위치에 설치한다.
③ 플레어스택에서 발생하는 최대열량에 장시간 견딜 수 있는 재료와 구조이어야 한다.
④ 파이롯트 버너를 항상 점화하여 두는 등 플레어스택에 관련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한다.
정답보기14. 고압가스 충전용기 파열사고의 직접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질소 용기 내에 5%의 산소가 존재할 때
② 재료의 불량이나 용기가 부식되었을 때
③ 가스가 과충전되어 있을 때
④ 충전용기가 외부로부터 열을 받았을 때
정답보기12. 차량에 고정된 탱크로부터 가스를 저장탱크에 이송할 때의 작업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부근에 화기의 유무를 확인한다.
② 차바퀴 전후를 고정목으로 고정한다.
③ 소화기를 비치한다.
④ 정전기제거용 접지코드를 제거한다.
정답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