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검색
20. 가스 도매사업의 가스공급시설 중 배관의 운전상태 감시장치가 경보를 울려야 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긴급 차단밸브가 폐쇄 시
② 배관 내 압력이 상용압력의 1.05배 초과 시
③ 배관 내 압력이 정상 운전 압력보다 10% 이상 강하 시
④ 긴급차단밸브 회로가 고장 시
정답보기18. 압축 또는 액화 그 밖의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가스의 용적이 1일 100m3 이상인 사업소는 표준 압력계를 몇 개 이상 배치해야 하는가?
① 1
② 2
③ 3
④ 4
정답보기17. LP GAS 사용 시 주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① 완전 연소 되도록 공기 조절기를 조절한다.
② 급배기가 충분히 행해지는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③ 사용 시 조정기압력은 적당히 조절한다.
④ 중간밸브 개폐는 서서히 한다.
정답보기13. LPG 용기 충전시설에서 설치되는 긴급차단 장치에 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저장탱크 외면에서 5m 이상 떨어진 위치에서 조작하는 장치를 설치한다.
② 기상 가스배관 중 송출배관에는 반드시 설치한다.
③ 액상의 가스를 이입하기 위한 배관에는 역류 방지밸브로 갈음할 수 있다.
④ 소형 저장탱크에는 의무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정답보기12. 굴착으로 주위가 노출된 일반 도시가스 사업자 도시가스 배관(관경이 100㎜ 미만인 저압배관은 제외)으로서 노출된 부분의 길이가 100㎜ 이상인 것은 위급 시 신속히 차단할 수 있도록 양 끝으로부터 몇 m 이내에 차단장치를 설치해야 하는가?
① 200㎜
② 300㎜
③ 350㎜
④ 500㎜
정답보기11. 국내 일반가정에 공급되는 도시가스(LNG)의 발열량은 약 몇 Kcal/m3인가?
① 11,000Kcal/m3
② 25,000Kcal/m3
③ 40,000Kcal/m3
④ 54,000Kcal/m3
정답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