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검색
29. 흙의 비중시험을 할 때 비중병에 시료를 넣고 끓이는 이유는?
①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② 증류수의 온도를 보정하기 위하여
③ 공기 중 건조시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④ 메니스커스에 의한 오차를 적게 하기 위하여
정답보기27.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을 위한 공시체를 제작할 때 콘크리트는 몰드에 2층으로 나누어 채우고 각 층은 몇 번씩 다져야 하는가? (단, 15×15×53cm의 공시체를 사용)
① 25회
② 50회
③ 65회
④ 80회
정답보기26. 다음 중 잔골재의 표면수 측정법을 바르게 묶은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부피에 의한 방법, 충격을 이용하는 방법
② 충격을 이용하는 방법, 질량에 의한 방법
③ 다짐대를 사용하는 방법, 삽을 이용하는 방법
④ 질량에 의한 방법, 부피에 의한 방법
정답보기24.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시험에 의하여 압축강도를 결정할 때 같은 시료, 같은 시간에 시험한 전 시험체의 평균값을 구하여 사용하는데, 이 때 평균값보다 몇 % 이상의 강도 차가 있는 시험체는 압축강도의 계산에 사용하지 않는가?
① ± 5%
② ± 10%
③ ± 15%
④ ± 20%
정답보기22. 골재의 조립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골재의 조립률은 골재 알의 지름이 클수록 크다.
② 잔골재의 조립률은 2.3~3.1이 적당하다.
③ 골재의 조립률은 체가름시험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④ 조립률이 큰 골재를 사용하면 좋은 품질의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정답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