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0. 다음 중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개발한 객체 지향적 프로그래밍 언어로, 처음에는 가전제품 내에 탑재해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위해 개발했지만 현재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 가운데 하나 이고, 모바일 기기용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널리 사용하고 있는 언어는 무엇인가?
① JAVA
② Visual C++
③ Delphi
④ Power Builder
1. 다음 중 키보드의 특수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②
③
④
2.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출력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문서 편집 시 설정한 용지 크기는 인쇄 시 크기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없다.
② 특정 페이지를 지정하여 인쇄할 수 있다.
③ 작성한 문서를 팩스로 보낼 수 있다.
④ 프린터의 해상도를 높게 설정하면 출력시간이 길어진다.
3.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특수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특수문자 중 전각문자는 2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② 특수문자의 문자 코드 값은 모두 같은 값을 갖는다.
③ 키보드에 없는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응용 프로그램마다 사용 방법이 같다.
④ 한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한글 모음을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누르면 특수문자가 나타나 입력할 수 있다.
4.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맞춤법 또는 어법이 옳은 것은?
① 마음을 조리면서 합격여부를 기다린다.
② 하느라고 한 것이 이 모양이다.
③ 이번에 남의 논을 부치게 되었다.
④ 주민대표로써 참석하였다.
5. 다음 중 문서의 종류별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시문서는 조직의 상부에서 하부로 계획이나 기획 등의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문서이다.
② 보고문서에는 장표, 전표, 일계표 등이 속한다.
③ 연락문서는 업무를 연락하고 의사소통을 위한 것으로 업무연락서, 통지서 등이 있다.
④ 기록문서는 기록과 보존을 위한 것으로 인사기록 카드가 속한다.
6. 다음 중 문서의 구성에서 본문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본문의 내용을 간결하게 추린 제목을 기재한다.
② 문서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주요 내용을 명확하게 기재한다.
③ ‘다음’, ‘아래’ 등의 표현으로 내용을 정리하여 기재한다.
④ 생산 및 접수 등록 번호를 기재하여 분실의 위험을 방지한다.
7. 다음 중 문서를 작성할 때 문서의 양이 변하는 교정 부호로 옳지 않은 것은?
① ②
③
④
8. 다음 중 문서관리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정확성 : 문서를 옮겨 적거나 다시 기재하는 것을 줄이고, 복사해서 사용한다.
② 용이성 : 문서를 쉽게 작성하고, 판단 사무를 작업 사무화한다.
③ 신속성 : 반복되고 계속되는 업무는 유사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사무의 절차와 방법을 간소화한다.
④ 경제성 : 문서의 집중 관리 및 처리를 통하여 경비를 절약한다.
9. 다음 중 한글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KS X 1005-1(유니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완성형 코드에 조합형 코드를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② 전 세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국제 표준 코드이다.
③ 영문은 1바이트 한글은 2바이트를 사용하는 코드이다.
④ 외국 소프트웨어의 한글화가 쉽고 한글은 가나다순으로 정렬된 코드이다.
10. 다음 중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각종 서류를 표준화된 양식을 통해 전자적 신호로 바꿔 컴퓨터통신망을 이용,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② 기업 간의 거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표준 포맷으로 미국의 데이터교환표준협회에 의해 개발되었다.
③ EDI 메시지들은 암호화되거나 해독될 수 있으며 e-mail, 팩스와 함께 전자상거래의 한 형태다.
④ EDI의 3대 구성요소는 EDI 표준(standards), 문서(document), 통신 네트워크(VAN) 이다.
11. 다음 중 공문서의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문서의 편철량은 100매 이내로 함을 원칙으로 하며, 양이 많을 경우 2권 이상으로 나눈다.
② 편철 순서는 위로부터 표지, 색인 목록, 발생 일자 순으로 끼워서 편철한다.
③ 전자문서는 컴퓨터 파일로 보존하되 보존 기간이 10년 이상인 문서는 마이크로필름으로 보존하여야한다.
④ 보존기간이 20년 이상인 전자문서는 마이크로필름이나 광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더라도 보존기간 중에는 폐기할 수 없다.
12. 다음 중 서로 뜻이 상반되는 교정부호로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① ②
③
④
13.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메일 머지(Mail Merge)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동일한 내용의 반복 입력이나 도형, 서식 등을 여러 곳에 반복 적용할 때 사용하는 기능이다.
② 메일머지 기능은 반드시 본문 파일에서 실행시켜야 한다.
③ 데이터 파일과 본문 파일이 필요하다.
④ 메일머지 기능을 실행시켜 그 결과를 화면으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14. 다음 중 한글 워드프로세서의 매크로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련의 작업 순서 내용을 특정키로 설정하고 필요할 때 한 번에 재생해 주는 기능이다.
② 키보드 매크로는 마우스 동작을 포함하는 사용자 동작을 기억할 수 있다.
③ 작성된 매크로는 편집이 가능하다.
④ 작성된 매크로는 별도의 파일에 저장이 가능하다.
15. 다음 중 공문서의 발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문서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발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행정기관이 아닌 자에게는 행정기관의 홈페이지나 행정기관이 공무원에게 부여한 전자우편주소를 이용하여 문서를 발신할 수 있다.
③ 업무의 성격, 기타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인편이나 우편으로는 발송할 수 있으나, 팩스로는 발송할 수 없다.
④ 행정기관의 장은 문서를 수신, 발신하는 경우에 문서의 보안 유지와 위조, 변조, 분실, 훼손 및 도난 방지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16. 다음 중 문서 관리를 위한 파일링 시스템(Filing System)의 도입에 따른 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문서관리 및 보존의 용이성
② 정보 전달의 원활화
③ 사무 공간의 효율적 사용
④ 기록 활용에 대한 제비용 증가
17.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사용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주 사용하는 문서나 프로그램을 빠르게 실행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원본 파일의 복사본이다.
② 폴더나 파일, 컴퓨터, 프린터, 디스크 드라이버 등의 개체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③ 바로가기 아이콘은 왼쪽 아래 부분에 화살표 표시가 있으며, 확장자는 LNK이다.
④ 바로가기 아이콘을 삭제하여도 원본 파일은 삭제되지 않는다.
1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Windows 탐색기 창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즐겨찾기’는 자주 사용하는 개체를 등록하여 해당 개체로 빠르게 이동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능이다.
② ‘라이브러리’는 컴퓨터의 여러 장소에 저장된 자료를 한곳에 보고 정리할 수 있는 가상폴더이다.
③ ‘홈 그룹’은 윈도우 사용자들을 그룹화하여 권한 등의 사용자 관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④ ‘컴퓨터’는 컴퓨터에 설치된 모든 구성요소를 표시 하며, 각 구성요소를 관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19. 다음 중 이미지 뷰어를 위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으로만 짝지은 것은?
① 알씨(ALSee), Imagine, Windows Media Center
② 알FTP, 파일질라, Winscp
③ 반디집, 알집, WinZip
④ 네이버 백신, V3 Lite, 알약
2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디스크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디스크 검사는 폴더와 파일의 오류를 검사하여 발견된 오류를 복구한다.
② 디스크 검사는 손상된 부분을 복구할 때 교차 연결된 파일이 발견되면 제거하거나 백업한다.
③ ‘파일 시스템 오류 자동 수정’ 옵션을 선택하면 파일과 폴더의 오류가 발견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오류 수정 여부를 물어 본 후 수정한다.
④ ‘불량 섹터 검사 및 복구 시도’ 옵션을 선택하면 파일과 폴더의 오류뿐만 아니라 디스크 표면을 검사하여 디스크에 생긴 물리적인 오류도 찾아준다.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인터넷 IP 주소 체계를 위해 사용하는 IPv6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IPv4와의 호환성이 뛰어나며, IPv4와 비교하여 자료 전송 속도가 빠르다.
② 숫자로 8비트씩 4부분으로 구분하며, 총 32비트로 구성된다.
③ 인증성,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보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④ 실시간 흐름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 한다.
22.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② 접속된 웹 페이지를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하거나 인쇄할 수 있다.
③ 전자우편을 보내거나 HTML 문서를 편집할 수 있다.
④ 네트워크 환경 설정을 할 수 있다.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사용하는 바로 가기 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Windows 로고 키 + L : 컴퓨터 시스템을 잠그거나 사용자를 전환한다.
② F8 : 선택된 항목의 속성 대화 상자를 화면에 표시한다.
③ Alt + Enter : 활성창의 바로가기 메뉴를 표시한다.
④ Alt + Tab : 작업 표시줄의 프로그램들을 차례대로 선택한다.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파일과 폴더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파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서로 관련 있는 파일들을 한 폴더에 저장한다.
② CON, PRN, AUX, NUL은 시스템에 예약된 단어이므로, 파일이름과 확장자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③ 하나의 폴더 내에는 동일한 이름의 파일이나 폴더가 존재할 수 없다.
④ 파일과 폴더의 이름은 255자 이내로 작성하며, 공백을 포함할 수 있다.
25.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작업 표시줄의 바로가기 메뉴를 이용하여 작업표시줄에 추가할 수 있는 도구 모음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소
② 링크
③ 바탕화면
④ 바로가기 아이콘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사용 중인 프린터의 공유 설정을 하려고 할 때 해당 프린터의 팝업 메뉴에서 선택해야 하는 메뉴 항목으로 옳은 것은?
① 인쇄 기본 설정
② 프린터 속성
③ 속성
④ 기본 프린터로 설정
27. 다음 중 모니터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해상도 : 모니터 화면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
② 주파수 대역폭 :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가 내용을 얼마나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느냐를 나타내는 단위
③ 픽셀 : 모니터가 처리할 수 있는 주파수의 폭
④ 화면 주사율 : 모니터가 가진 수직주파수로, 1초에 화면이 깜빡이는 정도
28. 다음 중 컴퓨터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입력기능은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이미지 스캐너 등과 같은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기능이다.
② 기억기능은 입력된 데이터나 프로그램, 처리된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기능이다.
③ 연산 기능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읽어 들인 프로그램의 명령 코드를 해석하여 사칙연산, 논리 연산, 비교 연산 등을 처리하는 기능이다.
④ 출력기능은 처리된 결과나 기억장치에 기억된 내용을 사람이 알아볼 수 있는 형태로 내보내는 기능이다.
29. 다음 중 컴퓨터의 기본 장치인 주기억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료가 있는 주소에 새로운 자료가 들어오면 기존의 자료는 그 다음 주소로 저장된다.
② 주기억 장치에 사용되는 기억 매체는 주로 RAM을 사용한다.
③ 주기억 장치의 각 위치는 주소(Address)에 의해 표시된다.
④ 주기억 장치는 처리 중인 프로그램과 데이터 그리고 중간처리결과를 보관한다.
30. 다음 중 마더보드(Mother boar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컴퓨터의 기본회로와 부품들을 담고 있는 컴퓨터 내의 가장 기본적인 물리적 장치이다.
② 마더보드와 확장 슬롯 내에 꽂히게 될 확장카드간의 전자적 인터페이스를 채널이라고 한다.
③ 마더보드 내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바이오스, 확장 슬롯, 접속 회로 등이 포함된다.
④ 마더보드에 따라서 사용자가 성능 향상을 위해 프로세서를 한 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
31. 다음 중 컴퓨터의 내부 인터럽트에 해당하는 것은?
① 명령 처리 중 오버플로(Overflow)가 발생한 경우
② 컴퓨터의 전원 공급이 끊어졌을 경우
③ 특정 장치에 할당된 작업 시간이 끝났을 경우
④ 입ㆍ출력 장치가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거나 전송이 끝났음을 알릴 경우
32. 다음 중 자료 처리의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바이트는 하나 이상의 워드가 모여서 이루어지는 단위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논리적인 단위이다. 파일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이며, 데이터베이스 구성의 기본 항목이다.
② 레코드는 관련된 하나 이상의 워드가 모여 구성되며, 프로그램 안에서 자료를 처리하거나 삭제하고 추가하는 기본 단위이다.
③ 파일은 같은 성질을 갖는 여러 개의 레코드를 합한 것으로, 자료 표현의 가장 큰 단위이며 업무 처리를 위한 기본 단위이다.
④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개의 관련 행과 열이 모여 구성되어, 특정 체계에 의해 데이터를 분류하여 정해 놓은 것이다.
33. 다음 중 TCP/IP 상에서 운용되는 응용 프로토콜이 아닌것은?
① FTP
② TELNET
③ HTTP
④ CPP
34. 다음 중 자기 디스크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섹터(Sector) : 회전축을 중심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심원
② 실린더(Cylinder) : 여러 개의 섹터를 모은 것
③ 탐색시간(Seek Time) : 읽기/쓰기 헤드가 지정된 트랙을 찾은 후 원판이 회전하여 원하는 섹터의 읽기/쓰기가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
④ 접근시간(Access Time) : 데이터를 읽고 쓰는데 걸리는 시간의 합 번지 부분의 주소가 간접 주소일 경우 기억 장치의 주소가 지정하는 곳으로, 유효 번지를 읽기 위해 기억장치에 한 번 더 접근한다.
35. 다음 중 정보화 사회의 최신 기술 중에서 사물 인터넷(Io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한다.
② 인간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다.
③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개입 없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처리할 수 있다.
④ 컴퓨팅 자원을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36.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멀티미디어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디지털 데이터로 통합하여 처리한다.
② 정보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쌍방향성으로 데이터가 전달된다.
③ 데이터가 일정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처리된다.
④ 텍스트나 동영상 등의 여러 미디어를 통합하여 처리한다.
37. 다음 중 멀티미디어 그래픽 데이터의 벡터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점과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나 곡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한다.
② 이미지를 확대하여도 테두리가 매끄럽게 표현된다.
③ 좌표 개념을 사용하여 이동 회전 등의 변형이 쉽다.
④ 비트맵 방식과 비교하여 기억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38. 다음 중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망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① 리피터(repeater)
② 게이트웨이(gateway)
③ 서버(server)
④ 클라이언트(client)
39. MS 아웃룩(Outlook)에서 작업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미리 알림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② 작업 되풀이가 끝나는 날짜를 지정할 수 있다.
③ 완료된 작업은 하루가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되게 설정할 수 있다.
④ 다른 사람에게 작업을 요청할 수 있고 상대방은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41. 다음 중 연산장치를 구성하는 레지스터가 아닌 것은?
① 데이터 레지스터
②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③ 상태 레지스터
④ 인덱스 레지스터
42. 다음 중 개인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개인정보는 성명, 주소 등과 같이 살아 있는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② 개인에 대한 다른 사람의 평가, 견해 등과 같은 간접적인 정보는 개인정보에 포함되지 않는다.
③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은 자신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하여 정보주체가 지켜야 할 권리이다.
④ 프라이버시권은 자신에 관한 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알려지고 이용되도록 할지를 스스로 결정하는 권리이다.
43. 다음 중 메모리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은 경우, 그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CMOS 셋업에서 캐시 항목이 Enable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② CMOS 셋업에서 RAM의 속도를 임의로 변경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③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RAM을 사용했는지 확인 한다.
④ RAM 소켓에 RAM이 올바르게 꽂혀있는지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