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의시험보기
1. 건축물 구조설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허용응력설계법은 탄성이론에 의한 구조해석으로 산정한 부재단면의 응력이 허용응력을 초과하도록 구조부재를 설계하는 방법이다.
② 강도설계법은 구조부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비탄성거동을 고려하여 산정한 부재단면의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수를 곱한 설계강도가 계수하중에 의한 소요강도 이상이 되도록 구조부재를 설계하는 방법이다.
③ 성능설계법은 건축설계기준에서 규정한 목표성능을 만족하면서 건축구조물을 건축주가 선택한 성능지표에 만족하도록 설계하는 방법이다.
④ 한계상태설계법은 한계상태를 명확히 정의하여 하중 및 내력의 평가에 준해서 한계상태에 도달하지 않는 것을 확률통계적 계수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설계법이다.
2. 길이가 L이고 변형이 구속되지 않은 트러스 부재가 온도변화 △T에 의해 일어나는 축방향 변형률(?)은? (단, 트러스 부재의 재료는 열팽창계수 α인 등방성 균질재료로 온도변화에 따라 선형변형한다)
① ?=α(△T)
② ?=α(△T)√L
③ ?=α(△)TL
④ ?α(△T)L2
3. 강구조의 용접접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플러그 및 슬롯용접의 유효전단면적은 접합면 내에서 구멍 또는 슬롯의 공칭단면적으로 한다.
② 그루브용접의 유효길이는 접합되는 부분의 폭으로 한다.
③ 그루브용접의 유효면적은 용접의 유효길이에 유효목두께를 곱한 것으로 한다.
④ 필릿용접의 유효길이는 필릿용접의 총길이에서 4배의 필릿 사이즈를 공제한 값으로 한다.
4. 보통모멘트골조에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철근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스트럿-타이모델에 따라 설계하지 않은 일반적인 보 부재로, 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는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강도의 2배 이하이며, d는 보의 유효깊이이다)
① 용접이형철망을 사용한 전단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600MPa를 초과할 수 없다.
② 부재축에 직각으로 배치된 전단철근의 간격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인 경우 d/2 이하 또한 600 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③ 종방향 철근을 구부려 전단철근으로 사용할 때는 그 경사길이의 중앙 3/4만이 전단철근으로서 유효하다.
④ 경사스터럽과 굽힘철근은 부재의 중간 높이에서 반력점 방향으로 주인장철근까지 연장된 30°선과 한 번 이상 교차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5. 조적구조의 벽체를 보강하기 위한 테두리보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초판 위에 설치하여 조적벽체의 부동침하를 방지한다.
② 조적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수직 균열을 방지한다.
③ 조적벽체 상부의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킨다.
④ 조적벽체를 일체화하여 벽체의 강성을 증대시킨다.
6. F10T 고장력볼트의 나사부가 전단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지압접합의 공칭전단강도(Fnv)는?
① 300MPa
② 400MPa
③ 500MPa
④ 600MPa
7. 목재의 기준 허용휨응력 Fb로부터 설계 허용휨응력 F′b을 결정하기위해서 적용되는 보정계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좌굴강성계수 CT
② 습윤계수 CM
③ 온도계수 Ct
④ 형상계수 Cf
8. 현장 말뚝재하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말뚝재하실험은 지지력 확인, 변위량 추정, 시공방법과 장비의적합성 확인 등을 위해 수행한다.
② 말뚝재하실험에는 압축재하, 인발재하, 횡방향재하실험이 있다.
③ 말뚝재하실험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정재하실험방법은 고려할 수 있으나, 동재하실험방법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④ 압축정재하실험의 수량은 지반조건에 큰 변화가 없는 경우 구조물별로 1회 실시한다.
9. 목구조 바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바닥구조는 수직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가져야 한다.
② 바닥구조는 바닥구조에 전달되는 수평하중을 안전하게 골조와 벽체에 전달할 수 있는 강도와 강성을 지녀야 한다.
③ 구조용바닥판재로 구성된 플랜지재는 수평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면내전단력에 대해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지녀야 한다.
④ 바닥격막구조의 구조형식에는 수평격막구조, 수평트러스 등이 있다.
10. 콘크리트구조의 내진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진력에 의한 휨모멘트 및 축력을 받는 특수모멘트 골조에 사용하는 철근은 실제 항복강도에 대한 실제 극한인장강도의 비가 1.25 이상이어야 한다.
② 프리캐스트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일체식 구조물에서 요구되는 안전성 및 사용성에 관한 조건을 갖추고 있지 않더라도 내진구조로 다룰 수 있다.
③ 지진력에 의한 휨모멘트 및 축력을 받는 특수모멘트 골조에 사용하는 보강철근은 설계기준항복강도 fy가 전단철근인 경우 500MPa까지 허용된다.
④ 구조물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관련 구조전문가에 의해 설계되고 그 성능이 실험에 의해 검증된 진동감쇠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11.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콘크리트의 최소피복두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중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 80 mm
②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절판부재: 20mm
③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 80mm
④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로 D35 이하의 철근을 사용한 슬래브: 20 mm
12. 건축구조물에서 각 날짜에 타설한 각 등급의 콘크리트 강도시험용시료를 채취하는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하루에 1회 이상
② 150 m3당 1회 이상
③ 슬래브나 벽체의 표면적 500m2마다 1회 이상
④ 배합이 변경될 때마다 1회 이상
13. 건축물 강구조 설계기준에서 SS275 강종의 압연H형강 H-400 × 200 × 8 × 13의 강도 및 재료정수로 옳은 것은?
① 인장강도(Fu)는 410MPa이다.
② 항복강도(Fy)는 265MPa이다.
③ 탄성계수(E)는 205,000MPa이다.
④ 전단탄성계수(G)는 79,000MPa이다.
14. 강구조 H형단면 부재에서 플랜지에 수직이며 웨브에 대하여 대칭인 집중하중을 받는 경우, 플랜지와 웨브에 대하여 검토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단, 한쪽의 플랜지에 집중하중을 받는 경우이다)
① 웨브크리플링강도
② 웨브횡좌굴강도
③ 블록전단강도
④ 플랜지국부휨강도
15. 강구조 고장력볼트 접합의 일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고장력볼트 구멍중심 간 거리는 공칭직경의 2.0배 이상으로 한다.
② 고장력볼트 전인장조임은 임팩트렌치로 수 회 또는 일반렌치로 최대한 조이는 조임법이다.
③ 고장력볼트는 용접과 조합하여 하중을 부담시킬 수 없고, 고장력볼트와 용접을 병용할 경우 고장력볼트에 전체하중을 부담시킨다.
④ 고장력볼트 마찰접합에서 하중이 접합부의 단부를 향할 때는 적절한 설계지압강도를 갖도록 검토하여야 한다.
16. 토질 및 기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물에 포화된 느슨한 모래가 진동, 충격 등에 의하여 간극 수압이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에 전단저항을 잃어버리는 현상을 액상화 현상이라 한다.
② 온통기초는 상부구조의 광범위한 면적 내의 응력을 단일 기초판으로 연결하여 지반 또는 지정에 전달하도록 하는 기초이다.
③ 사질토 지반의 기초하부 토압분포는 기초 중앙부 토압이 기초 주변부보다 작은 형태이다.
④ 연약한 점성토 지반에서 땅파기 외측의 흙의 중량으로 인하여 땅파기 된 저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히빙(Heaving)이라 한다.
17. 강구조에서 조립인장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판재와 형강 또는 2개의 판재로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접촉되어있는 조립인장재의 재축방향 긴결간격은 대기 중 부식에 노출된 도장되지 않은 내후성강재의 경우 얇은 판두께의 24배 또는 280 mm 이하로 해야 한다.
② 판재와 형강 또는 2개의 판재로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조립인장재의 재축방향 긴결간격은 도장된 부재 또는 부식의 우려가 없어 도장되지 않은 부재의 경우 얇은 판두께의 24배 또는 300mm 이하로 해야 한다.
③ 띠판은 조립인장재의 비충복면에 사용할 수 있으며, 띠판에서의 단속용접 또는 파스너의 재축방향 간격은 150mm 이하로 한다.
④ 끼움판을 사용한 2개 이상의 형강으로 구성된 조립인장재는 개재의 세장비가 가급적 300을 넘지 않도록 한다.
18.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구조세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선단부는 지지층에 확실히 도달시켜야한다.
②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주근은 4개이상 또한 설계단면적의 0.25% 이상으로 하고 띠철근 또는 나선철근으로 보강하여야 한다.
③ 저부의 단면을 확대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측면경사가 수직면과 이루는 각이 30°를 초과할 경우, 전단력에 대해검토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④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을 배치할 때 그 중심간격은 말뚝머리 지름의 2.0배 이상 또한 말뚝머리 지름에 1,000 mm를 더한 값 이상으로 한다.
19. 등가정적해석법에 의한 내진설계에서 밑면전단력 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반응수정계수가 클수록 밑면전단력은 감소한다.
② 건축물 중요도계수가 클수록 밑면전단력은 감소한다.
③ 건축물 고유주기가 클수록 밑면전단력은 감소한다.
④ 유효건물중량이 작을수록 밑면전단력은 감소한다.
20. 목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목재 단면의 수심에 가까운 중앙부를 심재, 수피에 가까운 부분을 변재라 한다.
② 목재의 단면에서 볼트 등의 철물을 위한 구멍이나 홈의 면적을 포함한 단면적을 순단면적이라 한다.
③ 기계등급구조재는 기계적으로 목재의 강도 및 강성을 측정하여 등급을 구분한 목재이다.
④ 육안등급구조재는 육안으로 목재의 표면결점을 검사하여 등급을 구분한 목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