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의시험보기
1. 정신분석 상담과 행동주의 상담의 공통점에 해당하는 것은?
① 상담과정에서 과거 경험보다 미래 경험을 중시한다.
② 상담기법보다는 상담자의 인간적 자질과 진솔한 태도를 중시한다.
③ 인간의 행동을 인과적 관계로 해석하는 결정론적 관점을 가진다.
④ 비합리적 신념을 인식하고 수정하는 논박 과정을 중시한다.
2. 조선시대 성균관 유생의 출석 확인을 위한 방식은?
① 학교모범(學校模範)
② 원점법(圓點法)
③ 탕평책(蕩平策)
④ 학교사목(學校事目)
3. 학생이 사전에 온라인 등으로 학습내용을 공부해 오게 한 후 학교 수업에서는 문제해결이나 토론 등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는 수업 형태는?
①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② 탐구수업
③ 토론수업
④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
4. 학교 조직이 갖고 있는 관료제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교장-교감-교사의 위계구조
② 과업수행의 통일성을 기하기 위한 규정과 규칙
③ 연공서열과 업적에 의해 결정되는 승진 체계
④ 인간적인 감정 교류가 중시되는 교사-학생의 관계
5. 다음은 지능 원점수 4개를 서로 다른 척도로 나타낸 것이다. 지능 원점수가 가장 낮은 것은? (단, 지능 원점수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① Z점수 1.5
② 백분위 90
③ T점수 60
④ 스테나인 2등급
6.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위원 수는 5명 이상 20명 이하의 범위에서 학교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교육부령으로 정한다.
② 국립ㆍ공립 학교의 경우 학교의 예산안과 결산, 학교교육과정의 운영방법, 학교급식 등을 심의한다.
③ 국립ㆍ공립 학교의 경우 ?교육공무원법? 제29조의3제8항에 따른 공모 교장의 공모 방법, 임용, 평가 등을 심의한다.
④ 학교운영의 자율성을 높이고 지역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다양하고도 창의적인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7. 형태주의 심리학(Gestalt psycholog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학습자는 세상을 지각할 때 외부자극을 단순히 합하는 것 이상의 작업을 수행한다.
② 문제 장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요소의 관계를 파악하는 통찰에 주목한다.
③ 학습은 인지구조의 변화가 아니라 행동의 변화를 나타낸다.
④ 쾰러(W. K?hler)의 유인원 실험은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8. 상황학습(situated learning)의 설계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식이나 기능은 유의미한 맥락 안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② 교실에서 학습한 것과 교실 밖에서 필요로 하는 것의 관계 형성을 돕는다.
③ 전이(transfer)를 촉진할 수 있도록 추상적인 형태의 지식을 제공한다.
④ 다양한 사례를 활용하여 능동적인 문제해결을 유도한다.
9. 특수 학습자 유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학습부진(under achiever)-정서적 혼란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개인적 불만, 사회적 갈등, 학교성적 부진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② 학습장애(learning disabilities)-지능 수준이 낮지 않으면서도 말하기, 쓰기, 읽기, 셈하기 등 특정 학습에서 장애를 보인다.
③ 행동장애(behavior disorders)-지적 수준이 심각할 정도로 낮고, 동시에 적응적 행동의 결함을 보인다.
④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선수학습 결손으로 인해 자신의 지적능력에 비해서 최저 수준에 미달하는 학업 성취를 보인다.
10. 초ㆍ중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원과 직원의 신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수석교사는 교육전문직원이다.
② 공립학교 행정실장은 교육공무원이다.
③ 교장은 별정직 공무원이다.
④ 공무원인 교원은 특정직 공무원이다.
11. 법적용의 우선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지방자치법?과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이 충돌할 경우 전자를 우선적으로 적용한다.
② ?초ㆍ중등교육법?과 ?초ㆍ중등교육법 시행령?이 충돌할 경우 후자를 우선적으로 적용한다.
③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과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이 충돌할 경우 후자를 우선적으로 적용한다.
④ 신법과 구법이 충돌할 때에는 먼저 제정된 법을 우선적으로 적용한다.
12. 렝그랑(P. Lengrand)의 평생교육에 대한 견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학교교육과 학교 외 교육의 시간적ㆍ공간적 분리를 강조한다.
② 개인에게 사회의 발전에 충분히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교육이다.
③ 평생을 통해 개인이 가진 다방면의 소질을 계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교육이다.
④ 급속한 사회변화와 인구증가, 과학기술의 발달, 생활양식과 인간관계의 균형상실 등이 그 필요성을 증가시킨 배경이다.
13. 17세기 서양의 실학주의 철학 사조에서 강조하는 교육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문적 실학주의-고전연구를 통해 현실생활에 잘 적응하는 유능한 인간 양성을 강조하였다.
② 사회적 실학주의-여행과 같은 경험중심 교육을 통하여 사회적 조화와 신사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강조하였다.
③ 감각적 실학주의-감각적 경험을 통하여 생활의 지식을 습득하며, 이해와 판단을 중시하는 교육방법을 강조하였다.
④ 인문적 실학주의-고전중심의 교과를 토의와 설명에 의해 개별적으로 교육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14. 자유학기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자유학기제 기간에는 중간고사, 기말고사, 수행평가 등의 평가를 실시할 수 없다.
② 2013년도에 연구학교에서 시작되었고, 2015년도부터 모든 중학교에서 시행되었다.
③ 자유학기 활동으로는 진로탐색 활동, 주제선택 활동, 예술ㆍ체육 활동, 동아리 활동이 있다.
④ 중학교의 장은 해당 학교 교원 및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하여 자유학기제의 실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5. 사회인지이론에서 주장하는 관찰학습의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파지단계 → 재생단계 → 동기화단계 → 주의집중단계
② 주의집중단계 → 파지단계 → 재생단계 → 동기화단계
③ 동기화단계 → 주의집중단계 → 파지단계 → 재생단계
④ 재생단계 → 주의집중단계 → 동기화단계 → 파지단계
16. 실존주의 교육철학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교육의 목적은 자유롭고 주체적이며 창조적인 인간형성에 있다.
② 교육은 자기결정적인 자아의 형성을 위한 것이다.
③ 교육에서는 인간적인 만남이 중요하다.
④ 인간의 본질을 규격화된 것으로 이해한다.
17. 코메니우스(J. A. Comenius)의 교육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전(古典)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전달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② 감각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③ 교육을 이끌어가는 방법상의 원리를 자연에서 찾는다.
④ 수업에서는 사물이 사물에 대한 언어보다 앞서야 한다.
18. 베버(M. Weber)의 관료제 특성과 순기능 및 역기능을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순서대로 관료제 특성, 순기능, 역기능)
① 분업과 전문화, 전문성, 권태
② 몰인정성, 합리성, 사기저하
③ 규정과 규칙, 계속성과 통일성, (경직성, 본말전도)
④ 경력지향성, 유인체제, 의사소통 저해
19. 구성원의 성숙도를 지도자 행동의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보는 리더십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조직의 상황과 관련 없이 최선의 리더십 유형이 있다고 본다.
② 허시(P. Hersey)와 블랜차드(K. Blanchard)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이 대표적이다.
③ 블레이크(R. Blake)와 모튼(J. Mouton)에 의해 완성된 리더십 이론이다.
④ 유능한 지도자는 환경보다는 유전적인 특성에 달려 있다고 본다.
20. 문항들 간의 동질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수로 부적합한 것은?
① Cronbach's 계수
② Kuder-Richardson 20
③ Kuder-Richardson 21
④ Kappa 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