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1. 목재의 강도에 관한 기술 중 옳은 것은?
① 비중이 크면 압축강도는 감소한다.
② 함수율이 작을 수록 강도는 증가한다.
③ 온도가 상승하면 강도가 증가한다.
④ 목재의 흠은 강도를 증가시킨다.
2. 강의 화학성분 중 인(P)이 많을 때 증가 되는 성질은?
① 취성
② 인성
③ 탄성
④ 휨성
3.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내후성이 작다.
② 점착성, 연성이 크다.
③ 방수성이 작다.
④ 감온성이 크다.
4. 고무화 아스팔트(Rubberized Asphalt)는 어떤 물질에 천연고무, 합성고무를 혼합한 것인가?
①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② 블론 아스팔트
③ 시멘트
④ 합성수지
5. 구조용 골재로서 필요한 성질 중 틀린 것은?
① 깨끗하고 유해물을 함유하지 않을 것
② 물리적으로 안정하고 내구성이 클 것
③ 입도가 좋지 않을 것
④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6. 콘크리트의 골재로서 필요한 성질을 설명한 것으로서 부적당한 것은?
① 깨끗하고 유해물을 함유하지 않을것
② 화학적, 물리적으로 안정하고 내구성이 클것
③ 크기가 비슷한 것이 고르게 혼입되어 있을것
④ 단단하며 마모에 대한 저항이 클것
7. 시멘트를 제조할 때 2∼3% 의 석고를 넣는 이유는?
① 분말도를 높이기 위하여
②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③ 방습용으로
④ 응결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8. 해중공사 또는 한중 콘크리트 공사용 시멘트로 적당한 것은?
① 고로 시멘트
② 실리카 시멘트
③ 알루미나 시멘트
④ 보통 포오틀랜드 시멘트
9. 혼화재료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필요에 따라 콘크리트의 한 성분으로 가해진 재료
② 콘크리트의 성질의 개선이나 공사비를 절약할 목적으로 사용
③ 혼화재료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배합,시공이 복잡해진다
④ 콘크리트의 배합 계산에 관계되는 것을 혼화제, 무시되는 것을 혼화재라 한다
10. 콘크리트의 재령 28일의 압축강도가 300㎏f/cm2이라 할때 실험식에 의한 물·시멘트비는 얼마인가?
① 53%
② 46%
③ 50%
④ 42%
11. 최적 함수비란 무엇인가?
① 건조밀도가 최소인것.
② 건조밀도가 최대인것.
③ 건조밀도가 있는것.
④ 건조밀도가 없는것.
12. 과염소산 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고 다이너마이트에 비해 충격에 대하여 둔하므로 취급상 위험이 적은 폭약은?
① 카알릿
② 면화약
③ ANFO
④ D.D.N.P
13. 암석을 이루고 있는 조암 광물의 조성 상태에 따라 생기는 모양으로 암석 조직상의 눈 모양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층리
② 편리
③ 석리
④ 돌눈
14. 폭약을 다룰때 주의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다이너마이트는 햇빛을 직접 쬐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② 뇌관과 폭약은 함께 저장한다.
③ 운반중에 충격을 주어서는 안된다.
④ 장기간 보존으로 인한 흡습, 동결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15. 서중콘크리트 시공이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서 운반거리가 멀 경우 혼화제를 사용하고자 한다. 다음 중 어느 혼화제가 적당한가?
① 지연제
② 촉진제
③ 급결제
④ 방수제
16. 시멘트 응결시간 측정 시험의 주의사항 중 옳은 것은?
① 실험실의 상대습도는 40% 이하가 되도록 한다.
② 습기함이나 습기실은시험체를 50%이상의 상대습도에서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③ 혼합하여 주는 물의 온도는 15± 1.7℃의 범위에 있도록 한다.
④ 시험 동안에는 모든 장치를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17. 시멘트 비중 시험시 주의사항 중 맞지 않은 것은?
① 광유는 휘발성 물질이므로 불에 조심하여야 한다.
② 광유표면의 눈금을 읽을 때에는 가장 윗면의 눈금을 읽도록 한다.
③ 시멘트, 광유, 수조의 물, 비중병은 미리 실온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④ 시험이 끝나면 비중병에 물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18. 시멘트 분말도 시험에서 비표면적의 단위는?
① gf/cm2
② gf/sec
③ cm2/gf
④ ㎝
19. 로스앤젤레스 시험기로 닳음(마모)시험을 할 때 E,F,G급 회전수를 표시한 것 중 옳은 것은?
① 매분 18∼25번 1,000회
② 매분 30∼33번 1,000회
③ 매분 30∼33번 10,000회
④ 매분 36∼40번 10,000회
20.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서 가압면은 얼마 이상의 홈이 있어서는 안되는가?
① 0.05mm
② 0.1mm
③ 0.25mm
④ 0.5mm
2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함유량 시험에서 공기량의 측정법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부피법
② 무게법
③ 공기실압력법
④ 할렬법
22. 플로우 시험(flow test)의 목적은?
① 콘크리트의 압축시험
② 콘크리트의 공기량 측정
③ 콘크리트의 유동성 측정
④ 콘크리트의 수밀시험
23. 진동식 컨시스턴시 시험을 사용하면 좋은 슬럼프 값은 얼마 이하인가?
① 10㎝
② 8㎝
③ 2.5㎝
④ 1㎝
24. 콘크리트 압축강도시험에서 공시체의 지름은 굵은 골재 최대 치수의 몇 배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① 1배
② 3배
③ 5배
④ 10배
25.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 질기를 시험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슬럼프 시험
② 리몰딩 시험
③ 길모아침 시험
④ 켈리볼 관입시험
26.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법에서 시멘트와 표준 모래의 중량비는?
① 1 : 3
② 1 : 1.5
③ 1 : 3.15
④ 1 : 2.45
27. 다음 중 블레인 공기투과장치에 의하여 시멘트 분말도 시험을 할때 필요없는 것은?
① 표준시멘트
② 거름종이
③ 수은
④ 광유(완전탈수된것.)
28. 시멘트 비중시험을 하는 이유로서 가장 타당한 것은?
① 비중을 알아야 응결시간을 알 수 있으므로
② 콘크리트 배합설계시 시멘트가 차지하는 부피를 계산하기 위해서
③ 시멘트의 압축강도를 알 수 있으므로
④ 시멘트의 분말도를 알 수 있으므로
29. 모래의 유기불순물 시험에서 사용하는 용액은?
① 수산화나트륨
② 염화칼슘
③ 염화나트륨
④ 황산마그네슘
30. 체가름 할 골재의 시료 채취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2분법
② 4분법
③ 6분법
④ 8분법
31. 역청제의 연화점(softening point)을 알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① 환구법
② 웬트라이너법
③ 우벨로데법
④ 육면체법
32. 아스팔트의 콘시스턴시를 알고자 한다. 다음 중 어떤 시험을 실시 해야 하는가?
① 침입도 시험
② 인화점 시험
③ 연화점 시험
④ 신도 시험
33. 다음 중 시멘트 응결시간 시험방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플로우 테이블(Flow Table)
② 비아카 장치(Vicat)
③ 길모마침(Gillmore Needless)
④ 유리판(Pat Glass Plate)
34. 콘크리트 블리딩은 보통 몇 시간이면 거의 끝나는가?
① 4 - 6시간
② 6 - 8시간
③ 8시간 이상
④ 2 - 4시간
35.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할때 콘크리트를 처음 넣는 양은 슬럼프 시험용 모울드 용적의 얼마까지 넣는가?
① 3/4
② 1/2
③ 1/3
④ 1/5
36. 흙의 액성한계 시험 결과로 작성하는 그래프의 이름은?
① 다짐곡선
② 유동곡선
③ 입경가적곡선
④ 한계곡선
37. 르샤틀리에 비중병 속 광유 표면의 눈금은 어느 곳을 읽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가?
① 곡면의 중간면
② 곡면의 옆면
③ 곡면의 1/3면
④ 곡면의 밑면
38.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단위 수량이 많을수록 강도는 떨어진다.
② 시멘트 분말도와 강도는 비례한다.
③ 시멘트가 풍화되면 강도는 감소한다.
④ 50° 까지는 양생온도가 높을수록 강도는 증가한다.
39. 골재의 단위무게 시험에서 골재의 최대치수가 40㎜이하인 경우에 적용하는 시험 방법은?
① 다짐대를 사용하는 방법
② 충격을 이용하는 방법
③ 삽을 이용하는 방법
④ 흐름시험기를 사용하는 방법
40.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 함유량 시험에서 AE 공기량이 얼마 정도일 때 워커빌리티와 내구성이 가장 좋은가?
① 1-3%
② 4-7%
③ 7-9%
④ 9-12%
41. 골재의 유기불순물 시험에 관한 내용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시료는 4분법 또는 시료분취기를 사용하여 가장 대표적인 것 약 450g를 취한다.
② 2%의 탄닌산용액과 3%의 수산화나트륨용액을 섞어 표준색 용액을 만든다.
③ 시험용액을 만들어 비교해서 표준색과 비교한다.
④ 시험용액이 표준색보다 진할 경우 합격으로 한다.
42. 보통 젖은 모래를 손에 쥐었더니 모양이 쥐어지고 손바닥에 물이 약간 묻었다. 이 골재의 표면수량은 얼마 정도 인가?
① 0.5∼1%
② 9∼12%
③ 2∼4%
④ 5∼8%
43. 천연 아스팔트의 신도 시험에서 시료를 고리에 걸고 시료의 양끝을 잡아당길때의 규정속도는 분당 얼마가 이상적인가?
① 80 mm/min
② 50 mm/min
③ 80 cm/min
④ 50 cm/min
44. 보통 시멘트의 표준 반죽 질기로 만들 때의 알맞은 수량은 어느 정도인가?
① 15∼18%
② 18∼22%
③ 22∼25%
④ 25∼28%
45.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나 인장강도의 시험체의 양생온도는?
① 20± 3℃
② 27± 2℃
③ 23± 2℃
④ 15± 3℃
46. 어느 시료의 간극율이 40.47%이다. 이 때의 간극비는 얼마인가?
① 0.48
② 0.68
③ 0.88
④ 1.08
47. 흙의 입도분석 시험결과 입경가적곡선에서 D10 =0.05㎜, D30=0.10㎜, D60=0.15㎜일 때 곡률계수(Cg)는?
① 4.16
② 3.12
③ 2.85
④ 1.33
48. 유선망도에서 상하류면의 수두차가 4m, 등수두면의 수가 12개, 유로의 수가 6개일 때 침투 유량은 얼마인가? (단, 투수층의 투수계수는 2.0×10-4 m/sec 이다)
① 8.0×10-4m3/sec
② 5.0×10-4m3/sec
③ 4.0×10-4m3/sec
④ 7.0×10-6m3/sec
49. 흐트러진 시료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실된 강도의 일부분을 회복하는데 흐트러 놓으면 강도가 감소되고 시간이 지나면 강도가 회복되는 현상은?
① 틱소트로피
② 다일러턴시
③ 한계간극비
④ 액화현상
50. 다음 중 다짐 곡선에서 구할 수 없는 것은?
① 최대건조밀도
② 최적함수비
③ 다짐 에너지
④ 현장시공함수비
51. 말뚝의 지지력 계산시 Engineering news 공식의 안전율은 얼마를 사용하는가?
① 10
② 8
③ 6
④ 2
52. 다음 중 직접 기초에 해당하는 것은?
① Footing 기초
② 말뚝 기초
③ 피어 기초
④ 케이슨 기초
53. 흙 댐 하류에 필터층을 설치하는 목적은?
① 침투압을 증가시키기 위해
② 세굴을 방지하기 위해
③ 등수두선을 없애기 위해
④ 유선을 길게 하기 위해
54. 어떤 흙을 공학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시험을 한 결과 포화단위중량이 1.85gf/cm3 이었다. 그렇다면 이 흙의 수중 단위중량은 얼마가 되는가?
① 2.85gf/cm3
② 1.05gf/cm3
③ 0.85gf/cm3
④ 1.00gf/cm3
55. 평판재하시험 결과 극한 하중강도가 Pu, 항복 하중강도가 Py라면 허용 지지력을 구하는 올바른 방법은?
① Pu나 Py 중 큰 값 사용
② Pu나 Py 중 작은 값 사용
③ Pu/3 및 Py/2 중 작은 값을 사용
④ Pu/2 및 Py/3 중 작은 값을 사용
56.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이로 나타내는 것은?
① 액성지수
② 소성지수
③ 유동지수
④ 터프니스 지수
57. 일축압축시험결과 파괴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은 θ=60°였다. 이 때 전단 저항각(내부 마찰각)은 얼마인가?
① 30°
② 60°
③ 90°
④ 120°
58. 강 널말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때려 박기와 빼 내기가 쉽다.
② 수밀성이 커서 물막이에 적합하다.
③ 단면의 휨모멘트와 수평 저항력이 작다.
④ 말뚝 이음에 대한 신뢰성이 크고 길이 조절이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