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1. 목재에서 양분을 저장하여 두고 수액의 이동과 전달을 하는 부분은?
① 심재
② 수피
③ 형성층
④ 변재
2. 아스팔트의 점도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① 비중
② 수분
③ 온도
④ 압력
3. 다음중 천연아스팔트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레이크 아스팔트
②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③ 샌드 아스팔트
④ 록 아스팔트
4. 다음 중 다이나마이트의 주성분은?
① 질산암모니아
② 니트로글리세린
③ AN-FO
④ 초산
5. 분말로 된 흑색화약을 실이나 종이로 감아 도료를 사용하여 방수시킨 줄로서 뇌관을 점화시키기 위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도화선
② 뇌관
③ 도폭선
④ 기폭제
6.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갖추어야 할 성질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깨끗하고 유기물, 먼지, 점토 등이 섞여 있지 않을것
② 내구성이 크고 닳음 저항성이 클 것
③ 알의 모양이 둥글거나 정육면체에 가깝고 적당한 입도를 가질 것
④ 비중이 적고 흡수성이 클 것
7. 골재의 함수 상태에 있어서 표면건조 포화상태에서 공기 중 건조상태까지 증발된 물의 양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함수량
② 흡수량
③ 표면수량
④ 유효 흡수량
8. 시멘트 분말도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① 분말도는 비표면적으로 나타낸다.
② 분말도가 높으면 수화작용이 빠르다.
③ 입자가 가늘수록 분말도가 높다.
④ 분말도가 높으면 조기강도가 작다.
9. 포졸란(pozzolan)을 혼화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내구성,수밀성 및 해수에 대한 화학적 저항성이 크다.
② 블리딩(bleeding) 및 재료분리를 작게한다.
③ 단위수량을 많이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건조수축이 작다.
④ 워커빌리티(workability)를 개선시키고 발열량을 줄인다.
10.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원주형 공시체의 제작시에 캐핑(capping)작업이란 무엇 때문에 해야 하는가?
① 공시체 표면의 수분침투를 막아 가급적 높은 강도를 얻으려고
② 가급적 두꺼운 층을 갖는 캐핑으로 먼지 등의 오물 침투를 막으려고
③ 공시체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청결을 유지하려고
④ 공시체의 표면을 다듬어 유용한 시험결과를 얻으려고
11. 석재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어떤 비중으로 나타내는가?
① 표건 비중
② 기건 비중
③ 진 비중
④ 겉보기 비중
12. 콘크리트 배합에서 단위 잔 골재량이 700kgf/m3, 단위 굵은 골재량이 1300kgf/m3일 때 절대 잔골재율( S/a )은?
① 35%
② 45%
③ 55%
④ 65%
13. 수화열이 적고, 건조수축이 작으며 장기강도가 커서 댐, 지하 구조물, 도로 포장용과 서중 콘크리트 공사에 사용되는 시멘트는?
①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②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③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④ 알루미나 시멘트
14. 콘크리트의 배합 설계에 고려해야 하는 혼화재료는 어느 것인가?
① 플라이 애시
② 고성능 감수제
③ 기포제
④ AE제
15. 체가름시험에서 건조기는 다음 중 어느 온도를 유지하여 건조해야 하는가?
① 90± 5℃
② 100± 5℃
③ 105± 5℃
④ 120± 5℃
16. 플로우 시험(flow test)의 목적은?
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측정
② 콘크리트의 공기량 측정
③ 콘크리트의 유동성 측정
④ 콘크리트의 수밀시험
17.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방법은 굵은 골재 최대치수가 얼마 이하인 경우에만 실시 하는가?
① 10mm
② 50mm
③ 60mm
④ 25mm
18. 골재의 체가름 시험을 할 때 체를 놓는 순서로 옳은 것은?
① 체눈이 가는 체는 위로,굵은 체는 밑으로 놓는다.
② 체눈이 굵은 체와 가는 체를 섞어 놓는다.
③ 체눈이 굵은 체는 위에,가는 체는 밑에 놓는다.
④ 체눈의 크기에 관계없이 놓는다.
19.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할때 콘크리트를 처음 넣는 양은 슬럼프 시험용 모울드 용적의 얼마까지 넣는가?
① 3/4
② 1/2
③ 1/3
④ 1/5
20. 역청재료의 연소점을 시험할 때 계속해서 매분 5.5± 0.5℃의 속도로 가열하여 시료가 몇 초 동안 연소를 계속 할 때의 최초의 온도를 말하는가?
① 5초
② 10초
③ 15초
④ 20초
21. 흙의 비중시험에서 노건조 시료로 시험할 경우에는 110± 5℃에서 항량건조가 될 때까지 적어도 몇시간 건조 시키는가?
① 6시간
② 12시간
③ 24시간
④ 48시간
22. 굵은골재의 마모 시험기 중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험기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데발시험기
② 로스앤젤레스시험기
③ 흐름시험기
④ 긁기경도 시험기
23. 콘크리트 인장강도 시험시 지름이 10㎝, 길이가 20㎝인 공시체에 하중을 가하여 공시체가 15tonf에서 파괴되었다면 이때의 인장강도는 얼마인가?
① 47.75㎏f/cm2
② 61.42㎏f/cm2
③ 75.00㎏f/cm2
④ 150.0㎏f/cm2
24. 아스팔트(Asphalt)의 신도와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접착성
② 수밀성
③ 가요성
④ 내마모성
25. 시멘트 모르타르 압축강도 시험은 공시체를 양생 수조에서 충분히 양생한후 다음중 언제 시험하는가?
① 양생수조에서 꺼낸후 30분후에 한다.
② 양생수조에서 꺼낸후 60분후에 한다.
③ 양생수조에서 꺼낸후 공기건조 시킨후 한다.
④ 양생수조에서 꺼낸 직후에 한다.
26. 콘크리트 포장은 평판 재하 시험의 결과를 이용하여 설계하며, 일반적으로 지지력 계수는 지름 30cm의 원형 재하판을 쓰고, 침하량은 얼마일 때의 값을 사용하는가?
① 0.125 cm
② 1.5 cm
③ 2.2 cm
④ 3.6 cm
27.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서 재료 계량의 허용오차는 혼화제 용액에서는 몇 % 이하인가?
① 1%
② 2%
③ 3%
④ 4%
28. 아스팔트의 침입도 시험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① 시험시 표준온도는 25℃ 이다.
② 침에 가해지는 추의 무게는 100g 이다.
③ 시험기의 고정쇠를 눌러 침이 10초간 시료 속으로 들어가게 한다.
④ 침입도는 침이 시료속으로 들어간 깊이를 0.1mm 단위로 나타낸다.
29. 현장에서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단위무게 시험을 할때의 유의사항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측정병의 부피를 구하기 위하여 측정병에 물을 채울때에 기포가 남지 않도록 한다.
② 측정병에 눈금을 표시하여 병과 연결부와의 접속위치를 검정할 때와 같게한다.
③ 모래를 부어 넣는 동안 깔대기 속의 모래가 항상 반이상이 되도록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켜 준다.
④ 병에 모래를 넣을 때에 병을 흔들어서 가득 담을 수있도록 한다.
30. 액성한계가 42.8% 이고 소성한계는 32.2%일 때 소성지수를 구하면?
① 10.6
② 12.8
③ 21.2
④ 42.4
31. 콘크리트를 쉽게 거푸집에 다져 넣을 수 있고 또, 거푸집을 떼어내면 천천히 모양이 변하기는 하지만 모양이 허물어지거나 재료가 분리되지 않는 것은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어떤 성질을 나타낸 것인가?
① 반죽질기(Consistency)
② 워커빌리티(Workability)
③ 성형성(Plasticity)
④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32. 흙의 비중을 측정하고자 한다. 100mL보다 큰 비중병을 사용할 경우 1회 측정에 필요한 시료는 최소 몇 g 인가? (단, 노 건조 시료를 기준으로 한다.)
① 10g
② 15g
③ 20g
④ 25g
33. 국수모양의 흙이 지름 몇 mm에서 부서질 때를 소성한계라 하는가?
① 1mm
② 2mm
③ 3mm
④ 4mm
34. 시멘트 비중시험에 필요한 기구는?
① 하버드 비중병
② 르 샤틀리에 비중병
③ 플라스크
④ 비카장치
35. 비카침에 의한 시멘트의 응결시간 측정에서 지름 1mm의 표준침이 몇 mm 들어갔을 때의 시간을 초결시간으로 하는가?
① 10
② 25
③ 15
④ 20
36. 모래의 유기 불순물 시험에서 시료와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넣고 병마개를 닫고 잘 흔든 다음 얼마동안 가만히 놓아둔 후 색도를 비교하는가?
① 1시간
② 12시간
③ 24시간
④ 48시간
37. 블리딩 시험에서 처음 60분 동안은 몇 분간격으로 표면에 생긴 블리딩 물을 피펫으로 빨아내는가?
① 1분
② 5분
③ 10분
④ 30분
38. 시멘트 비중시험을 할 때 시험과정 및 유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광유는 휘발성 물질이므로 불에 주의해야 한다.
② 시멘트를 비중병의 목 부분에 묻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넣는다.
③ 비중병을 알맞게 흔들어 시멘트 내부에 들어 있는 공기를 빼낸다.
④ 시험이 끝나면 비중병에 깨끗한 물과 마른 모래를 넣고 잘 흔들어 깨끗이 닦아 놓도록 한다.
39.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대한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① 워커빌리티 시험
② 공기량 시험
③ 비파괴 시험
④ 블리딩 시험
40. 어떤 흙을 일축압축시험을하여 일축압축강도가 1.2kgf/cm2를 얻었다. 이때 시료의 파괴면은 수평에 대해 50° 의 경사가 생겼다. 이 흙의 내부마찰각은?
① 10°
② 20°
③ 30°
④ 40°
41. 흙의 비중이 2.65 이고 간극비는 1.0 인 흙의 함수비가 15.0% 일 때 포화도는?
① 39.75%
② 42.73%
③ 53.65%
④ 62.83%
42. 비중계 시험에서 사용한 흙의 공기중 건조상태 시료의 무게가 55.64g이고 이때 함수비가 6.42% 일 때 노건조 시료의 무게(Ws)를 구한 값은?
① 50.28 g
② 51.82 g
③ 52.28 g
④ 54.32 g
43. 골재의 함수상태에서 골재알의 표면에는 물기가 없고 골재 알속에는 물로 차 있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습윤 상태
② 절대 건조 상태
③ 공기 중 건조 상태
④ 표면 건조 포화 상태
44. 강재의 굽힘 시험에서 감아 굽히는 방법으로 굽힘 각도는?
① 90°
② 135°
③ 160°
④ 180°
45. 흙의 건조단위무게가 1.505gf/cm3, 비중이 2.63일 때 이 흙의 간극비는 얼마인가?
① 0.548
② 0.760
③ 0.748
④ 0.854
46. 입경가적곡선의 기울기가 매우 급한 흙의 일반적인 성질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밀도가 좋다.
② 투수성이 좋다.
③ 균등계수가 작다.
④ 간극비가 크다.
47. 작은 자갈 또는 모래와 같이 투수성이 비교적 큰 조립토에 적합한 투수시험은?
① 정수위투수시험
② 변수위투수시험
③ 양수에 의한 투수시험
④ 현장투수시험
48. 지반내 연직응력의 상호관계식을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σ =유효응력, σ =전응력, u =간극수압)
① u = σ + σ
② σ =σ ÷ u
③ σ = σ - u
④ σ = σ × u
49. 다음 중 흙에 관한 전단시험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베인 시험
② 일축 압축 시험
③ 삼축 압축 시험
④ CBR 시험
50. 지표면에 있는 정사각형 하중면 10m× 10m의 기초 위에 10tonf/m2의 등분포 하중이 작용했을 때 지표면으로부터 10m 깊이의 수평면에 있어서의 연직응력은 얼마인가? (단, 2 : 1 분포법을 사용한다.)
① 1.0tonf/m2
② 1.5tonf/m2
③ 2.3tonf/m2
④ 2.5tonf/m2
51. 흙속의 온도가 빙점이하로 내려가서 지표면 아래 흙속의 물이 얼어붙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동상이라고 한다. 다음 중 동상의 피해가 가장 큰 것 부터 작은 것의 순으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실트-자갈-모래-점토
② 자갈-모래-실트-점토
③ 실트-점토-모래-자갈
④ 자갈-실트-모래-점토
52. 기초의 종류를 구분할 때 근입깊이와 기초의 폭과의 비로 얕은 기초와 깊은 기초로 구분한다. 다음 중 깊은 기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말뚝기초
② 피어기초
③ 우물통(케이슨)기초
④ 전면기초(매트기초)
53.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단위무게시험에서 모래를 사용하는 이유는?
① 구멍에서 파낸 시료 무게를 알기 위하여
② 시료를 파낸 구멍의 부피을 알기 위해서
③ 구멍에서 파낸 시료 입경을 알기 위해서
④ 구멍에서 파낸 시료의 함수비를 알기 위해서
54. 현장에서의 암반층이 적절한 깊이 내에 위치할 경우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연약한 지반을 통해 암반으로 전달시키는 기능을 가진 말뚝은?
① 마찰 말뚝
② 다짐 말뚝
③ 인장 말뚝
④ 선단지지 말뚝
55. 현장에서 평판을 놓고 그 위에 하중을 걸어 하중 강도와 침하량을 측정함으로써 기초 지반의 지지력을 추정하는 시험은?
① 실내 다짐시험
② 현장 밀도시험
③ 평판재하시험
④ 실내 CBR
56. 지름 50㎜ 높이 125㎜인 용기에 현장의 습윤시료를 채취하여 시료의 무게를 측정했더니 446gf이었다. 이때 습윤단위 무게는 얼마인가?
① 1.58 gf/cm3
② 1.82 gf/cm3
③ 2.35 gf/cm3
④ 2.76 gf/cm3
57. 흙의 비중 2.5, 함수비30%, 공극비0.92일 때 포화도는 얼마인가?
① 75%
② 82%
③ 87%
④ 93%
58. 다음 중 예민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시험은?
① 압밀시험
② 직접전단시험
③ 일축압축시험
④ 다짐시험
59. 흙댐의 유선망도에서 상하류면의 수두차(H)가 6m, 등수두면의 수(Nd)가 10개, 유로의 수(Nf)가 6개일 때 침투수량은 얼마인가? (단, 투수층의 투수계수는 2.0× 10-4 m/s이다)
① 1.2× 10-4m3/s
② 3.6× 10-4m3/s
③ 6.0× 10-4m3/s
④ 7.2× 10-4m3/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