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1. 목재의 함수율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u:함수율, W1:건조전 중량, W2:절대건조후 중량)
① ②
③
④
2. 재료가 외력을 받을때 조금만 변형되어도 파괴되는 성질은 무엇이라 하는가?
① 취성
② 연성
③ 전성
④ 인성
3. 다음중 도로포장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는?
① 콜타르
②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③ 블로운 아스팔트
④ 샌드매스틱
4. 다음 합성수지 중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것은?
① 페놀수지
② 염화비닐수지
③ 아크릴수지
④ 폴리에틸렌수지
5. 대폭파 또는 수중폭파를 동시에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폭 용품은?
① 도폭선
② 도화선
③ 전기뇌관
④ 공업뇌관
6.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무게로 몇 %이상을 통과시키는체 가운데에서 가장 작은 치수의 체눈을 체의 호칭 치수로 나타낸 것인가?
① 80%
② 85%
③ 95%
④ 90%
7. 포오틀랜드 시멘트를 만들 때 응결 지연제로 사용하는 것은?
① 규사
② 광재
③ 실리카
④ 석고
8.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콘크리트의 재령이 짧을수록 크게 일어난다.
② 부재의 치수가 작을수록 크게 일어난다.
③ 물-시멘트비가 작을수록 크게 일어난다.
④ 작용하는 응력이 클수록 크게 일어난다.
9. 폭약을 다룰때 주의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뇌관과 폭약은 같은 장소에 저장한다.
② 운반중에 충격을 주어서는 안된다.
③ 다이너마이트는 햇볕을 직접 쬐지 않고 화기가 있는 곳에 두지 않는다.
④ 흡습 동결되지 않도록 하고 온도와 습기에 품질이 변하지 않도록 한다.
10. 댐과 같은 단면이 큰 구조물을 만들려고 할 때 사용되는 시멘트의 선택으로 적당한 것은?
①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②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③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
④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1. 시멘트가 응결할 때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수소 가스를 발생시켜, 콘크리트 속에 아주 작은 기포가 생기게 하는 혼화제는 어느 것인가?
① 발포제
② 방수제
③ AE제
④ 감수제
12. 콘크리트는 인장강도가 작으므로 콘크리트 속에 미리 강재를 긴장시켜 콘크리트에 압축 응력을 주어 하중으로 생기는 인장 응력을 비기게 하거나 줄이도록 만든 콘크리트는?
①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②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③ 섬유 보강 콘크리트
④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13. 석회암이 지열을 받아 변성된 석재로 주성분이 탄산칼슘인 석재는?
① 화강암
② 응회암
③ 대리석
④ 점판암
14.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등을 넣어서 성질을 좋게 한 아스팔트는?
① 유화 아스팔트
② 컷백 아스팔트
③ 고무화 아스팔트
④ 플라스틱 아스팔트
15. 다음 중에서 혼화제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급결제
② 발포제
③ AE제
④ 포촐라나
16. 수축한계를 결정하기 위한 수축접시 1개를 만드는 시료의량으로 적당한 것은?
① 15g
② 30g
③ 50g
④ 150g
17. 길이 ℓ=10cm, 폭 b=5cm인 강봉을 인장시켰더니 길이가 11.5cm이고, 폭은 4.8cm가 되었다. 포화송비는?
① 0.27
② 0.35
③ 11.50
④ 0.96
18. 유동곡선에서 타격회수 몇 회에 해당하는 함수비를 액성한계로 하는가?
① 10회
② 15회
③ 20회
④ 25회
19. 소성한계란 흙을 국수모양으로 밀어 지름이 약 얼마 굵기에서 부스러질 때의 함수비를 말하는가?
① 3㎜
② 5㎜
③ 7㎜
④ 10㎜
20. 토질조사에서 실내 시험 중 역학시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C.B.R.시험
② 일축압축시험
③ 소성한계시험
④ 압밀시험
21. 완성된 구조물의 콘크리트 강도를 알고자 할 때 쓰이는 방법은?
① 리몰딩시험
② 이리바렌시험
③ 표면경도방법
④ 다짐계수시험
2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시험에서 공시체의 제작이 끝나 모울드를 떼어 낸후 습윤 양생을 한다. 이때 적당한 수온은?
① 8∼12℃
② 12∼16℃
③ 17∼23℃
④ 26∼30℃
23.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흐름 시험하여 콘크리트의 퍼진 지름을 측정한 결과 60.5cm, 58.2cm, 59.5cm 였다면 콘크리트의 흐름 값은? (단, 콘의 밑지름은 25.4cm 이다)
① 159%
② 134%
③ 119%
④ 114%
24. 다음 중 슬럼프 시험의 목적은?
① 콘크리트 내구성 측정
② 콘크리트 수밀성 측정
③ 콘크리트 반죽질기 측정
④ 콘크리트 강도 측정
25. 시멘트의 비중시험을 하기 위하여 쓰이는 기구 및 재료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르샤틀리에 비중병
② 광유
③ 천칭
④ 표준체
26. 아스팔트의 침입도 시험에서 표준침의 침입량이 16.9mm일때 침입도는?
① 1.69
② 16.9
③ 169
④ 1690
27. 시멘트 압축강도 시험에서 시험체의 모르타르 배합의 무게비(시멘트:표준모래)는 다음 어느 것인가?
① 1:1.34
② 1:2.45
③ 1:3.56
④ 1:4.67
28. 흙의 함수비를 측정할 때 시료를 몇 ℃로 항온 건조기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하는가?
① 100± 5℃
② 110± 5℃
③ 115± 5℃
④ 120± 5℃
29. 시멘트 64g, 처음 광유 눈금읽기 1㎖, 시멘트와 광유읽기가 21.4㎖ 일때 시멘트의 비중값은 약 얼마인가?
① 3.14
② 3.16
③ 3.18
④ 3.20
30. 잔골재 비중 및 흡수량 시험에서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시료를 1회 사용할 때 시료의 표준 중량은?
① 300g
② 400g
③ 500g
④ 600g
31. 굵은골재의 비중 및 흡수량 시험과 관련이 없는 시험 기계 및 기구는?
① 시료 분취기
② 항온 건조기
③ 원뿔형 몰드
④ 데시케이터
32.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불순물 시험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메틸알콜
② 탄산암모늄
③ 탄닌산용액
④ 수산화나트륨
33. 배합 설계 중 가장 먼저 해야 할 내용은?
① 슬럼프 값을 정한다.
② 단위 수량을 정한다.
③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를 정한다.
④ 물-시멘트비를 정한다.
34. 아스팔트의 신도시험에서 시험기에 물을 채우고, 물의 온도를 얼마로 유지해야 하는가?
① 23 ± 0.5℃
② 24 ± 0.5℃
③ 25 ± 0.5℃
④ 26 ± 0.5℃
35. 흙의 액성한계시험에 대한 다음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흙이 소성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바뀔때의 함수비를 구하기 위한 시험이다.
② 황동 접시와 경질 고무대와의 간격이 1㎝가 되도록 한다.
③ 크랭크를 초당 2회 정도로 회전 시킨다.
④ 2등분 되었던 흙이 타격으로 인하여 10㎜ 정도 합쳐질 때의 낙하 횟수를 구한다.
36. 도로의 평판 재하 시험에서 침하량은 몇 ㎝를 표준으로하는가?
① 0.125㎝
② 0.250㎝
③ 0.500㎝
④ 0.725㎝
37. 용기의 무게가 15gf 일 때 용기에 시료를 넣어 총무게를 측정하여 475gf 이었고 노건조 시킨 다음 무게가 422gf이었다. 이때의 함수비는?
① 8.67%
② 10.45%
③ 13.02%
④ 25.42%
38. 골재의 내구성을 알기 위하여 황산나트륨 포화 용액으로 인한 골재의 부서짐 작용에 대한 저항성을 시험하는 것은?
① 골재의 안정성 시험
② 골재의 닳음시험
③ 골재의 단위무게 시험
④ 골재의 유기 불순물 시험
39. 반죽질기에 따른 작업의 어렵고 쉬운 정도 및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태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반죽질기(consistency)
② 워커빌리티(workability)
③ 성형성(plasticity)
④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40.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강도라 하면 보통 어느 강도를 말하는가?
① 압축강도
② 인장강도
③ 휨강도
④ 전단강도
41. 잔골재 비중시험 할 때 시료의 준비 및 시험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시료는 시료분취기 또는 4분법에 따라 채취한다.
② 시료를 24± 4시간 동안 물속에 담근다.
③ 시료를 시료 용기에 담아 무게가 일정하게 될 때까지 105± 5℃의 온도로 건조시킨다.
④ 다짐대로 시료의 표면을 가볍게 55회 다진다.
42. 시멘트, 물, 잔골재를 혼합해서 만든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무근 콘크리트
② 철근 콘크리트
③ 모르타르
④ 시멘트 풀
43.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 함유량 시험에서 워싱턴형 공기량 측정기를 사용하는 공기량 측정법은 어느 것인가?
① 무게법
② 공기실 압력법
③ 부피법
④ 공기 계산법
44. 다져진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 간극중 아스팔트가 차지하는 부피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안정도
② 빈틈률
③ 채움률
④ 흐름값
45. 골재의 입도를 시험하는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① 삼축 압축 시험
② 함수비 시험
③ 빈틈률 시험
④ 체가름 시험
46. 반고체 상태에서 고체상태로 변하는 경계의 함수비로서 흙의 부피가 최소로 되어 함수비가 더 이상 감소되어도 부피는 일정할 때의 함수비는?
① 액성한계
② 수축한계
③ 소성한계
④ 최적함수비
47. 함수비 10%인 흙이 2100gf있다. 이흙의 함수비를 20%로 만들려면 물을 얼마나 가하여야 하는가?
① 381.8gf
② 190.9gf
③ 128.4gf
④ 54.7gf
48. 흙의 전단강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흙의 전단강도와 압축강도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② 일반적으로 외력을 가하여 변형할 때 흙의 내부에 전단변형에 대한 응력을 일으킨다.
③ 일반적으로 사질토는 내부 마찰각이 적고 점토질은 점착력이 적다.
④ 외력이 증가하면 전단력에 의해 내부에 있는 어느면에 따라 미끄럼이 일어나 파괴된다.
49. 자연상태의 모래지반을 다져 e가 emin에 이르도록 했다면이 지반의 상대밀도는?
② 0.5
③ 1.0
④ 2.0
50. 평판 재하 시험에서 1.25 mm 침하량에 해당하는 하중 강도가 1.25 kgf/cm2 일때 지지력 계수 (K)는 얼마인가?
① K = 5 kgf/cm3
② K = 15 kgf/cm3
③ K = 10 kgf/cm2
④ K = 10 kgfcm3
51. 다음은 통일 분류법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통일분류법은 A.Casagrande가 고안한 방법이다.
② 흙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1문자와 흙의 속성을 나타내는 제2문자를 이용하여 흙을 분류한다.
③ 조립토, 세립토, 유기질토와 같이 광범위하게 흙을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④ 통일 분류법은 기초의 지지력 판정에 주로 쓰인다.
52. 노반토의 CBR값의 단위를 표시한 것중 옳은 것은?
① %
② ㎏f/cm2
③ ㎏f · ㎝
④ ㎏f/cm3
53. 하중 강도와 침하량을 측정함으로써 기초 지반의 지지력을 추정하는 방법은?
① 다짐 시험
② 평판 재하 시험
③ 일축 압축 시험
④ 콘 관입 시험
54. 옹벽 구조물의 안정을 위해 검토하는 안정 조건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전도에 대한 안정
② 기초 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안정
③ 활동에 대한 안정
④ 벽체 강도에 대한 안정
55.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이로 나타내는 것은?
① 액성지수
② 소성지수
③ 유동지수
④ 터프니스 지수
56. 깊은 기초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말뚝기초
② 피어기초
③ 전면기초
④ 우물통기초
57. 다음 중 유선망(flow net)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유선과 등수두선은 서로 직교한다.
② 침투속도와 동수경사는 유선망의 폭에 비례한다.
③ 유선망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은 이론상 정사각형이다.
④ 인접한 2개의 유선 사이를 흐르는 침투수량은 같다.
58. 비중(GS)이 2.65 이고 간극비(e)가 0.65 인 지반의 한계 동수경사는 얼마인가?
① 1.0
② 1.7
③ 2.0
④ 2.2
59. 흙의 전단강도를 구하기 위한 전단시험법 중 현장시험에 해당하는 것은?
① 일축 압축 시험
② 삼축 압축 시험
③ 베인(vane) 전단 시험
④ 직접 전단 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