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본문 바로가기

회차별문제풀기

1. 알루미나 시멘트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화학작용에 대한 저항성이 작아 풍화되기 쉽다.

조기강도가 커서 긴급공사에 적합하다.

해수공사에는 부적합하나 서중공사에는 적당하다.

발열랑이 적어 매스콘크리트에 적합하다

2. 목재의 건조 방법 중 자연 건조방법은?

끓임법

공기건조법

증기건조법

열기건조법

3. 니트로셀룰로오스에 니트로글리세린을 넣어 콜로이드화 하여 만든 가소성의 폭약은?

교질 다이너마이트

분말상 다이너마이트

칼릿

질산에멀션폭약

4. 석재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석재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해 매우 크다.

흡수율이 클수록 강도가 작고. 동해를 받기 쉽다.

비중이 클수록 압축강도가 크다.

화강암은 내화성이 낮다.

5. 시멘트 저장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방습적인 구조로 된 사일로 또는 창고에 저장하여야 한다.

품종별로 구분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저장량이 많을 경우 또는 저장기간이 길어질 경우 15포대 이상으로 쌓는다.

저장 중에 약간이라도 굳은 시멘트는 공사에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6. 포졸란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부적당한 것은?

블리딩 및 재료 분리가 적어진다.

발열량이 증가한다.

장기 강도가 크다.

수밀성이 커진다.

7. 블론 아스팔트와 비교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탄성이 작다.

연화점이 비교적 낮다.

감온비가 비교적 크다.

내후성이 상당히 크다.

8. 화약취급상 주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다이너마이트는 햇볕의 직사를 피하고 화기가 있는 곳에 두지 않는다.

뇌관과 폭약은 사용에 편리하도록 한곳에 보관한다.

화기와 충격에 대하여 각별히 주의한다.

장기간 보존으로 인한 흡습, 동결에 주의하고 온도와 습도에 의한 품질의 변화가 없도록 해야한다.

9. 콘크리트부재의 크리프( creep )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하중 재하시 코크리트의 재령이 작을수록 크리프는 크게 일어난다.

부재의 치수가 클수록 크리프는 크게 일어난다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크리프는 크게 일어난다.

작용하는 응력이 클수록 크리프는 크게 일어난다.

10. 골재의 밀도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골재가 어떤 상태일때의 밀도를 기준으로 하는가?

노건조상태

공기중 건조상태

표면건조 포화상태

습윤상태

11. 다음 토목공사용 석재중 압축강도가 가장 큰 것은?

대리석

응회암

사암

화강암

12. 백주철을 열처리하여 연성과 인성을 크게 한 주철은 다음중 어느 것인가?

가단주철

보통주철

고급주철

특수주철

13. 콘크리트용 혼화재료 중에서 워커빌리티(workability)를 개선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AE제

응결경화촉진제

감수제

시멘트 분산제

14. 시멘트가 응결할 때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콘크리트 속에 아주 작은 기포가 생기게 하는 혼화제는?

발포제

방수제

AE제

감수제

15. 콘크리트 압축강도용 공시체의 파괴 최대하중이 37100 kg일 때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약 얼마인가? (단. 공시체는 ø15?30cm 임)

53kg/ccm2

105kg/cm2

155kg/cm2

210kg/cm2

16. 흙의 입도시험을 하기 위하여 40%의 과산화수소용액 100g을 6%의 과산화수소 용액으로 만들려고 한다. 물의 양은 약 얼마나 넣으면 되는가?

567g

412g

356g

127g

17. 굵은 골재의 마모시험에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시험기는?

지깅시험기

로스엔젤레스시험기

표준침

원심분리시험기

18.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비중측정

워커빌리티측정

강도측정

입도측정

19. 골재의 체가름시험에서 체 눈에 막힌 알갱이는 어떻게 처리하는가?

파쇄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되밀어 체에 남은 시료로 간주한다.

손으로 힘주어 밀어 빼낸 후 통과된 시료로 간주한다.

부서져도 상관 없으므로 힘껏 빼낸다.

전체 골재에서 제외하여 무효로 한다.

20. 역청혼합물의 소성흐름에 대한 저항력 시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험기는?

마샬시험기

슈미트해머

로스엔젤레스시험기

길모어침

21.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을 할 때 콘크리트를 처음 넣는 양은 슬럼프 시험용 콘 부피의 얼마까지 넣는가?

3/4

1/2

1/3

1/5

22. 시멘트 모르타르 압축강도 시험을 할 때 사용하는 표준 모르타르의 제작시 시멘트와 표준모래의 무게비는?

1 : 2

1 : 2.25

1 : 3

1 : 3.45

23. 흙의 수축한계를 결정하기 위한 수축접시 1개를 만드는 시료의 양으로 적당한 것은?

15g

30g

50g

150g

24. KS F 2414에 규정된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은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얼마 이하인 경우에 적용하는 지 그 기준은?

25mm

50mm

60mm

80mm

25. 흙의 향수비를 측정할 때 시료를 몇 0C로 항은 건조기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하는가?

100±50C

110±50C

120±50C

130±50C

26. 시멘트 비중 시험에서 1회 시험에 사용하는 시멘트의 양은 어느 정도 필요한가?

35g

46g

58g

64g

27. 반죽질기에 따른 직업의 어렵고 쉬운 정도 및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트래피커빌리티

워커빌리티

성형성

피니셔빌리티

28. 콘크리트 배합설계시 단위수량이 160kg/m3, 단위시멘트량이 320kg/m3 일 때 물-시멘트비는 얼마인가?

30%

40%

50%

60%

29. 골재의 안정성 시험에 사용되는 용액으로 알맞은 것은?

황산나트륨용액

황산마그네슘용액

염화칼슘용액

가성소다용액

30. 어느 흙을 체가름시험한 입경가적곡선에서 D10=0.095mm, D30=0.14mm, D60=0.16mm 얻었다. 이 흙의 균등계수는 얼마인가?

0.59

1.68

2.69

3.68

31. 액성한계 시험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0.425mm체로 쳐서 통과한 시료 약 200g 정도를 준비한다.

황동접시의 낙하 높이가 10±1mm가 되도록 낙하장치를 조정한다.

액성한계 시험으로부터 구한 유동곡선에서 낙하 횟수 25회에 해당하는 함수비를 액성한계라 한다.

크랭크를 1초에 2회전의 속도로 접시를 낙하시키며, 시료가 10mm 접촉 할 때까지 회전 시켜 낙하횟수를 기록한다.

32. 모르타르의 압축강도가 140.5kg/cm2이었다. 이 때의 파괴하중(최대하중)은 얼마인가?

584.5kg

1405kg

2405kg

3372kg

33. 아스팔트 침입도 시험에서 침이 시료속으로 0.1mm 들어갔을 때 침입도는?

0.1

1

10

100

34. 콘크리트의 블리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콘크리트의 재료 분리 경향을 알 수 있다.

블리딩이 심하면 콘크리트의 수밀성이 떨어진다.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를 사용하면 블리딩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리딩은 콘크리트를 친 후 5시간이 경과 하여야 블리딩 현상이 발생한다.

3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시험을 위한 공싲체의 제작이 끝나 몰드를 떼어낸 후 습윤 양생을 한다. 이때 가장 적당한 양생온도는?

8~12°8C

12~1601C

18~2201C

26~3002C

36. 흙을 국수모양으로 밀어 지름이 약 3mm굵기에서 부스러질때의 함수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액성한계

수축한계

소성한계

자연한계

37.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불순물 시험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알코올 용액

탄산암모늄 용액

탄닌산 용액

수산화나트륨 용액

38. 슬럼프 시험에서 콘크리트가 내려 앉은 길이를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측정하는가?

3mm

5mm

7mm

10mm

39. 평판재하시험에서 규정된 재하판의 지름치수가 아닌 것은?

30cm

40cm

50cm

75cm

40. 골재의 조립률을 구할 때 사용되는 체가 아닌 것은?

40mm체

25mm체

10mm체

0.15mm체

41. 아스팔트의 인화점이란 무엇인가?

아스팔트 시료를 가열하여 휘발 성분에 불이 붙어 약10초간 불이 붙어 있을 때의 최고 온도를 말한다.

아스팔트 시료를 가열하여 휘발 성분에 불이 붙을때의 최저 온도를 말한다.

아스팔트 시료를 가열하면 기포가 발생하는데 이때의 최고 온도를 말한다.

아스팔트 시료를 잡아당길 때 늘어나다 끊어진 길이를 말한다.

42. 흙의 비중시험에 사용하는 기계 및 기구가 아닌 것은?

스페이서 디스크

항온 건조로

데시케이터

피크노미터

43. 압밀 시험으로부터 얻을 수 없는 것은?

투수계수

압축지수

체적변화계수

연경지수

44. 흙의 연경도에서 소성한계와 액성한계 사이에 있는 흙은 어떤 상태에 있는가?

고체 상태

반고체 상태

소성 상태

액체 상태

45. 점성토에 대하여 일축압축 시험을 한 결과 자연상태의 압축 강도가 1.5kg/cm2이고 되비빔한 경우의 압축강도가 0.28kg/cm2이었다. 이 흙의 예민비는 얼마인가?

1.3

1.9

5.6

17.8

46. 실험실에서 측정된 최대 건조 단위무게가. 1.64g/cm3이었다. 현장 다짐도를 95%로 하는 경우 현장 건조단위무게의 최소치는?

1.73g/cm3

1.62g/cm3

1.56g/cm3

1.45g/cm3

47. 흙의 입자의 크기 순서로 된 것은?

자갈 > 모래 > 점토 > 실트

모래 > 자갈 > 실트 > 점토

자갈 > 모래 > 실트 > 점토

콜로이드 > 모래 > 점토 > 실트

48. 현장다짐을 할 때에 현장 흙의 단위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절삭법

모래 치환법

고무막법

아스팔트 치환법

49. 간극비 1.1. 건조단위무게가 1.205g/cm3 인 흙에 있어서 비중은 얼마인가?

0.890

1.865

2.531

2.651

50. 25mm 침하량에 해당하는 하중 강도가 1.25kg/cm2 일때 지지력 계수(K)는 얼마인가?

K = 5kg/cm3

K = 15kg/cm3

K = 20kg/cm3

K = 10kg/cm3

51. 사질토 지반에서 유출 수량이 급격하게 증대되면서 모래가 분출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침투현상

배수현상

분사현상

동상현상

52. 지름이 40mm, 높이 100mm인 용기에 현장 습윤시료를 채취하여 시료의 무게를 측정 했더니 250g이었다. 흙의 비중이 2.67일 때 습윤 단위 무게(lt)는 약얼마인가?

1g/cm3

2g/cm3

3g/cm3

4g/cm3

53. 최적 함수비 (OMC)를 구하려 한다. 다음 중 어떤 시험을 실시하여야 구할 수 있는가?

CBR시험

다짐시험

일축압축시험

직겁 전단시험

54. 얕은 기초의 종류가 아닌 것은?

전면기초

말뚝기초

독립 푸팅기초

복합 푸팅기초

55. 일축압축시험에서 파괴면과 최대 주응력이 이루는 각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56. 점토와 모래가 섞여있는 지반의 극한지지력이 60t/m2 이라면 이 지반의 허용지지력은? (단, 안전율은 3이다.)

20 t/m2

30 t/m2

40 t/m2

50 t/m2

채점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가로수등대길 2200225500-205
Tel 02-0000-0000 Fax 02-0000-0000
Copyright ⓒ item.bumup.net.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