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1. 알루미나 시멘트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화학작용에 대한 저항성이 작아 풍화되기 쉽다.
② 조기강도가 커서 긴급공사에 적합하다.
③ 해수공사에는 부적합하나 서중공사에는 적당하다.
④ 발열랑이 적어 매스콘크리트에 적합하다
2. 목재의 건조 방법 중 자연 건조방법은?
① 끓임법
② 공기건조법
③ 증기건조법
④ 열기건조법
3. 니트로셀룰로오스에 니트로글리세린을 넣어 콜로이드화 하여 만든 가소성의 폭약은?
① 교질 다이너마이트
② 분말상 다이너마이트
③ 칼릿
④ 질산에멀션폭약
4. 석재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석재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해 매우 크다.
② 흡수율이 클수록 강도가 작고. 동해를 받기 쉽다.
③ 비중이 클수록 압축강도가 크다.
④ 화강암은 내화성이 낮다.
5. 시멘트 저장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방습적인 구조로 된 사일로 또는 창고에 저장하여야 한다.
② 품종별로 구분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③ 저장량이 많을 경우 또는 저장기간이 길어질 경우 15포대 이상으로 쌓는다.
④ 저장 중에 약간이라도 굳은 시멘트는 공사에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6. 포졸란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부적당한 것은?
① 블리딩 및 재료 분리가 적어진다.
② 발열량이 증가한다.
③ 장기 강도가 크다.
④ 수밀성이 커진다.
7. 블론 아스팔트와 비교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탄성이 작다.
② 연화점이 비교적 낮다.
③ 감온비가 비교적 크다.
④ 내후성이 상당히 크다.
8. 화약취급상 주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다이너마이트는 햇볕의 직사를 피하고 화기가 있는 곳에 두지 않는다.
② 뇌관과 폭약은 사용에 편리하도록 한곳에 보관한다.
③ 화기와 충격에 대하여 각별히 주의한다.
④ 장기간 보존으로 인한 흡습, 동결에 주의하고 온도와 습도에 의한 품질의 변화가 없도록 해야한다.
9. 콘크리트부재의 크리프( creep )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하중 재하시 코크리트의 재령이 작을수록 크리프는 크게 일어난다.
② 부재의 치수가 클수록 크리프는 크게 일어난다
③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크리프는 크게 일어난다.
④ 작용하는 응력이 클수록 크리프는 크게 일어난다.
10. 골재의 밀도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골재가 어떤 상태일때의 밀도를 기준으로 하는가?
① 노건조상태
② 공기중 건조상태
③ 표면건조 포화상태
④ 습윤상태
11. 다음 토목공사용 석재중 압축강도가 가장 큰 것은?
① 대리석
② 응회암
③ 사암
④ 화강암
12. 백주철을 열처리하여 연성과 인성을 크게 한 주철은 다음중 어느 것인가?
① 가단주철
② 보통주철
③ 고급주철
④ 특수주철
13. 콘크리트용 혼화재료 중에서 워커빌리티(workability)를 개선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① AE제
② 응결경화촉진제
③ 감수제
④ 시멘트 분산제
14. 시멘트가 응결할 때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콘크리트 속에 아주 작은 기포가 생기게 하는 혼화제는?
① 발포제
② 방수제
③ AE제
④ 감수제
15. 콘크리트 압축강도용 공시체의 파괴 최대하중이 37100 kg일 때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약 얼마인가? (단. 공시체는 ø15?30cm 임)
① 53kg/ccm2
② 105kg/cm2
③ 155kg/cm2
④ 210kg/cm2
16. 흙의 입도시험을 하기 위하여 40%의 과산화수소용액 100g을 6%의 과산화수소 용액으로 만들려고 한다. 물의 양은 약 얼마나 넣으면 되는가?
① 567g
② 412g
③ 356g
④ 127g
17. 굵은 골재의 마모시험에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시험기는?
① 지깅시험기
② 로스엔젤레스시험기
③ 표준침
④ 원심분리시험기
18.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① 비중측정
② 워커빌리티측정
③ 강도측정
④ 입도측정
19. 골재의 체가름시험에서 체 눈에 막힌 알갱이는 어떻게 처리하는가?
① 파쇄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되밀어 체에 남은 시료로 간주한다.
② 손으로 힘주어 밀어 빼낸 후 통과된 시료로 간주한다.
③ 부서져도 상관 없으므로 힘껏 빼낸다.
④ 전체 골재에서 제외하여 무효로 한다.
20. 역청혼합물의 소성흐름에 대한 저항력 시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험기는?
① 마샬시험기
② 슈미트해머
③ 로스엔젤레스시험기
④ 길모어침
21.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을 할 때 콘크리트를 처음 넣는 양은 슬럼프 시험용 콘 부피의 얼마까지 넣는가?
① 3/4
② 1/2
③ 1/3
④ 1/5
22. 시멘트 모르타르 압축강도 시험을 할 때 사용하는 표준 모르타르의 제작시 시멘트와 표준모래의 무게비는?
① 1 : 2
② 1 : 2.25
③ 1 : 3
④ 1 : 3.45
23. 흙의 수축한계를 결정하기 위한 수축접시 1개를 만드는 시료의 양으로 적당한 것은?
① 15g
② 30g
③ 50g
④ 150g
24. KS F 2414에 규정된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은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얼마 이하인 경우에 적용하는 지 그 기준은?
① 25mm
② 50mm
③ 60mm
④ 80mm
25. 흙의 향수비를 측정할 때 시료를 몇 0C로 항은 건조기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하는가?
① 100±50C
② 110±50C
③ 120±50C
④ 130±50C
26. 시멘트 비중 시험에서 1회 시험에 사용하는 시멘트의 양은 어느 정도 필요한가?
① 35g
② 46g
③ 58g
④ 64g
27. 반죽질기에 따른 직업의 어렵고 쉬운 정도 및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트래피커빌리티
② 워커빌리티
③ 성형성
④ 피니셔빌리티
28. 콘크리트 배합설계시 단위수량이 160kg/m3, 단위시멘트량이 320kg/m3 일 때 물-시멘트비는 얼마인가?
① 30%
② 40%
③ 50%
④ 60%
29. 골재의 안정성 시험에 사용되는 용액으로 알맞은 것은?
① 황산나트륨용액
② 황산마그네슘용액
③ 염화칼슘용액
④ 가성소다용액
30. 어느 흙을 체가름시험한 입경가적곡선에서 D10=0.095mm, D30=0.14mm, D60=0.16mm 얻었다. 이 흙의 균등계수는 얼마인가?
① 0.59
② 1.68
③ 2.69
④ 3.68
31. 액성한계 시험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0.425mm체로 쳐서 통과한 시료 약 200g 정도를 준비한다.
② 황동접시의 낙하 높이가 10±1mm가 되도록 낙하장치를 조정한다.
③ 액성한계 시험으로부터 구한 유동곡선에서 낙하 횟수 25회에 해당하는 함수비를 액성한계라 한다.
④ 크랭크를 1초에 2회전의 속도로 접시를 낙하시키며, 시료가 10mm 접촉 할 때까지 회전 시켜 낙하횟수를 기록한다.
32. 모르타르의 압축강도가 140.5kg/cm2이었다. 이 때의 파괴하중(최대하중)은 얼마인가?
① 584.5kg
② 1405kg
③ 2405kg
④ 3372kg
33. 아스팔트 침입도 시험에서 침이 시료속으로 0.1mm 들어갔을 때 침입도는?
① 0.1
② 1
③ 10
④ 100
34. 콘크리트의 블리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콘크리트의 재료 분리 경향을 알 수 있다.
② 블리딩이 심하면 콘크리트의 수밀성이 떨어진다.
③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를 사용하면 블리딩을 줄일 수 있다.
④ 일반적으로 블리딩은 콘크리트를 친 후 5시간이 경과 하여야 블리딩 현상이 발생한다.
3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시험을 위한 공싲체의 제작이 끝나 몰드를 떼어낸 후 습윤 양생을 한다. 이때 가장 적당한 양생온도는?
① 8~12°8C
② 12~1601C
③ 18~2201C
④ 26~3002C
36. 흙을 국수모양으로 밀어 지름이 약 3mm굵기에서 부스러질때의 함수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액성한계
② 수축한계
③ 소성한계
④ 자연한계
37.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불순물 시험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알코올 용액
② 탄산암모늄 용액
③ 탄닌산 용액
④ 수산화나트륨 용액
38. 슬럼프 시험에서 콘크리트가 내려 앉은 길이를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측정하는가?
① 3mm
② 5mm
③ 7mm
④ 10mm
39. 평판재하시험에서 규정된 재하판의 지름치수가 아닌 것은?
① 30cm
② 40cm
③ 50cm
④ 75cm
40. 골재의 조립률을 구할 때 사용되는 체가 아닌 것은?
① 40mm체
② 25mm체
③ 10mm체
④ 0.15mm체
41. 아스팔트의 인화점이란 무엇인가?
① 아스팔트 시료를 가열하여 휘발 성분에 불이 붙어 약10초간 불이 붙어 있을 때의 최고 온도를 말한다.
② 아스팔트 시료를 가열하여 휘발 성분에 불이 붙을때의 최저 온도를 말한다.
③ 아스팔트 시료를 가열하면 기포가 발생하는데 이때의 최고 온도를 말한다.
④ 아스팔트 시료를 잡아당길 때 늘어나다 끊어진 길이를 말한다.
42. 흙의 비중시험에 사용하는 기계 및 기구가 아닌 것은?
① 스페이서 디스크
② 항온 건조로
③ 데시케이터
④ 피크노미터
43. 압밀 시험으로부터 얻을 수 없는 것은?
① 투수계수
② 압축지수
③ 체적변화계수
④ 연경지수
44. 흙의 연경도에서 소성한계와 액성한계 사이에 있는 흙은 어떤 상태에 있는가?
① 고체 상태
② 반고체 상태
③ 소성 상태
④ 액체 상태
45. 점성토에 대하여 일축압축 시험을 한 결과 자연상태의 압축 강도가 1.5kg/cm2이고 되비빔한 경우의 압축강도가 0.28kg/cm2이었다. 이 흙의 예민비는 얼마인가?
① 1.3
② 1.9
③ 5.6
④ 17.8
46. 실험실에서 측정된 최대 건조 단위무게가. 1.64g/cm3이었다. 현장 다짐도를 95%로 하는 경우 현장 건조단위무게의 최소치는?
① 1.73g/cm3
② 1.62g/cm3
③ 1.56g/cm3
④ 1.45g/cm3
47. 흙의 입자의 크기 순서로 된 것은?
① 자갈 > 모래 > 점토 > 실트
② 모래 > 자갈 > 실트 > 점토
③ 자갈 > 모래 > 실트 > 점토
④ 콜로이드 > 모래 > 점토 > 실트
48. 현장다짐을 할 때에 현장 흙의 단위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절삭법
② 모래 치환법
③ 고무막법
④ 아스팔트 치환법
49. 간극비 1.1. 건조단위무게가 1.205g/cm3 인 흙에 있어서 비중은 얼마인가?
① 0.890
② 1.865
③ 2.531
④ 2.651
50. 25mm 침하량에 해당하는 하중 강도가 1.25kg/cm2 일때 지지력 계수(K)는 얼마인가?
① K = 5kg/cm3
② K = 15kg/cm3
③ K = 20kg/cm3
④ K = 10kg/cm3
51. 사질토 지반에서 유출 수량이 급격하게 증대되면서 모래가 분출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침투현상
② 배수현상
③ 분사현상
④ 동상현상
52. 지름이 40mm, 높이 100mm인 용기에 현장 습윤시료를 채취하여 시료의 무게를 측정 했더니 250g이었다. 흙의 비중이 2.67일 때 습윤 단위 무게(lt)는 약얼마인가?
① 1g/cm3
② 2g/cm3
③ 3g/cm3
④ 4g/cm3
53. 최적 함수비 (OMC)를 구하려 한다. 다음 중 어떤 시험을 실시하여야 구할 수 있는가?
① CBR시험
② 다짐시험
③ 일축압축시험
④ 직겁 전단시험
54. 얕은 기초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전면기초
② 말뚝기초
③ 독립 푸팅기초
④ 복합 푸팅기초
55. 일축압축시험에서 파괴면과 최대 주응력이 이루는 각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① ②
③
④
56. 점토와 모래가 섞여있는 지반의 극한지지력이 60t/m2 이라면 이 지반의 허용지지력은? (단, 안전율은 3이다.)
① 20 t/m2
② 30 t/m2
③ 40 t/m2
④ 50 t/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