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1. 주거지역,상업지역의 저장탱크에 폭발방지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저장능력 규모는?
① 10톤 이상
② 15톤 이상
③ 20톤 이상
④ 30톤 이상
2. 가스의 허용농도란 그 분위기 속에서 1일 몇 시간 노출되 더라도 신체 장해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하는가?
① 1시간
② 3시간
③ 5시간
④ 8시간
3. 액화산소의 저장탱크 방류둑은 저장능력 상당 용적의 몇 % 이상으로 하는가?
① 40%
② 60%
③ 80%
④ 100%
4. 고압가스 저장의 기술기준상 틀리는 것은?
① 충전용기에는 넘어짐 및 충격을 방지하는 조치를 할것.
② 가연성가스의 저장실은 누설된 가스가 체류하지 아니 하도록 할 것.
③ 가연성가스를 저장하는 곳에는 휴대용 손전등 외의 등화를 휴대하지 아니할 것.
④ 시안화수소를 저장시에는 1일 2회이상 가스누설을 검사할 것.
5. 최고 사용압력이 저압인 유수식 가스홀더에 갖추어야 할 사항 중 잘못된 것은?
① 맨홀 또는 검사구를 설치할 것
② 가스 방출장치를 설치한 것일 것
③ 수조에 물공급관과 물넘쳐 빠지는 구멍을 설치한 것일 것
④ 봉수의 동결방지 조치를 한 것일 것
6. 특정고압가스 사용 시설의 시설기준 및 기술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저장시설 주위에는 보기 쉽게 경계표지를 할 것
② 사용시설은 습기 등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 할 것
③ 독성가스의 감압설비와 그 가스의 반응설비간의 배관에는 일류 방지 장치를 할 것
④ 고압가스 저장량이 300㎏ 이상인 용기 보관실의 벽은 방호벽으로 할 것
7. LP가스 설비의 조정기 설치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용기 및 조정기 부근에 연소하기 쉬운 물질을 두지 않는다.
② 용기 및 조정기의 설치위치는 통풍이 양호한 곳으로 한다.
③ 조정기 부착시 나사를 정확하고 바르게 접속후 힘을 가하여 무리하게 조인다.
④ 부착후 접속부는 반드시 비눗물로 검사한다.
8. 시안화수소의 중합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제는?
① 질소, 탄산가스
② 아황산가스, 염화칼슘
③ 수증기, 질소
④ 탄산가스, 일산화탄소
9. 공기보다 비중이 가벼운 도시가스의 공급 시설로서 공급 시설이 지하에 설치된 경우 통풍구조는 흡입구 및 배기구의 관경을 몇 ㎜ 이상으로 하는가?
① 50
② 75
③ 100
④ 150
10. 고압가스 운반 기준에서 후부취출식 탱크 외의 탱크는 탱크의 후면과 차량의 뒤범퍼와의 수평거리가 몇 ㎝ 이상이 되도록 탱크를 차량에 고정시켜야 하는가?
① 30㎝ 이상
② 40㎝ 이상
③ 60㎝ 이상
④ 1m 이상
11. 2개 이상의 탱크를 동일한 차량에 고정하여 운반할 때 충전관에 설치하는 것이 아닌 것은?
① 온도계
② 안전밸브
③ 압력계
④ 긴급 탈압밸브
12. 도시가스의 유해성분을 측정할 때 측정하지 않아도 되는 성분은?
① 황
② 황화수소
③ 이산화탄소
④ 암모니아
13. 산소의 임계압력은?
① 20atm
② 33.5atm
③ 50.1atm
④ 72.9atm
14. 염소(Cl2)가스를 취급하다가 눈(目)이 중독되어 충혈 되었을 때, 응급처치의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① 알콜로 소독한다.
② 비누로 세수한다.
③ 붕산수 3% 정도로 씻어낸다.
④ 눈을 감고 쉰다.
15. 일반 도시가스 공급시설 기준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가스공급 시설을 설치하는 실(제조소 및 공급소내에 설치된 것에 한 함)은 양호한 통풍구조로 한다.
② 제조소 또는 공급소에 설치한 가스가 통하는 가스공급 시설의 부근에 설치하는 전기설비는 방폭성능을 가져야 한다.
③ 액화가스가 통하는 가스공급시설에는 당해 가스공급시설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조치를 한다.
④ 가스 공급시설의 내압부분 및 액화가스가 통하는 부분은 최고 사용 압력의 1.1배 이상의 압력으로 실시하는 내압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16. 고압가스 용기를 내압 시험한 결과 전증가량은 400cc, 영구 증가량이 20cc 이다. 항구 증가율은 얼마인가?
① 0.2%
② 0.5%
③ 20%
④ 5%
17. 공기중에서 가연성 물질을 연소 시킬 때 공기중의 산소농도를 증가시키면 연소속도와 발화온도와의 관계는?
① 연소속도-크게됨, 발화온도-크게됨.
② 연소속도-크게됨, 발화온도-낮게됨.
③ 연소속도-낮게됨, 발화온도-크게됨.
④ 연소속도-낮게됨, 발화온도-낮게됨.
18. 가스의 폭발 등과 같이 급속한 압력변화를 측정하는 것에 이용되는 압력계는?
① 부르돈관 압력계
② 피스톤식 압력계
③ 피에조 전기 압력계
④ U자관 압력계
19. 용기 밸브의 그랜드 너트의 6각 모서리에 V형의 홈을 낸것은 무엇을 표시하는가?
① 왼나사임을 표시
② 오른나사임을 표시
③ 암나사임을 표시
④ 수나사임을 표시
20. 독성가스를 운반하는 차량이 갖추어야 될 용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방독면
② 제독제
③ 고무장갑, 고무장화
④ 소화장비
21. 아세틸렌 가스 충전시에 희석제로서 부적합한 것은?
① 메탄
② 프로판
③ 수소
④ 이산화황
22. 염소 및 아황산가스를 제독하기 위한 조치로서 다음 기술중 올바른 것은?
① 대량의 물로 흡수 제독한다.
② 연소설비로 연소하여 제독한다.
③ 가성소다 수용액으로 흡수하여 제독한다.
④ 산성가스 이므로 암모니아로 중화하여 제독한다.
23. 염소가스 누출 검지 경보장치의 경보농도는?
① 1ppm이하
② 5ppm이하
③ 10ppm이하
④ 50ppm이하
24. 독성가스 검지방법 중 암모니아수로 검지하는 가스는?
① SO2
② HCN
③ NH3
④ CO
25. 수소 등의 압축가스 용기의 형태는?
① 이음새 용기
② 무계목 용기
③ 피복 용기
④ 용접 용기
26. 산소 없이 분해폭발을 일으키는 물질이 아닌 것은?
① 아세틸렌
② 산화에틸렌
③ 히드라진
④ 시안화수소
27. 고압가스의 용기의 파열사고의 원인이 아닌 것은?
① 압축산소를 충전한 용기를 차량에 눕혀서 운반하였을 때
② 용기의 내압이 이상 상승하였을 때
③ 용기 재질의 불량으로 인하여 인장강도가 떨어질 때
④ 균열, 내부에 이물질이나 오일이 오염 되었을 때
28. 가연성가스를 취급하는 장소에는 누출된 가스의 폭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설비를 방폭구조로 한다. 다음중 방폭구조가 아닌 것은?
① 안전증 방폭구조
② 내열 방폭구조
③ 압력 방폭구조
④ 내압 방폭구조
29. 시안화 수소 충전시 유지해야할 조건 중 틀린 것은?
① 충전시 농도는 98%이상을 유지한다.
② 안정제는 아황산가스나 황산 등을 사용한다.
③ 저장시는 1일2회 이상 염화제1동착염지로 누출검사를 한다.
④ 용기에 충전한 후 60일이 경과되기전에 다른 용기에 충전한다.
30. 가스사고 조사의 주요 목적과 관계가 적은 것은?
① 가스의 피해를 최소화
② 가스사고 예방
③ 가스사고 유발자 조치
④ 유사사고 재발 방지
31. 2kg/cm2의 압력을 8kg/cm2까지 압축하는 공기 압축기의 잔류가스 팽창이 단열 팽창일 때 체적효율은 얼마인가? (단, 실린더 간극비 εo = 0.06, 공기의 단열지수 K=1.4 이다 )
① 98%
② 90%
③ 82%
④ 75%
32. 회전펌프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왕복펌프와 같은 흡입,토출밸브가 없다
② 점성이 있는 액체에 좋다
③ 토출압력이 높다
④ 연속토출되어 맥동이 많다
33. 고압가스 용기에 사용되는 강의 성분원소중 탄소, 인, 황규소의 작용에 대한 설명을 틀리게 기술한 것은?
① 탄소량이 증가하면 인장강도는 증가한다.
② 황은 적열 취성의 원인이 된다.
③ 인은 상온 취성의 원인이 된다.
④ 규소량이 증가하면 충격치는 증가한다.
34. 윤활유 선택시 주의할 점으로 틀린 것은?
① 사용가스와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것.
② 인화점이 높을 것.
③ 정제도가 높고 잔류탄소의 양이 적을 것.
④ 점도가 적당하고 항유화성이 작을 것.
35. 강관의 스케쥴 번호가 의미하는 것은?
① 파이프의 길이
② 파이프의 바깥지름
③ 파이프의 무게
④ 파이프의 두께
36. 저장탱크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낮아져 탱크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와 관계 없는 것은?
① 압력계
② 진공 안전밸브
③ 압력경보설비
④ 벤트스택
37. 액체 공기의 분리법으로 얻는 가스는?
① 수소
② 염소
③ 질소
④ 암모니아
38. 막식 가스미터의 특징을 기술한 것은?
① 가격은 싸고 설치후 유지관리가 어렵다.
② 대용량의 경우 설치공간이 크다.
③ 계량이 정확하고 사용중 오차의 변동이 거의 없다.
④ 사용중 수위 조정 등의 관리를 요한다.
39. 액면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정전 용량식 액면계는 기상부와 액상부에 초음파 발진기를 두고, 초음파의 시간을 측정하여 액높이를 안다.
② 크린카식 액면계는 투시식과 반사식이 있다.
③ 차압식 액면계는 초저온의 설비에 많이 사용한다.
④ 부자식 액면계는 장기간 사용시 1년에 한번 정도 교정할 필요가 있다.
40. 다음 분말 진공 단열법 중에서 충진용 분말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가성소다
② 퍼얼라이트
③ 규조토
④ 알루미늄 분말
41. 수은을 사용한 U자관 압력계에서, 대기에 개방된 쪽의 액주 높이가 30cm높다. 이 설비의 압력은? (단, 액의 비중은 13.6, 대기압은 1kg/cm2이다.)
① 0.408kg/cm2
② 1.408kg/cm2
③ 0.592kg/cm2
④ 1.013kg/cm2
42. 고압가스설비에 설치하는 벤트스택과 후레아스택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① 후레아스택에서는 화염이 장치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역화방지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② 후레아스택에서 방출하는 가연성가스를 폐기할 때는 흑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을 불어넣는 방법이 이용된다.
③ 가연성가스의 긴급용 벤트스택의 높이는 착지농도가 폭발하한계값 미만이 되도록 충분한 높이로 한다.
④ 벤트스택은 가능한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를 방출해야 한다.
43. 열전대 온도계에서 열전대가 갖추어야 할 성질 중 틀린 것은?
① 기전력이 크고 안정할 것
② 내열성, 내식성이 클 것
③ 전기저항 및 열전도율이 적을 것
④ 온도 상승에 따른 기전력이 일정할 것
44. 압축기에서 다단 압축을 하는 목적으로 틀린 것은?
① 소요 일량의 감소
② 이용 효율의 증대
③ 힘의 평형 양호
④ 토출온도 상승 효과
45. 100 ℉는 섭씨 몇 ℃ 인가?
① 85
② 63.5
③ 45.2
④ 37.8
46. 다음 부취제의 구비조건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② 가스배관, 가스미터 등에 흡착되지 않을 것
③ 물에 잘 녹고 독성이 없을 것
④ 가격이 저렴할 것
47. 수분이 존재하면 일반강재를 부식시키는 가스는?
① 일산화탄소
② 수소
③ 황화수소
④ 질소
48. 액체는 무색 투명하고 특유한 복숭아 향을 가지고 있으며 맹독성이 있고 고농도를 흡입하면 목숨을 잃는 기체는?
① 일산화탄소
② 포스겐
③ 시안화수소
④ 메탄
49. 다음 온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절대 0도는 물의 어는 온도를 0으로 기준한 온도이다
② 임계(臨界)온도 이상시에는 액화되지 않는다
③ 임계온도는 기체를 액화시킬 수 있는 최소의 온도이다
④ 온도의 상한계(上限界)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 절대 온도이다
50. 천연가스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천연가스 채굴시 상당량의 황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제거해야 한다.
② 천연가스의 주성분은 에탄과 프로판이다.
③ 천연가스의 액화 공정으로는 팽창법만을 이용한다.
④ 천연가스 채굴시 혼합되어 있는 고분자 탄화수소 혼합물은 분리하지 않는다.
51. 다음 중 수성가스의 조성에 해당하는 것은?
① CO + H2
② CO2 + H2
③ CO + N2
④ CO2 + N2
52. 0℃, 1atm 하에서 메탄가스의 비용적 (m3/㎏)은?
① 0.7
② 0.9
③ 1.1
④ 1.4
53. 다음 중 암모니아 건조제로 사용되는 것은?
① 진한 황산
② 할로겐 화합물
③ 소다석회
④ 황산동 수용액
54. 일반 가스는 압력이 높아지면 연소 범위가 넓어 진다 오히려 압력이 높으면 연소 범위가 좁아지는 가스는?
① CH4
② CO
③ C4H10
④ C3H8
55. 다음 LNG의 성질 중 틀린 것은?
①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며 에탄, 프로판, 부탄 등이 포함되어 있다.
② LNG가 액화되면 체적이 1/600로 줄어 든다.
③ 무독, 무공해의 청정 가스로 발열량이 약 9500 kcal/m3 정도로 높다.
④ LNG는 기체상태에서는 공기보다 가벼우나 액체 상태에서는 물보다 무겁다.
56. 수소 0.6몰과 질소 0.2몰이 반응하면 몇 몰의 암모니아가 생성하는가?
① 0.2몰
② 0.3몰
③ 0.4몰
④ 0.6몰
57. 표준상태의 부탄가스 비중은? (단, 부탄의 분자량은 58이다.)
① 1.0
② 2.0
③ 20.0
④ 30.0
58. 다음은 현열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① 물질이 상태변화 없이 온도가 변할 때 필요한 열이다
② 물질이 온도변화 없이 상태가 변할 때 필요한 열이다
③ 물질이 상태, 온도 모두 변할 때 필요한 열이다
④ 물질이 온도변화 없이 압력이 변할 때 필요한 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