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1. 아세틸렌의 주된 연소 형식은?
① 확산연소
② 증발 연소
③ 분해연소
④ 표면연소
2. 독성가스 제조시설 식별표자의 글씨 색상은? (단, 가스의 명칭은 제외한다.)
① 백색
② 적색
③ 황색
④ 흑색
3. 운전 중의 제조설비에 대한 일일점검 항목이 아닌 것은?
① 회전기계의 진동, 이상음, 이상온도상승
② 인터록의 작동
③ 가스설비로부터의 누출
④ 가스설비의 조업조건의 변동상황
4. 다음 중 상온에서 압축 시 액화되지 않는 가스는?
① 염소
② 부탄
③ 메탄
④ 프로판
5. 처리능력이라 함은 처리설비 또는 감압설비에 의하여 며칠에 처리 할 수 있는 가스량을 말하는가?
① 1일
② 3일
③ 5일
④ 7일
6. 배관 내의 상용압력이 4MPa 인 도시가스 배관의 압력이 상승하여 경보장치의 경보가 울리기 시작하는 압력은?
① 4MPa 초과시
② 4.2MPa 초과시
③ 5MPa 초과시
④ 5.2MPa 초과시
7. 액화가스 충전시설의 정전기 제거조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탑류, 저장탱크, 열교환기 등은 단독으로 되어 있도록 한다.
② 밴트스택은 본딩용 접속으로 접속하여 공동접지 한다.
③ 접지저항의 총합은 220옴음 이하로 한다.
④ 본딩용 접속의 단면적은 3mm2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8. 용기에 충전하는 시안화수소의 순도는 몇 %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는가?
① 90
② 95
③ 98
④ 99.5
9. 내용적이 300L 인 용기에 액화암모니아를 저장하려고 한다. 이 저장설비의 저장능력은 얼마인가? (단, 액화암모니아의 충전정수는 1.86이다.)
① 161kg
② 232kg
③ 279kg
④ 558kg
10. LPG 용기 충전시설에 설치되는 긴급차단장치에 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저장탱크 외면에서 5m 이상 떨어진 위치에서 조작하는 장치를 설치한다.
② 가상 가스배관 중 송출배관에는 반드시 설치한다.
③ 액상의 가스를 이입하기 위한 배관에는 역류방지밸브로 갈음할 수 있다.
④ 소형 저장탱크에는 의무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11. 에어졸 제조시설에는 온수시험탱크를 갖추어야 한다. 에어졸 충전용기의 가스누출시험 온수온도의 범위는?
① 26℃ 이상 30℃ 미만
② 36℃ 이상 40℃ 미만
③ 46℃ 이상 50℃ 미만
④ 56℃ 이상 60℃ 미만
12. 다음 가스 중 위험도가 가장 큰 것은?
① 프로판
② 일산화탄소
③ 아세틸렌
④ 암모니아
13. 어떤 고압설비의 상용압력이 1.6MPa 일 때 이 설비의 내압시험 압력은 몇 MPa 이상으로 실시하여야 하는가?
① 1.6
② 2.0
③ 2.4
④ 2.7
14. 다음 중 연소의 3요소에 해당되는 것은?
① 공기, 산소공급원, 열
② 가연물, 연료, 빛
③ 가연물, 산소공급원, 공기
④ 가연물, 공기, 점화원
15. 도시가스 배관의 굴착공사 작업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가스 배관과 수평거리 1m 이내에서는 파일박기를 하지 아니한다.
② 항타기는 가스배관과 수평거리가 2m 이상 되는 곳에 설치한다.
③ 가스배관의 주위를 굴착하고자 할 때에는 가스배관의 좌우 1m 이내의 부분은 인력으로 굴착한다.
④ 줄파기 1일 시공량 결정은 시공속도가 가장 느린 천공작업에 맞추어 결정한다.
16. 다음 독성가스 중 제독제로 물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은?
① 암모니아
② 아황산가스
③ 염화메탄
④ 황화수소
17. 인체용 에어졸 제품의 용기에 기재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특정부위에 계속하여 장시간 사용하지 말 것
② 가능한 한 인체에서 10cm 이상 떨어져서 사용할 것
③ 온도가 40℃ 이상 되는 장소에 보관하지 말 것
④ 불 속에 버리지 말 것
18. 차량이 통행하기 곤란한 지역의 경우 액화석유가스 충전 용기를 오토바이에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다. 다음 중 오토바이에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충전용기 기준에 적합한 것은?
① 충전량이 10kg인 충전용기 - 적재 충전용기 2개
② 충전량이 13kg인 충전용기 - 적재 충전용기 3개
③ 충전량이 20kg인 충전용기 - 적재 충전용기 3개
④ 충전량이 20kg인 충전용기 - 적재 충전용기 4개
19. 도시가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국내에서 공급하는 대부분의 도시가스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이다.
② 도시가스는 주로 배관을 통하여 수요가에게 공급된다.
③ 도시가스의 원료로 LPG를 사용할 수 있다.
④ 도시가스는 공기와 혼합만 되면 폭발한다.
20. 일반도시가스 공급시설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가스공급 시설을 설치한 곳에는 누출된 가스가 머물지 아니하도록 환기설비를 설치한다.
② 공동구 안에는 환기장치를 설치하며 전기설비가 있는 공동구에는 그 전기설비를 방폭구조로 한다.
③ 저장탱크의 안전장치인 안전밸브나 파열판에는 가스 방출관을 설치한다.
④ 저장탱크의 안전밸브는 다이어프램식 안전밸브로 한다.
21. 다음 중 냄새로 누출여부를 쉽게 알 수 있는 가스는?
① 질소, 이산화탄소
② 일산화탄소, 아르곤
③ 염소, 암모니아
④ 에탄, 부탄
22. 고압가스용 재충전금지 용기는 안전성 및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 치수를 갖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납붙임 부분은 용기 몸체 두께의 4배 이상의 길이로 한다.
② 최고충전압력(MPa)의 수치와 내용적(L)의 수치와의 곱이 100 이하로 한다.
③ 최고충전압력이 35.5MPa 이하이고 내용적이 20리터 이하로 한다.
④ 최고충전압력이 3.5MPa 이상인 경우에는 내용적이 5리터 이하로 한다.
23. 도시가스의 배관에 표시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사용가스명
② 최고사용압력
③ 가스의 흐름방향
④ 가스공급자명
24. 흡수식 냉동설비의 냉동능력 정의로 올바른 것은?
① 발생기를 가열하는 1시간의 입열량 3천 320kcal를 1일의 냉동능력 1톤으로 본다.
② 발생기를 가열하는 1시간의 입열량 6천 640kcal를 1일의 냉동능력 1톤으로 본다.
③ 발생기를 가열하는 24시간의 입열량 3천 320kcal를 1일의 냉동능력 1톤으로 본다.
④ 발생기를 가열하는 24시간의 입열량 6천 640kcal를 1일의 냉동능력 1톤으로 본다.
25. 고압가스 일반제조시설에서 아세틸렌가스를 용기에 충전하는 경우에 방호벽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곳은?
① 압축기의 유분리기와 고압건조기 사이
② 압축기와 아세틸렌가스 충전장소 사이
③ 압축기와 아세틸렌가스 충전용기 보관장소 사이
④ 충전장소와 아세틸렌 충전용주관밸브 조작밸브 사이
26. 습식아세틸렌발생기의 표면온도는 몇 ℃ 이하를 유지하여야 하는가?
① 70
② 90
③ 100
④ 110
27. 운전 중인 액화석유가스 충전설비의 작동상황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점검 주기는?
① 1일에 1회 이상
② 1주일에 1회 이상
③ 3월에 1회 이상
④ 6월에 1회 이상
28. 독성가스의 제독작업에 필요한 보호구 장착훈련의 주기는?
① 1개월마다 1회 이상
② 2개월마다 1회 이상
③ 3개월마다 1회 이상
④ 6개월마다 1회 이상
29. 특정설비 재검사 면제대상이 아닌 것은?
① 차량에 고정된 탱크
② 초저온 압력용기
③ 역화방지장치
④ 독성가스배관용 밸브
30. 내용적 1L 이하의 일회용 용기로서 라이터충전용, 연료가스용 등으로 사용하는 용기는?
① 용접용기
② 이음매 없는 용기
③ 접합 또는 납붙임용기
④ 융착용기
31. 가연성가스의 제조설비 내에 설치하는 전기기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1종 장소에는 원칙적으로 전기설비를 설치해서는 안 된다.
② 안전증 방폭구조는 전기기기의 불꽃이나 아크를 발생하여 착화원이 될 염려가 있는 부분을 기름속에 넣은 것이다.
③ 2종 장소는 정상의 상태에서 폭발성 분위기가 연속하여 또는 장시간 생성되는 장소를 말한다.
④ 가연성가스가 존재할 수 있는 위험장소는 1종 장소, 2종 장소 및 0종 장소로 분류하고 위험장소에서는 방폭형 전기기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32. 발연황산시약을 사용한 오르자트법 또는 브롬시약을 사용한 뷰렛법에 의한 시험에서 순도가 98% 이상이고, 질산은 시약을 사용한 정성시험에서 합격한 것을 품질검사기준으로 하는 가스는?
① 시안화수소
② 산화에틸렌
③ 아세틸렌
④ 산소
33. 진탕형 오토클레이브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가스 누출의 가능성이 없다.
② 고압력에 사용할 수 있고 반응물의 오손이 없다.
③ 뚜껑판에 뚫어진 구멍에 촉매가 끼여 들어갈 염려가 있다.
④ 교반효과가 뛰어나며 교반형에 비하여 효과가 크다.
34. 압축기에서 두압이란?
① 흡입 압력이다.
② 증발기내의 압력이다.
③ 크랭크 케이스내의 압력이다.
④ 피스톤 상부의 압력이다.
35. 저장탱크 및 가스홀더는 가스가 누출되지 않는 구조로 하고 얼마 이상의 가스를 저장하는 것에는 가스방출장치를 설치하는가?
① 1m3
② 3m3
③ 5m3
④ 10m3
36. 탱크로리 충전작업 중 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탱크 상부로 충전 시
② 과 충전시
③ 가스 누출 시
④ 안전밸브 작동 시
37. 암모니아용 부르돈관 압력계의 재질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황동
② AI강
③ 청동
④ 연강
38. 증기 압축식 냉동기에서 냉매가 순환되는 경로로 옳은 것은?
① 압축기 → 증발기 → 응축기 → 팽창밸브
② 증발기 → 응축기 → 압축기 → 팽창밸브
③ 증발기 → 팽창밸브 → 응축기 → 압축기
④ 압축기 → 응축기 → 팽창밸브 → 증발기
39. 도시가스배관의 접합방법 중 강관의 접합방법으로 사용 하지 않는 것은?
① 나사접합
② 용접접합
③ 플렌지접합.
④ 압축접합
40. 터보식 펌프로서 비교적 저양정에 적합하며, 효율 변화가 비교적 급한 펌프는?
① 원심 펌프
② 축류 펌프
③ 왕복 펌프
④ 베인 펌프
41. 연료의 배기가스를 화학적으로 액속에 흡수시켜 그 용량의 감소로 가스의 농도를 분석하며 3개의 피펫과 1개의 뷰렛, 2개의 수준병으로 구성된 가스분석 방법은?
① 헴펠(Hempel)법
② 오르자트(Orsat)법
③ 게겔(Gockel)법
④ 직접(lodimetry)법
42. 차압식 유량계의 계측 원리는?
①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
② 피스톤의 회전을 적산
③ 전열선의 저항값을 이용
④ 전자유도법칙을 이용
43. 온도계의 선정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지시 및 기록 등을 쉽게 행할 수 있을 것
② 견고하고 내구성이 있을 것
③ 취급하기가 쉽고 측정하기 간편할 것
④ 피측 온체의 화학반응 등으로 온도계에 영향이 있을 것
44. 아세틸렌 용기에 충전하는 다공성 물질이 아닌 것은?
① 석면
② 목탄
③ 폴리에틸렌
④ 다공성 플라스틱
45. 다음 중 압력 환산 값을 서로 옳게 나타낸 것은?
① 1lb/ft2 ≒ 0.142kg/cm2
② 1kg/cm2 ≒ 13.7lb/in2
③ 1atm ≒ 1033g/cm2
④ 76cmHg ≒ 1013dyne/cm2
46. 고압가스안전관리법령에 따라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1MPa 이상이 되는 압축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1MPa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고압가스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압력은 어떠한 압력을 말하는가?
① 대기압
② 게이지압력
③ 절대압력
④ 진공압력
47. 다음 중 유해한 유황 화합물 제거방법에서 건식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활성탄 흡착법
② 산화철 접촉법
③ 몰리큘러시이브 흡착법
④ 시이볼트법
48. 표준 대기압에서 물의 동결(凍結)온도로서 값이 틀린 하나는?
① 0˚F
② 0℃
③ 273K
④ 492˚R
49. 포스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순수한 것은 무색, 무취의 기체이다.
② 수산화나트륨에 빨리 흡수된다.
③ 폭발성과 인화성이 크다.
④ 화학식은 COCI 이다.
50. 어떤 액체의 비중이 13.6이다. 액체 표면에서 수직으로 15m 깊이에서의 압력은?
① 2.04kg/cm2
② 20.4kg/cm2
③ 2.04kg/m2
④ 20.4kg/mm2
51. 아세틸렌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분해 폭발성이 있는 가스이므로 단독으로 가압하여 충전할 수 없다.
② 염소와 반응하여 염화비닐을 만든다.
③ 염화수소와 반응하여 사염화에탄이 생성된다.
④ 융점은 약 82℃ 정도이다.
52. 다음 중 냉매로 사용되며 무독성인 기체는?
① CCl2F2
② NH3
③ CO
④ SO2
53. 에틸렌 제조의 원료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나프타
② 에탄올
③ 프로판
④ 염화메탄
54. 공기 중 함유량이 큰 것부터 차례로 나열된 것은?
① 네온 > 아르곤 > 헬륨
② 네온 > 헬륨 > 아르곤
③ 아르곤 > 네온 > 헬륨
④ 아르곤 > 헬륨 > 네온
55. 가열로에서 20℃물 1000kg을 80℃ 온수로 만들려고 한다. 프로판 가스는 약 몇 kg 이 필요한가? (단, 가열로의 열효율은 90%이며, 프로판가스의 열량은 12000kcal/kg 이다.)
① 4.6
② 5.6
③ 6.6
④ 7.6
56. “기체 혼합물의 전 부피는 동일 온도 및 압력하에서 각 성분 기체의 부분부피의 합과 같다.” 는 혼합기체의 법칙은?
① Amagat의 법칙
② Boyle의 법칙
③ Chales의 법칙
④ Dalton의 법칙
57. 수소와 산소의 비가 얼마일 때 폭명기라고 하는가?
① 2:1
② 1:1
③ 1:2
④ 3:2
58. 고체연료인 석탄의 공업분석 항목으로 옳은 것은?
① 탄소
② 회분
③ 수소
④ 질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