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1.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에서 저장능력 2톤인 경우 저장설비가 화기 취급장소와 유지하여야 하는 우회거리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① 2m
② 3m
③ 5m
④ 8m
2. 고압가스 운반책임자를 꼭 동승하여야 하는 경우로서 틀린 것은?
① 압축가스인 수소 500m3를 적재하여 운반할 경우
② 압축가스인 산소 800m3를 적재하여 운반할 경우
③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한 납붙임용기 1,000kg을 적재하여 운반할 경우
④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한 탱크로리로서 3,000kg을 적재하여 운반할 경우
3. 고압가스 충전용기의 운반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충전용기를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때는 붉은 글씨로 “위험고압가스” 라는 경계표시를 할 것
② 운반 중의 충전용기는 항상 50℃ 이하로 유지할 것
③ 하역 작업 시에는 완충판 위에서 취급하며 이를 항상 차량에 비치할 것
④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프 등으로 결속할 것
4. 배관용 탄소강관에 아연(Zn)을 도금하는 주된 이유는?
① 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② 보온성을 증대하기 위해
③ 내식성을 증대하기 위해
④ 부식성을 증대하기 위해
5. 에어졸 제조설비 및 에어졸 충전용기 저장소는 화기 및 인화성물질과 얼마 이상의 우회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는가?
① 5m
② 8m
③ 12m
④ 20m
6. 도시가스의 유해성분 측정 대상이 아닌 것은?
① 황
② 황화수소
③ 이산화탄소
④ 암모니아
7.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가스는?
① 철도차량의 에어콘디셔너 안의 고압가스
② 냉동능력 3톤 미만인 냉동설비 안의 고압가스
③ 용접용 아세틸렌가스
④ 액화브롬화메탄 제조설비외에 있는 액화브롬화메탄
8. 다음 중 동일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수 없는 경우는?
① 산소와 질소
② 질소와 탄산가스
③ 탄산가스와 아세틸렌
④ 염소와 아세틸렌
9. 가연성가스의 발화도 범위가 85℃ 초과 100℃ 이하는 다음 발화도 범위에 따른 방폭전기기기의 온도등급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① T3
② T4
③ T5
④ T6
10. 고압가스를 차량으로 운반할 때 몇 km 이상의 거리를 운행하는 경우에 중간에 휴식을 취한 후 운행하도록 되어 있는가?
① 100
② 200
③ 300
④ 400
11. 가연성가스라 함은 공기 중에서 연소하는 가스로서 폭발한계의 하한과 폭발한계의 상한을 규정하고 있다. 하한값으로 옳은 것은?
① 10퍼센트 이하
② 20퍼센트 이하
③ 10퍼센트 이상
④ 20퍼센트 이상
12. 고압가스 배관에서 상용압력이 0.2MPa 이상 1MPa미만인 경우 공지의 폭은 얼마로 정해져 있는가?(단, 전용 공업지역 이외의 경우이다.)
① 3m 이상
② 5m 이상
③ 9m 이상
④ 15m 이상
13. 액화석유가스를 자동차에 충전하는 충전호스의 길이는 몇 m이내이어야 하는가?(단, 자동차 제조공정 중에 설치된 것은 제외한다.)
① 3
② 5
③ 8
④ 10
14. 액화석유가스(LPG)의 기화장치의 액유출방지장치와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액유출방지장치 작동여부는 기화장치의 압력계로 확인이 가능하다.
② 액유출 현상의 발생이 감지되면 신속히 기화장치의 입구밸브를 잠가 더 이상의 액상가스 유입을 막아야 한다.
③ 액유출 현상이 발생되면 대부분 조정기 전단에서 결로현상이나 성애가 끼는 현상이 발생한다.
④ 액유출 현상이 발생하면 액 팽창에 의해 조정기 및 계량기가 파손될 수 있다.
15. 가스난방기구가 보급되면서 급배기 불량으로 인명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그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① N2 발생
② CO2 발생
③ CO 발생
④ 연소되지 않은 생가스 발생
16. 부탄가스용 연소기의 명판에 기재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연소기명
② 제조자의 형식호칭
③ 연소기재질명
④ 제조(로트)번호
17. 가스를 사용하려 하는데 밸브에 얼음이 얼어붙었다. 이 때 조치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40℃ 이하의 더운물을 사용하여 녹인다.
② 80℃의 램프로 가열하여 녹인다.
③ 100℃의 뜨거운 물을 사용하여 녹인다.
④ 가스토치로 가열하여 녹인다.
18. 아황산가스의 제독제로 갖추어야 할 것이 아닌 것은?
① 가성소다수용액
② 소석회
③ 탄산소다수용액
④ 물
19. 수소 취급 시 주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소용기의 안전밸브는 가용전식과 파열판식을 병용한다.
② 용기밸브는 오른나사이다.
③ 수소 가스는 피로카롤 시약을 사용한 오르자트법에 의한 시험법에서 순도가 98.5% 이상이어야 한다.
④ 공업용 용기 도색은 주황색이고, “연”자 표시는 백색이다.
20. 다음 중 같은 용기보관실에 저장이 가능한 가스는?
① 산소, 수소
② 염소, 질소
③ 아세틸렌, 염소
④ 암모니아, 산소
21. 원심식 압축기를 사용하는 냉동설비는 원동기 정격출력 얼마를 1일의 냉동능력 1톤으로 하는가?
① 1.2KW
② 2.4KW
③ 3.6KW
④ 4.8KW
22. 고압가스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배관은 건축물과는 1.5m, 지하도로 및 터널과는 1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② 독성가스의 배관은 그 가스가 혼입될 우려가 있는 수도시설과는 30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③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지하의 다른 시설물과 0.3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④ 지표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 매설깊이는 산이나 들에서는 1.2m 이상, 그 밖의 지역에서는 1.0m 이상으로 한다.
23. 고압가스에 대한 사고예방설비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연성가스의 가스설비 중 전기설비는 그 설치장소 및 그 가스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방폭성능을 가지는 것일 것
② 고압가스설비에는 그 설비안의 압력이 내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즉시 그 압력을 내압압력 이하로 되돌릴 수 있는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③ 폭발 등의 위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특수반응설비에는 그 위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반응 감시설비 및 위험사태발생 방지설비의 설치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④ 저장탱크 및 배관에는 그 저장탱크 및 배관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할 것
24. 도시가스 사업소 내에서 긴급사태 발생 시 필요한 연락을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통신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이 때 인터폰을 설치하는 경우의 통신범위는 어느 것인가?
① 안전관리자가 상주하는 사업소와 현장 사업소와의 사이
② 사업소내 전체
③ 종업원 상호간
④ 사업소 책임자와 종업원 상호간
25. 고압가스용기의 안전점검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용기의 부식, 도색 및 표시 확인
② 용기의 캡이 씌워져 있거나 프로텍터의 부착여부 확인
③ 재검사기간의 도래여부 확인
④ 용기의 누출을 성냥불로 확인
26. 일반도시가스 사업자 정압기의 분해점검 실시 주기는?
① 3개월에 1회 이상
② 6개월에 1회 이상
③ 1년에 1회 이상
④ 2년에 1회 이상
27. 다음 중 폭발한계의 범위가 가장 좁은 것은?
① 프로판
② 암모니아
③ 수소
④ 아세틸렌
28.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의 배관시설에서 검지경보장치의 검출부를 설치하여야 하는 장소가 아닌 것은?
① 긴급차단장치의 부분
② 방호구조물 등에 의하여 개방되어 설치된 배관의 부분
③ 누출된 가스가 체류하기 쉬운 구조인 배관의 부분
④ 슬리이브관, 이중관 등에 의하여 밀폐되어 설치된 배관의 부분
29. 고압장치 운전 중 점검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가스경보기의 상태
② 진동 및 소음 상태
③ 누출 상태
④ 벨트의 이완 상태
30. 0℃, 1atm에서 4ℓ인 기체는 273℃, 1atm일 때 몇 ℓ가 되는가?
① 2
② 4
③ 8
④ 12
31. 수소취성을 방지하기 위해 강에 첨가하는 원소로서 옳은 것은?
① Cr
② Al
③ Mn
④ P
32. 원심펌프를 직렬로 연결시켜 운전하면 무엇이 증가하는가?
① 양정
② 동력
③ 유량
④ 효율
33. 펌프가 운전 중에 한숨을 쉬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어 토출구 및 흡입구에서 압력계의 바늘이 흔들리며 동시에 유량이 변화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캐비테이션(공동현상)
② 워터햄머링(수격작용)
③ 바이브레이션(진동현상)
④ 서어징(맥동현상)
34. 수은을 이용한 U자관 압력계에서 액주높이(h) 600㎜, 대기압(P1)은 1kg/cm2일 때, P2는 약 몇 kg/cm2인가?
① 0.22
② 0.92
③ 1.82
④ 9.16
35. 액면계로부터 가스가 방출되었을 때 인화 또는 중독의 우려가 없는 가스에만 사용할 수 있는 액면계가 아닌 것은?
① 고정 튜브식
② 회전 튜브식
③ 슬립 튜브식
④ 평형 튜브식
36. 무급유압축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카본(Carbon)링식
② 테프론(Teflon)링식
③ 다이어프램(Diaphragm)식
④ 브론즈(Bronze)식
37. 계측과 제어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조업조건의 안정화
② 고효율화
③ 작업인원의 증가
④ 안전위생관리
38. 공기액화 분리장치의 이산화탄소 흡수탑에서 가성소다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다. 이 반응식으로 옳은 것은?
① 2NaOH+CO2 → Na2CO3+H2O
② 2NaOH+3CO2 → Na2CO3+2CO+H2O
③ NaOH+CO2 → Na2CO3+H2O
④ NaOH+2CO2 → NaCO3+CO+H2O
39. 다음 중 용기 파열사고의 원인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용기의 내압력 부족
② 용기 내압의 상승
③ 안전밸브의 작동
④ 용기 내에서 폭발성혼합가스에 의한 발화
40. 고압가스 일반제조시설의 배관 중 압축가스 배관에서 설치하여야 하는 계측기기는?
① 온도계
② 압력계
③ 풍향계
④ 가스분석계
41. 가스액화 분리장치 중 원료 가스를 저온에서 분리하는 장치는?
① 한냉장치
② 정류장치
③ 열교환장치
④ 불순물제거장치
42. 고압가스관련 설비에 해당되지 않는 시설은?
① 안전밸브
② 긴급차단장치
③ 특정고압가스용 실린더캐비닛
④ 압력조정기
43. 원심압축기의 회전속도를 1.2배로 증가시키면 약 몇 배의 동력이 필요한가?
① 1.2배
② 1.4배
③ 1.7배
④ 2.0배
44. 저온 정밀 증류법을 이용하여 주로 분석할 수 있는 가스는?
① 탄화수소의 혼합가스
② SO2가스
③ CO2가스
④ O2가스
45. 다음 배관재료 중 사용온도 350℃ 이하, 압력 1MPa에서 10MPa까지의 LPG 및 도시가스의 고압관에 사용되는 것은?
① SPP
② SPW
③ SPPW
④ SPPS
46. 표준 대기압에서 1BTU의 의미는?
① 순수한 물 1kg을 1℃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
② 순수한 물 1lb을 1℃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
③ 순수한 물 1kg을 1℉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
④ 순수한 물 1lb을 1℉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
47. 다음 중 가스와 그 용도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수소 : 경화유제조, 산소 : 용접, 절단용
② 수소 : 경화유제조, 이산화탄소 : 포스겐제조
③ 산소 : 용접, 절단용, 이산화탄소 : 포스겐제조
④ 수소 : 경화유제조, 염소 : 청량음료
48. 다음 중 독성이며 가연성의 가스는?
① 수소
② 일산화탄소
③ 이산화탄소
④ 헬륨
49. 산소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소와 반응하여 격렬하게 폭발한다.
② 유지류와 접촉 시 폭발의 위험이 있다.
③ 공기 중에서 무성 방전시키면 과산화수소(H2O2)가 발생된다.
④ 산소의 분압이 높아지면 폭굉범위가 넓어진다.
50. 다음 화합물 중 탄소의 함유량이 가장 많은 것은?
① CO2
② CH4
③ C2H4
④ CO
51. 다음 중 저장소의 바닥환기에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하는 가스는?
① 메탄
② 에틸렌
③ 아세틸렌
④ 부탄
52. 염소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염소 자체는 폭발성, 인화성은 없다.
② 상온에서 자극성의 냄새가 있는 맥동성 기체이다.
③ 염소와 산소의 1 : 1혼합물을 염소폭명기라고 한다.
④ 수분이 있으면 염산이 생성되어 부식성이 강해진다.
53. 8kg의 물을 18℃에서 98℃까지 상승시키는데 표준상태에서 0.034m3의 LP가스를 연소시켰다. 프로판의 발열량이 24,000kcal/m3이라면, 이때의 열효율은 약 몇 %인가?
① 48.6
② 59.3
③ 66.6
④ 78.4
54. 천연가스의 주성분인 물질의 분자량은?
① 16
② 32
③ 44
④ 58
55. 1KW의 열량을 환산한 것으로 옳은 것은?
① 536kcal/h
② 632kcal/h
③ 720kcal/h
④ 860kcal/h
56. 다음 중 1Nm3의 총발열량이 가장 큰 가스는?
① 프로판
② 부탄
③ 수소
④ 도시가스
57. 도시가스제조소의 패널에 의한 부취제의 농도측정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냄새주머니법
② 오더미터법
③ 주사기법
④ 가스분석기법
58. 화씨온도 86℉는 몇 ℃인가?
① 30
② 35
③ 40
④ 45
59. 아연, 구리, 은, 코발트 등과 같은 금속과 반응하여 착이온을 만드는 가스는?
① 암모니아
② 염소
③ 아세틸렌
④ 질소
60. LPG의 증기압력과 온도와의 관계로서 옳은 것은?
①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압력도 증가한다.
② 온도와 압력과는 관련이 없다.
③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압력은 떨어진다.
④ 온도가 내려감에 다라 압력은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