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1. 건축물 내 도시가스 매설배관으로 부적합한 것은?
① 동관
② 강관
③ 스테인리스강
④ 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
2. 시안화수소를 충전한 용기는 충전 후 몇 시간 정치한 뒤 가스의 누출검사를 해야 하는가?
① 6
② 12
③ 18
④ 24
3. 도시가스공급시설의 공사계획 승인 및 신고대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제조소 안에서 액화가스용저장탱크의 위치변경 공사는 공사계획 신고대상이다.
② 밸브기지의 위치변경 공사는 공사계획 신고대상이다.
③ 호칭지름이 50㎜ 이하인 저압의 공급관을 설치하는 공사는 공사계획 신고대상에서 제외한다.
④ 저압인 사용자공급관 50m를 변경하는 공사는 공사계획 신고대상이다.
4. 고압가스용 냉동기에 설치하는 안전장치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고압차단장치는 그 설정압력이 눈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② 고압차단장치는 원칙적으로 자동복귀방식으로 한다.
③ 안전밸브는 작동압력을 설정한 후 봉인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④ 안전밸브 각부의 가스통과 면적은 안전밸브의 구경면적 이상으로 한다.
5. 염소(Cl2)의 재해 방지용으로서 흡수제 및 재해제가 아닌 것은?
① 가성소다 수용액
② 소석회
③ 탄산소다 수용액
④ 물
6. 일반도시가스사업 가스공급시설의 입상관 밸브는 분리가 가능한 것으로서 바닥으로부터 몇 m 범위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① 0.5 ~ 1.0m
② 1.2 ~ 1,5m
③ 1.6 ~ 2.0m
④ 2.5 ~ 3.0m
7. 연소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인화점이 낮을수록 위험성이 크다.
② 인화점보다 착화점의 온도가 낮다.
③ 발열량이 높을수록 착화온도는 낮아진다.
④ 가스의 온도가 높아지면 연소범위는 넓어진다.
8. 독성가스 저장시설의 제독 조치로써 옳지 않은 것은?
① 흡수, 중화조치
② 흡착 제거조치
③ 이송설비로 대기 중에 배출
④ 연소조치
9. 다음 굴착공사 중 굴착공사를 하기 전에 도시가스사업자와 협의를 하여야 하는 것은?
① 굴착공사 예정지역 범위에 묻혀 있는 도시가스배관의 길이가 110m인 굴착공사
② 굴착공사 예정지역 범위에 묻혀 있는 송유관의 길이가 200m인 굴착공사
③ 해당 굴착공사로 인하여 압력이 3.2kPa인 도시가스배관의 길이가 30m 노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굴착공사
④ 해당 굴착공사로 인하여 압력이 0.8MPa인 도시가스배관의 길이가 8m 노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굴착공사
10. 고압가스 제조설비에 설치하는 가스누출경보 및 자동차단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계기실 내부에도 1개 이상 설치한다.
② 잡가스에는 경보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한다.
③ 누출을 검지하여 그 농도를 지시함과 동시에 경보를 울리는 방식으로 한다.
④ 가연성 가스의 제조설비에 격막 갈바니 전지방식의 것을 설치한다.
11. 일반도시가스사업자의 가스공급시설 중 정압기의 분해 점검 주기의 기준은?
① 1년에 1회 이상
② 2년에 1회 이상
③ 3년에 1회 이상
④ 5년에 1회 이상
12. 공기 중 폭발범위에 따른 위험도가 가장 큰 가스는?
① 암모니아
② 황화수소
③ 석탄가스
④ 이황화탄소
13. 공기 중에서 폭발하한치가 가장 낮은 것은?
① 시안화수소
② 암모니아
③ 에틸렌
④ 부탄
14. 폭발등급은 안전간격에 따라 구분한다. 폭발 등급 Ⅰ급이 아닌 것은?
① 일산화탄소
② 메탄
③ 암모니아
④ 수소
15. 아세틸렌은 폭발 형태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폭발은?
① 화합폭발
② 중합폭발
③ 산화폭발
④ 분해폭발
16.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가스는?
① 철도차량의 에어콘디셔너 안의 고압가스
② 냉동능력 3톤 미만인 냉동설비 안의 고압가스
③ 용접용 아세틸렌가스
④ 액화브롬화메탄 제조설비 외에 있는 액화브롬화메탄
17.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을 변경하여 도시가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실시하여야 하는 안전조치 중 잘못 설명한 것은?
① 일반도시가스사업자는 도시가스를 공급한 이후에 연소기 변경 사실을 확인하여야 한다.
② 액화석유가스의 배관 양단에 막음조치를 하고 호스는 철거하여 설치하려는 도시가스 배관과 구분되도록 한다.
③ 용기 및 부대설비가 액화석유가스 공급자의 소유인 경우에는 도시가스공급 예정일까지 용기 등을 철거해 줄 것을 공급자에게 요청해야 한다.
④ 도시가스로 연료를 전환하기 전에 액화석유가스 안전공급계약을 해지하고 용기 등의 철거와 안전조치를 확인 하여야 한다.
18. 고압가스설비에 장치하는 압력계의 눈금은?
① 상용압력의 2.5배 이상, 3배 이하
② 상용압력의 2배 이상, 2.5배 이하
③ 상용압력의 1.5배 이상, 2배 이하
④ 상용압력의 1배 이상, 1.5배 이하
19. LP가스 충전설비의 작동 상황 점검주기로 옳은 것은?
① 1일 1회 이상
② 1주일 1회 이상
③ 1월 1회 이상
④ 1년 1회 이상
20. 다음 중 가연성이면서 유독한 가스는?
① NH3
② H2
③ CH4
④ N2
21. 시안화수소(HCN)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인화온도가 아주 낮다.
② 오래된 시안화수소는 자체 폭발할 수 있다.
③ 용기에 충전한 후 60일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④ 호흡 시 흡입하면 위험하나 피부에 묻으면 아무 이상이 없다.
22. 도시가스 배관의 지하매설 시 사용하는 침상재료(Bedding)는 배관 하단에서 배관 상단 몇 ㎝까지 포설하는가?
① 10
② 20
③ 30
④ 40
23. 다음은 이동식 압축도시가스 자동차충전시설을 점검한 내용이다. 이 중 기준에 부적합한 경우는?
① 이동충전차량과 가스배관구를 연결하는 호스의 길이가 6m이었다.
② 가스배관구 주위에는 가스배관구를 보호하기 위하여 높이 40㎝, 두께 13㎝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었다.
③ 이동충전차량과 충전설비 사이 거리는 8m이었고, 이동충전차량과 충전설비 사이에 강판제 방호벽이 설치되어 있었다.
④ 충전설비 근처 및 충전설비에서 6m 이상 떨어진 장소에 수동 긴급차단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었으며 눈에 잘 띄었다.
24. 고정식 압축도시가스자동차 충전의 저장설비, 처리설비, 압축가스설비, 외부에 설치하는 경계책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긴급차단장치를 설치할 경우는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② 방호벽(철근콘크리트로 만든 것)을 설치할 경우는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③ 처리설비 및 압축가스설비가 밀폐형 구조물 안에 설치된 경우는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④ 저장설비 및 처리설비가 액확산방지시설 내에 설치된 경우는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25. 고압가스 용기의 파열사고 원인으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압축산소를 충전한 용기를 차량에 눕혀서 운반하였을 때
② 용기의 내압이 이상 상승하였을 때
③ 용기 재질의 불량으로 인하여 인장강도가 떨어질 때
④ 균열 되었을 때
26. 도시가스사용시설 중 자연배기식 반밀폐식 보일러에서 배기톱의 옥상돌출부는 지붕면으로부터 수직거리로 몇 ㎝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① 30
② 50
③ 90
④ 100
27. 자동차용 압축천연가스 완속충전설비에서 실린더 내경이 100㎜, 실린더의 행정이 200㎜, 회전수가 100rpm일 때 처리능력(m3/h)은 얼마인가?
① 9.42
② 8.21
③ 7.05
④ 6.15
28. 공정과 설비의 고장형태 및 영향, 고장형태별 위험도 순위 등을 결정하는 안전성평가기법은?
① 예비위험분석(PHA)
② 위험과 운전분석(HAZOP)
③ 결함수분석(FTA)
④ 이상 위험도 분석(FMECA)
29. 다음 중 왕복식 펌프에 해당하는 것은?
① 기어펌프
② 베인펌프
③ 터빈펌프
④ 플런저펌프
30. LP가스 공급방식 중 자연기화 방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기화능력이 좋아 대량 소비 시에 적당하다.
② 가스 조성의 변화량이 크다.
③ 설비장소가 크게 된다.
④ 발열량의 변화량이 크다.
31. LPG를 탱크로리에서 저장탱크로 이송 시 작업을 중단해야 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과충전이 된 경우
② 충전기에서 자동차에 충전하고 있을 때
③ 작업 중 주위에 화재 발생 시
④ 누출이 생길 경우
32. 저온액화가스 탱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의 침입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연결된 배관을 통한 열전도
② 단열재를 충전한 공간에 남은 가스분자의 열전도
③ 내면으로 부터의 열전도
④ 외면의 열복사
33. 내압이 0.4~0.5MPa 이상이고, LPG나 액화가스와 같이 낮은 비점의 액체일 때 사용되는 터보식 펌프의 메카니컬 시일 형식은?
① 더블 시일
② 아웃사이드 시일
③ 밸런스 시일
④ 언밸런스 시일
34. 3단 토출압력이 2MPa·g이고, 압축비가 2인 4단공기압축기에서 1단 흡입 압력은 약 몇 MPa·g인가?
① 0.16MPa·g
② 0.26MPa·g
③ 0.36MPa·g
④ 0.46MPa·g
35. 대형 저장탱크 내를 가는 스테인리스관으로 상하로 움직여 관내에서 분출하는 가스상태와 액체상태의 경계면을 찾아 액면을 측정하는 액면계로 옳은 것은?
① 슬립튜브식 액면계
② 유리관식 액면계
③ 클링커식 액면계
④ 플로트식 액면계
36. 다음 배관재료 중 사용온도 350℃ 이하, 압력이 10MPa 이상의 고압관에 사용되는 것은?
① SPP
② SPPH
③ SPPW
④ SPPG
37. 반복하중에 의해 재료의 저항력이 저하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교축
② 크리프
③ 피로
④ 응력
38. 펌프의 실제 송출유량을 Q, 펌프 내부에서의 누설유량을 0.6Q, 임펠러 속을 지나는 유량을 1.6Q라 할 때 펌프의 체적효율(ηV)은?
① 3.75%
② 40%
③ 60%
④ 62.5%
39. 도시가스의 측정 사항에 있어서 반드시 측정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① 농도 측정
② 연소성 측정
③ 압력 측정
④ 열량 측정
40. 가연성가스를 냉매로 사용하는 냉동제조시설의 수액기에는 액면계를 설치한다. 다음 중 수액기의 액면계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① 환형유리관 액면계
② 차압식 액면계
③ 초음파식 액면계
④ 방사선식 액면계
41. 가연성가스 검출기 중 탄광에서 발생하는 CH4의 농도를 측정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은?
① 간섭계형
② 안전등형
③ 열선형
④ 반도체형
42. LP가스 자동차충전소에서 사용하는 디스펜서(Dispenser)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① LP가스 충전소에서 용기에 일정량의 LP가스를 충전하는 충전기기이다.
② LP가스 충전소에서 용기에 충전하는 가스용적을 계량하는 기기이다.
③ 압축기를 이용하여 탱크로리에서 저장탱크로 LP가스를 이송하는 장치이다.
④ 펌프를 이용하여 LP가스를 저장탱크로 이송할 때 사용하는 안전장치이다.
43. 일산화탄소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산화성이 강한 가스이다.
② 공기보다 약간 가벼우므로 수상치환으로 포집한다.
③ 개미산에 진한 황산을 작용시켜 만든다.
④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과 반응하여 산소의 운반력을 저하시킨다.
44. 수은주 760㎜Hg 압력은 수주로 얼마가 되는가?
① 9.33 mH2O
② 10.33 mH2O
③ 11.33 mH2O
④ 12.33 mH2O
45. 고압가스 종류별 발생 현상 또는 작용으로 틀린 것은?
① 수소 ? 탈탄작용
② 아세틸렌 ? 아세틸라이드 생성
③ 염소 ? 부식
④ 암모니아 ? 카르보닐 생성
46. 100J 일의 양을 cal 단위로 나타내면 약 얼마인가?
① 24
② 40
③ 240
④ 400
47. 정압비열(Cp)와 정적비열(Cv)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열비(k)를 옳게 나타낸 것은?
① k = Cp/Cv
② k = Cv/Cp
③ k < 1
④ k = Cv-Cp
48. 고압가스의 성질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① 가연성 가스
② 액화 가스
③ 조연성 가스
④ 불연성 가스
49. 다음 중 확산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① O2
② N2
③ CH4
④ CO2
50. 다음 각 온도의 단위환산 관계로서 틀린 것은?
① 0℃ = 273K
② 32℉ = 492°R
③ 0K = -273℃
④ 0K = 460°R
51. 수소의 공업적 용도가 아닌 것은?
① 수증기의 합성
② 경화유의 제조
③ 메탄올의 합성
④ 암모니아 합성
52.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절대온도와 체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① 절대온도와 체적은 비례한다.
② 절대온도와 체적은 반비례한다.
③ 절대온도는 체적의 제곱에 비례한다.
④ 절대온도는 체적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53. 다음 중 수소(H2)의 제조법이 아닌 것은?
① 공기액화 분리법
② 석유 분해법
③ 천연가스 분해법
④ 일산화탄소 전화법
54. 프로판의 완전연소 반응식으로 옳은 것은?
① C3H8+4O2 → 3CO2+2H2O
② C3H8+5O2 → 3CO2+4H2O
③ C3H8+2O2 → 3CO+H2O
④ C3H8+O2 → CO2+H2O
55. 도시가스 제조방식 중 촉매를 사용하여 사용온도 400~800℃에서 탄화수소와 수증기를 반응시켜 수소, 메탄, 일산화탄소, 탄산가스 등의 저급 탄화수소로 변환시키는 프로세스는?
① 열분해 프로세스
② 접촉분해 프로세스
③ 부분연소 프로세스
④ 수소화분해 프로세스
56. 표준상태에서 분자량이 44인 기체의 밀도는?
① 1.96g/L
② 1.96kg/L
③ 1.55g/L
④ 1.55kg/L
57. 다음 중 저장소의 바닥부 환기에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하는 가스는?
① 메탄
② 에틴엘
③ 아세틸렌
④ 부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