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본문 바로가기

회차별문제풀기

1. 가스용기의 취급 및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충전 시 용기는 용기 재검사기간이 지나지 않았는지를 확인한다.

LPG용기나 밸브를 가열할 때는 뜨거운 물(40℃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충전한 후에는 용기밸브의 누출여부를 확인한다.

용기 내에 잔류물이 있을 때에는 잔류물을 제거하고 충전한다.

2. LP가스설비를 수리할 때 내부의 LP가스를 질소 또는 물로 치환하고, 치환에 사용된 가스나 액체를 공기로 재 치환 결과가 산소농도측정기로 측정하여 산소농도가 얼마의 범위 내에 있을 때까지 공기로 재 치환하여야 하는가?

4~6%

7~11%

12~16%

18~22%

3. 가스사용시설의 배관을 움직이지 아니하도록 고정 부착하는 조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관경이 13㎜ 미만인 것에는 1,000㎜마다 고정 부착하는 조치를 해야 한다.

관경이 33㎜ 이상인 것에는 3,000㎜마다 고정 부착하는 조치를 해야 한다.

관경이 13㎜ 이상 33㎜ 미만인 것에는 2,000㎜마다 고정 부착하는 조치를 해야 한다.

관경이 43㎜ 이상의 것에는 4,000㎜마다 고정 부착하는 조치를 해야 한다.

4. 내용적이 300ℓ인 용기에 액화암모니아를 저장하려고 한다. 이 저장설비의 저장능력은 얼마인가? (단, 액화암모니아의 충전정수는 1.86이다.)

161kg

232kg

279kg

558kg

5. 도시가스 공급배관에서 입상관의 밸브는 바닥으로부터 몇 m범위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1m 이상, 1.5m 이내

1.6m 이상, 2m 이내

1m 이상, 2m 이내

1.5m 이상, 3m 이내

6. 다음 가스의 저장시설 중 반드시 통풍구조로 하여야 하는 곳은?

산소 저장소

질소 저장소

헬륨 저장소

부탄 저장소

7. 독성가스 제조시설 식별표지의 글씨 색상은? (단, 가스의 명칭은 제외한다.)

백색

적색

노란색

흑색

8. 다음 독성가스 중 제독제로 물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암모니아

아황산가스

염화메탄

황화수소

9. 다음 중 공기 액화분리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폭발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액체공기 중에 산소의 혼입

공기 취입구에서 아세틸렌의 침입

윤활유 분해에 의한 탄화수소의 생성

산화질소(NO), 과산화질소(NO2)의 혼입

10. 일반도시가스 공급시설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가스공급 시설을 설치하는 실(제조소 및 공급소 내에 설치된 것에 한함)은 양호한 통풍구조로 한다.

제조소 또는 공급소에 설치한 가스가 통하는 가스공급 시설의 부근에 설치하는 전기설비는 방폭성능을 가져야 한다.

가스방출관의 방출구는 지면으로부터 5m 이상의 높이로 설치하여야 한다.

고압 또는 중압의 가스 공급시설은 최고 사용 압력의 1.1배 이상의 압력으로 실시하는 내압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11. 산화에틸렌의 충전 시 산화에틸렌의 저장탱크는 그 내부의 분위기가스를 질소 또는 탄산가스로 치환하고 몇 ℃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5

15

40

60

12. LP가스의 용기 보관실 바닥 면적이 3m3이라면 통풍구의 크기는 몇 cm2 이상으로 하도록 되어 있는가?

500cm2

700cm2

900cm2

1,100cm2

13. 고압가스 품질검사에서 산소의 경우 동 ㆍ 암모니아 시약을 사용한 오르잣드법에 의한 시험에서 순도가 몇 % 이상 이어야 하는가?

98

98.5

99

99.5

14. 다음 각 가스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연성가스의 고압배관 밸브를 급격히 열면 배관 내의 철, 녹 등이 급격히 움직여 발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염소와 암모니아를 접촉할 때, 염소과잉의 경우는 대단히 강한 폭발성 물질인 NCl3를 생성하여 사고발생의 원인이 된다.

아르곤은 수은과 접촉하면 위험한 성질인 아르곤 수은을 생성하여 사고발생의 원인이 된다.

암모니아용의 장치나 계기로서 구리나 구리합금을 사용하면 금속이온과 반응하여 착이온을 만들어 위험하다.

15. 아세틸렌 용기에 다공질 물질을 고루 채운 후 아세틸렌을 충전하기 전에 침윤시키는 물질은?

알코올

아세톤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16. 액화석유가스가 공기 중에 누출시 그 농도가 몇 %일 때 감지할 수 있도록 냄새가 나는 물질(부취제)을 섞는가?

0.1

0.5

1

2

17. 탄화수소에서 탄소의 수가 증가할 때 생기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증기압이 낮아진다.

발화점이 낮아진다.

비등점이 낮아진다.

폭발 하한계가 낮아진다.

18. 압축 또는 액화 그 밖의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가스의 용적이 1일 100m3 이상인 사업소는 압력계를 몇 개 이상 비치하도록 되어 있는가?

1

2

3

4

19. 다음 중 아세틸렌, 암모니아 또는 수소와 동일 차량에 적재 운반할 수 없는 가스는?

염소

액화석유가스

질소

일산화탄소

20. 다음 각 가스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산화에틸렌은 분해폭발성 가스이다.

포스겐의 비점은 -128℃로서 매우 낮다.

염소는 가연성가스로서 물에 매우 잘 녹는다.

일산화탄소는 가연성이며 액화하기 쉬운 가스이다.

21. 용기 또는 용기밸브에 안전밸브를 설치하는 이유는?

규정량 이상의 가스를 충전하였을 때 여분의 가스를 분출하기 위해

용기내 압력이 이상 상승 시 용기파열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출구가 막혔을 때 가스출구로 사용하기 위해

분석용 가스출구로 사용하기 위해

22. 다음 중 연소기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화(back fire)의 원인이 아닌 것은?

염공이 적게 되었을 때

가스의 압력이 너무 낮을 때

콕이 충분히 열리지 않았을 때

버너 위에 큰 용기를 올려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23. 방류둑의 내측 및 그 외면으로부터 몇 m 이내에 그 저장탱크의 부속설비 외의 것을 설치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는가?

10

20

30

50

24. 도시가스 지하 매설용 중압배관의 색상은?

황색

적색

청색

흑색

25.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중 비가연성 가스의 저장탱크는 몇 m3 이상일 경우에 지진영향에 대한 안전한 구조로 설계하여야 하는가?

5

250

500

1,000

26. 독성가스의 저장탱크에는 가스의 용량이 그 저장탱크 내용적의 90%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장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경보장치

액면계

긴급차단장치

과충전방지장치

27. 다음 중 고압가스 운반 등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고압가스를 운반하는 때에는 재해방지를 위하여 필요한 주의사항을 기재한 서면을 운전자에게 교부하고 운전 중 휴대하게 한다.

차량의 고장, 교통사정 또는 운전자의 휴식 등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장시간 정차하여서는 안 된다.

고속도로 운행 중 점심식사를 하기 위해 운반책임자와 운전자가 동시에 차량을 이탈할 때에는 시건장치를 하여야 한다.

지정한 도로, 시간, 속도에 따라 운반하여야 한다.

28. 다음 가스 중 착화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메탄

에틸렌

아세틸렌

일산화탄소

29. 다음 중 보일러 중독사고의 주원인이 되는 가스는?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질소

염소

30. 산소운반 차량에 고정된 탱크의 내용적은 몇 ℓ를 초과할 수 없는가?

12,000

18,000

24,000

30,000

31. 펌프를 운전할 때 송출압력과 송출유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여 펌프의 토출구 및 흡입구에서 압력계의 지침이 흔들리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맥동(Surging)현상

진동(Vibration)현상

공동(Cavitation)현상

수격(Water hammering)현상

32. 다음 중 왕복식 펌프에 해당하는 것은?

기어펌프

베인펌프

터빈펌프

플런저펌프

33. 다음 배관 부속품 중 관 끝을 막을 때 사용하는 것은?

소켓

니플

엘보

34. 다음 중 흡수 분석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헴펠법

활성알루미나겔법

오르자트법

게겔법

35. 다이아프램식 압력계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정확성이 높다.

반응속도가 빠르다.

온도에 따른 영향이 적다.

미소압력을 측정할 때 유리하다.

36. 부하변화가 큰 곳에 사용되는 정압기의 특성을 의미하는 것은?

정특성

동특성

유량특성

속도특성

37. 다음 중 저온장치에서 사용되는 저온단열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고진공 단열법

분말진공 단열법

다층진공 단열법

단층진공 단열법

38. 루트 미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설치공간이 크다.

일반 수용가에 적합하다.

스트레이너가 필요 없다.

대용량의 가스측정에 적합하다.

39. 다음 중 상온취성의 원인이 되는 원소는?

S

P

Cr

Mn

40. 2,000rpm으로 회전하는 펌프를 3,500rpm으로 변환하는 경우 펌프의 유량과 양정은 몇 배가되는가?

유량 : 2.65, 양정 : 4.12

유량 : 3.06, 양정 : 1.75

유량 : 3.06, 양정 : 5.36

유량 : 1.75, 양정 : 3.06

41. 40ℓ의 질소 충전용기에 20℃, 150atm의 질소가스가 들어있다. 이 용기의 질소분자의 수는 얼마인가? (단, 아보가드로수는 6.02×1023이다.)

4.8×1021

1.5×1024

2.4×1024

1.5×1026

42. LP가스의 이송설비 중 압축기에 의한 공급방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이송시간이 짧다.

재액화의 우려가 없다.

잔가스 회수가 용이하다.

베이퍼록 현상의 우려가 없다.

43. 원심식 압축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용량 조정 범위는 비교적 좁고, 어려운 편이다.

압축비가 크며, 효율이 대단히 높다.

연속토출로 맥동현상이 크다.

서징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44. 소용돌이를 유체 중에 일으켜 소용돌이의 발생수가 유속과 비례하는 것을 응용한 형식의 유량계는?

오리피스식

부자식

와류식

전자식

45. 열전대 온도계 보호관의 구비조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압력에 견디는 힘이 강할 것

외부 온도변화를 열전대에 전하는 속도가 느릴 것

보호관 재료가 열전대에 유해한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을 것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고 온도의 급변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 것

46. 다음 가스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질소는 안정된 가스로 불활성가스라고도 하며, 고온, 고압에서도 금속과 화합하지 않는다.

산소는 액체공기를 분류하여 제조하는 반응성이 강한 가스로 그 자신이 잘 연소한다.

염소는 반응성이 강한 가스로 강재에 대하여 상온, 건조한 상태에서도 현저한 부식성을 갖는다.

아세틸렌은 은(Ag), 수은(Hg) 등의 금속과 반응하여 폭발성물질을 생성한다.

47. 다음 가스 중 열전도율이 가장 큰 것은?

H2

N2

CO2

SO2

48. 다음 중 게이지압력을 옳게 표시한 것은?

게이지압력 = 절대압력 - 대기압

게이지압력 = 대기압 - 절대압력

게이지압력 = 대기압 + 절대압력

게이지압력 = 절대압력 + 진공압력

49. 다음 중 표준상태에서 가스상 탄화수소의 점도가 가장 높은 가스는?

에탄

메탄

부탄

프로판

50. 다음 중 액화석유가스의 주성분이 아닌 것은?

부탄

헵탄

프로판

프로필렌

51. 다음 중 같은 조건하에서 기체의 확산속도가 가장 느린 것은?

O2

CO2

C3H8

C4H10

52. 다음 중 LNG(액화천연가스)의 주성분은?

C3H8

C2H6

CH4

H2

53. 다음의 가스가 누출될 때 사용되는 시험지와 변색상태를 옳게 짝지어진 것은?

포스겐 : 하리슨시약 - 청색

황화수소 : 초산납시험지 - 흑색

시안화수소 : 초산벤지딘지 - 적색

일산화탄소 : 요오드칼륨전분지 - 황색

54. 나프타의 성상과 가스화에 미치는 영향 중 PONA값의 각 의미에 대하여 잘못 나타낸 것은?

P : 파라핀계탄화수소

O : 올레핀계탄화수소

N : 나프텐계탄화수소

A : 지방족탄화수소

55. 아세틸렌의 분해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희석제가 아닌 것은?

에틸렌

산소

메탄

질소

56. 다음 중 NH3의 용도가 아닌 것은?

요소제조

질산제조

유안제조

포스겐제조

57. 다음 중 시안화수소에 안정제를 첨가하는 주된 이유는?

분해 폭발하므로

산화폭발을 일으킬 염려가 있으므로

시안화수소는 강한 인화성 액체이므로

소량의 수분으로도 중합하여 그 열로 인해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58. 다음 중 섭씨온도(℃)의 눈금과 일치하는 화씨온도(℉)는?

-10

-30

-40

59. 표준상태(0℃, 101.3KPa)에서 메탄(CH4)가스의 비체적(ℓ/g)은 얼마인가?

0.71

1.40

1.71

2.40

60. 도시가스 배관이 10m 수직상승했을 경우 배관내의 압력상승은 약 몇 Pa이 되겠는가? (단, 가스의 비중은 0.65이다.)

44

64

86

105

채점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가로수등대길 2200225500-205
Tel 02-0000-0000 Fax 02-0000-0000
Copyright ⓒ item.bumup.net.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