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1.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지 않은 것은?
① 유압 펌프
② 수압기
③ 공기 압축기
④ 내부확장식 제동장치
2. 유압유가 갖추어야 할 조건중 잘못 서술한 것은 어느 것인가 ?
① 비 압축성이고 활동부에서 시일역할을 할 것.
②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도 용이하게 유동할 것.
③ 인화점이 낮고 부식성이 없을 것.
④ 물, 공기, 먼지 등을 빨리 분리할 것.
3. 다음의 유량제어 밸브중에서 압력 보상이 되는 것은?
① 스톱 밸브
② 니이들 밸브
③ 유량 조정 밸브
④ 트로틀 밸브
4. 유압유에 수분이 혼입될 때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① 작동유의 윤활성을 저하 시킨다.
② 작동유의 방청성을 저하시킨다.
③ 케비테이션이 발생한다.
④ 작동유의 압축성이 증가한다.
5. 호스 이음재료가 못 되는 것은?
① 강
② 황동
③ 고무
④ 스테인레스강
6. 기화기의 벤튜리관에서 연료를 흡입하는 원리를 잘 설명 할 수 있는 것은?
① 베르누이의 정리
② 보일 샤를의 법칙
③ 파스칼의 원리
④ 연속의 법칙
7. 에너지로서의 공기압을 만드는 기계는 어느 것인가 ?
① 공기 냉각기
② 공기 압축기
③ 공기 탱크
④ 공기 건조기
8. 압력제어 밸브가 아닌 것은 ?
① 무부하밸브
② 카운터 밸런스밸브
③ 체크밸브
④ 릴리프밸브
9. 흡착식 공기 건조기에서 사용되는 고체 흡착제는 ?
① 암모니아
② 실리카 겔
③ 프레온 가스
④ 진한 황산
10. 실린더 행정 중 임의의 위치에 실린더를 고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회로는?
① 로킹회로
② 무부하회로
③ 동조회로
④ 릴리프회로
11. 기어 펌프의 소음 원인이 아닌 것은?
① 기어 정밀도 불량
② 압력의 급하강으로 인한 충격
③ 밀폐현상
④ 공기흡입
12. 압축공기가 건조제를 통과할 때 물이나 증기가 건조제에 닿으면 화합물이 형성되어 건조제와 물의 혼합물로 용해되어 건조되는 것은 ?
①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② 흡수식 에어 드라이어
③ 냉동식 에어 드라이어
④ 혼합식 에어 드라이어
13. 공기 압축기를 압축원리, 구조로부터 분류할 때 터보형 압축기는?
① 피스톤식
② 스크루식
③ 다이어프램식
④ 원심식
14. 공압 장치인 서비스 유닛의 구성품으로 맞는 것은?
① 윤활기, 필터, 감압밸브
② 윤활기, 실린더, 압축기
③ 압축기, 탱크, 필터
④ 압축기, 필터, 모터
15. 다음 중 유압 액추에이터가 아닌 것은?
① 펌프
② 실린더
③ 모터
④ 요동형 모터
16. 유압 작동유의 점도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점도지수가 너무 크면 유압 장치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② 점도지수가 크면 온도 변화에 대한 유압 작동유의 점도 변화가 크다.
③ 점도지수가 작은 경우, 저온에서 작동할 때 예비운전 시간이 짧아진다.
④ 점도지수가 작은 경우, 정상운전 시에 누유량이 감소된다.
17. 방향제어밸브를 기호로 표시할 때 필요하지 않은 것은?
① 작동방법
② 밸브의 기능
③ 밸브의 구조
④ 귀환 방법
18. 다음의 방향 밸브 중 3개의 작동유 접속구와 2개의 위치를 가지고 있는 밸브는 어느 것인가?
① ②
③
④
19. 유압 장치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소형 장치로 큰 힘을 발생한다
② 고압 사용으로 인한 위험성이 있다
③ 일의 방향을 쉽게 변환시키기 어렵다
④ 무단 변속이 가능하고 정확한 위치제어를 할 수 있다
20. 공압장치의 공압 밸브 조작방식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인력조작 방식
② 래치조작 방식
③ 파일럿조작 방식
④ 전기조작 방식
21. 다음에서 기계방식의 구동이 아닌 것은?
① ②
③
④
22. 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류회로에 사용할 수 없는 콘덴서는?
① 전해 콘덴서
② 세라믹 콘덴서
③ 마이카 콘덴서
④ 마일러 콘덴서
23. 직류 전동기의 속도 제어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계자 제어법
② 저항 제어법
③ 전압 제어법
④ 주파수 제어법
24. 다음 제어용 기기 중 과부하 및 단락 사고인 경우 자동 차단되어 개폐기 역할을 겸하는 것은?
① 퓨즈
② 릴레이
③ 리밋 스위치
④ 노 퓨즈 브레이커
25. 전류 측정시 안전 및 유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측정 전 날씨의 조건(습도)을 확인한다.
② 직류 전류계를 사용할 때 전원의 극성을 틀리지 않도록 접속한다.
③ 회로 연결시 그 접속에 따른 접촉 저항이 작도록 해야 한다.
④ 전류계의 내부 저항이 작을수록 회로에 주는 영향이 작고, 그 측정오차도 작다.
26. 사인파 교류 전류에서 실효값은 최대값의 몇 배가 되는가?
① 0.27배
② 0,5배
③ 0.707배
④ 1.11배
27. 변압기 및 전기 기기의 철심으로 얇은 철판을 겹쳐서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을 줄이기 위함인가?
① 자기 흡인력
② 유도 기전력
③ 맴돌이 전류손
④ 상호 인덕턴스
28. 콜라우슈 브리지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것은?
① 직류 전압
② 접지 저항
③ 교류 전압
④ 절연 저항
29. 전동기의 전자력은 어떤 법칙으로 설명하는가?
①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② 플레밍의 왼손 법칙
③ 렌츠의 법칙
④ 비오-사바르의 법칙
30. 동기전동기의 용도가 아닌 것은?
① 가정용 소형 선풍기
② 각종의 압축기
③ 시멘트 공장의 분쇄기
④ 제지공장의 쇄목기
31. 일반적인 도체의 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단면적이 크면 저항은 작아진다.
② 길이가 길면 저항은 증가한다.
③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도 증가한다.
④ 단면적, 길이, 온도와 무관하다.
32. 용접부의 비파괴 시험방법 기호를 나타낸 것 중 틀린 것은?
① 방사선 투과시험 : XT
② 초음파 탐상시험 : UT
③ 자기분말 탐상시험 : MT
④ 침투 탐상시험 : PT
33. 다음 중 도면에 사용되는 가는 1점 쇄선의 용도가 아닌 것은?
① 중심선
② 기준선
③ 피치선
④ 해칭선
34. 코일의 평균지름(D) mm, 소선의 지름(d) mm 라 할 때, 스프링지수(C)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① C = d × D
② C = d/D
③ C = 2d/D
④ C = D/d
35. 다음 중 방향이 변화하지 않고 일정한 방향에 반복적으로 연속하여 작용하는 하중은?
① 집중하중
② 분포하중
③ 교번하중
④ 반복하중
36. 훅의 법칙(Hook's law)이 성립되는 범위는?
① 최대 강도점
② 탄성 한도
③ 비례 한도
④ 항복점
37. 마찰면을 원뿔형 또는 원판으로 하여 나사나 레버 등으로 축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형식의 브레이크는?
① 밴드브레이크
② 블록브레이크
③ 전자브레이크
④ 원판브레이크
38. 키의 길이가 50 mm, 접선력은 6000kgf, 키의 전단 응력은 20kgf/mm2일 때 키의 폭은?
① 6mm
② 30mm
③ 12mm
④ 9mm
39. 다음 중 모멘트의 단위는?
① kg · m/s2
② N · m
③ kW
④ ㎏f · m/s
40. 다음 중 가장 큰 하중이 걸리는데 사용되는 키는?
① 새들 키
② 묻힘 키
③ 둥근 키
④ 평 키
41. 핀의 용도 중 틀린 것은?
① 2개 이상의 부품을 결합하는데 사용
② 나사 및 너트의 이완 방지
③ 분해 조립할 부품의 위치 결정
④ 분해가 필요 없는 곳의 영구 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