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1. 전기제어에 사용되는 접점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a접점
② b접점
③ c접점
④ d접점
2. 난연성 유압유가 아닌 것은?
① 석유계(石油係)
② 인산 에스테르계
③ 유화계(乳化係)
④ 물 - 글리코올계
3. 오일 쿨러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증기식
② 공랭식
③ 수랭식
④ 냉동식
4. 다음 밸브 중 방향 제어 밸브에 속하는 것은?
① 니들 밸브
② 스로틀 밸브
③ 리듀싱 밸브
④ 2포트 2위치 밸브
5. 다음 중 압력 제어 밸브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유량특성
② 압력조정특성
③ 인터폴로특성
④ 히스테리시스특성
6. 2개의 안정된 출력 상태를 가지고, 입력 유무에 관계없이 직전에 가해진 압력의 상태를 출력상태로서 유지하는 회로는?
① 부스터 회로
② 플립플롭 회로
③ 카운터 회로
④ 레지스터 회로
7. 다음 중 체적효율이 가장 높은 펌프는?
① 외접 기어 펌프
② 평형형 베인 펌프
③ 내접 기어 펌프
④ 회전 피스톤 펌프
8. 기호 요소 중 회전축, 레버, 피스톤 로드 등을 나타내는 기호는?
① 반원
② 정사각형
③ 복선
④ 일점쇄선
9. 기계 에너지를 유압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는?
① 유압모터
② 유압펌프
③ 유압밸브
④ 유압실린더
10. 공기압 조정유닛의 기능이 아닌 것은?
① 여과 기능
② 윤활 기능
③ 저장 기능
④ 압력 조절 기능
11. 공압의 장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큰 힘을 쉽게 얻을 수 있다.
②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다.
③ 에너지 축적이 용이하다.
④ 힘의 증폭이 용이하고 속도조절이 간단하다.
12. 공압실린더의 전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밸브는?
① 셧-오프 밸브
② 방향 조절 밸브
③ 유량 조절 밸브
④ 압력 조절 밸브
13. 공압 시스템에서 부하의 변동시 비교적 안정된 속도가 얻어지는 속도제어 방법은?
① 미터 인 방법
② 미터 아웃 방법
③ 블리드 온 방법
④ 블리드 오프 방법
14. 공기의 압축성 때문에 스틱 슬립(Stick-slip) 현상이 생겨 속도가 안정되지 않을 때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는?
① 증압기
② 충격 방출기
③ 증폭기
④ 공유압 변환기
15. 진공발생기에서 진공이 발생하는 것은 어떤 원리를 이용한 것인가?
① 샤를의 원리
② 파스칼의 원리
③ 벤투리 원리
④ 토리첼리의 원리
16. OR 논리를 만족시키는 밸브는?
① 2압 밸브
② 급속 배기 밸브
③ 셔틀 밸브
④ 압력 시퀀스 밸브
17. 용접식 압축기 중 가장 깨끗한 공기를 만들 수 있는 공기압축기는?
① 피스톤 압축기
② 축류식 압축기
③ 스크루 압축기
④ 다이어프램 압축기
18. 유압작동유가 구비하여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① 압축성이어야 한다.
② 열을 방출시킬 수 있어야 한다.
③ 적절한 점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④ 장시간 사용하여도 화학적으로 안정되어야 한다.
19. 포핏 방식의 방향 전환 밸브가 갖는 장점이 아닌 것은?
① 누설이 거의 없다.
② 밸브 이동 거리가 짧다.
③ 조작에 힘이 적게 든다.
④ 먼지, 이물질의 영향이 적다.
20. 피스톤에 공기 압력을 급격하게 작용시켜 피스톤을 고속으로 움직이며, 이때의 속도 에너지를 이용하는 공기압 실린더는?
① 탠덤형 공압 실린더
② 다위치형 공압 실린더
③ 텔레스코프형 공압 실린더
④ 임팩트 실린더형 공압 실린더
21. 공압장치의 기본요소 중 구동부에 속하는 것은?
① 여과기
② 애프터 쿨러
③ 실린더
④ 루브리 케이터
22.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깨끗이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① 쿠션 장치
② 슬리브 실린더
③ 로드 와이퍼 시일
④ 피스톤 행정 제한 장치
23. 유압제어밸브 중 출구가 고압측 입구에 자동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저압측 입구를 닫는 작용을 하는 밸브는?
① 셔틀 밸브
② 셀렉터 밸브
③ 체크 밸브
④ 바이패스 밸브
24. 검출용 스위치 중 무접촉형 스위치는?
① 광전 스위치
② 리밋 스위치
③ 압력 스위치
④ 마이크로 스위치
25. 시퀀스도를 그리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원 모선은 상하 또는 좌우에 쓴다.
② 아래(오른쪽) 제어 모선에 전등을 비롯한 부하를 그린다.
③ 위(왼쪽) 제어 모선에 누름 버튼 스위치, 감지기 등을 그린다.
④ 교류전원은 P(+), N(-), 직류전원은 (R), (T) 등으로 표시한다.
26. 부하가 저항만으로 이루어진 교류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 관계는?
① 전류는 전압과 동상이다.
②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90° 늦다.
③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90° 앞선다.
④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180° 늦다.
27.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방향을 바꾸기 위한 조치로 옳은 것은?
① 전원의 주파수 변환
② 전동기의 극수 변환
③ 전동기의 Y-△ 변환
④ 전원의 2상 접속 변환
28. 전기적 신호를 파형으로 보면서 관찰하게 만든 전기ㆍ전자계측기는?
① 함수발생기
② 오실로스코프
③ 디지털 멀티미터
④ 진동편형 주파수계
29. 직류 미소전류의 측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직류 전류의 측정에는 주로 가동 철편형 계기가 사용 된다.
② 전류계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고자 하는 회로에 병렬로 연결한다.
③ 전류의 크기가 얼마나 되겠는지를 미리 짐작한 후 예상 값보다 작은 눈금의 전류계를 선택하여야 한다.
④ 전원장치의 (+)극 쪽에 연결된 도선은 전류계의 (+)단자에, (-)극 쪽에 연결된 도선은 전류계의 (-)단자에 연결한다.
30. 저항 R인 전선의 길이를 2배로 하고, 단면적은 1/2로 변화하였을 때의 저항은 얼마인가?
① 1/2 R
② 2R
③ 4R
④ 8R
31. 전동기의 정ㆍ운전회로에서 다른 계전기의 동시동작을 금지시키는 회로는?
① 비반전 회로
② 정지우선회로
③ 인터록 회로
④ 기동우선회로
32. 도체의 저항값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전압에 비례하고, 전류와는 반비례한다.
② 전류에 비례하고, 전압과는 반비례한다.
③ 도체의 고유저항에 비례하고, 길이에 반비례한다.
④ 도체의 고유저항에 반비례하고, 길이에 비례한다.
33. 직류발전기의 주요 부분 중 기전력이 유도되는 부분은?
① 계자
② 브러시
③ 전기자
④ 정류자
34. 일반적으로 제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척도로 틀린 것은?
① 10 : 1
② 5 : 1
③ 3 : 1
④ 2 : 1
35. 제3각법 정투상도에서 저면도의 배치 위치로 옳은 것은?
① 정면도의 아래쪽
② 정면도의 오른쪽
③ 정면도의 위쪽
④ 정면도의 왼쪽
36. 치수에 사용하는 기호와 그 설명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정사각형의 변 - □
② 구의 반지름 - R
③ 지름 - ø
④ 45° 모따기 - C
37. 기계재료 기호 SM 15CK에서 “15”가 의미하는 것은?
① 침탄 깊이
② 최저 인장강도
③ 탄소 함유량
④ 최대 인장강도
38. 평 벨트와 비교한 V 벨트 전동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설치면적이 넓어 큰 공간이 필요하다.
② 비교적 작은 장력으로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③ 운전이 정숙하다.
④ 마찰력이 평 벨트보다 크고 미끄럼이 적다.
39. 두 물체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결합하는데 사용하는 볼트는?
① 기초볼트
② 아이볼트
③ 나비볼트
④ 스테이볼트
40. 축이 회전하는 중에 임의로 회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은?
① 커플링
② 스플라인
③ 크랭크
④ 클러치
41. 고정 원판식 코일에 전류를 통하면, 전자력에 의하여 회전 원판이 잡아 당겨져 브레이크가 걸리고, 전류를 끊으면 스프링 작용으로 원판이 떨어져 회전을 계속하는 브레이크는?
① 밴드 브레이크
② 디스크 브레이크
③ 전자 브레이크
④ 블록 브레이크
42. 기계요소 부품 중에서 직접 전동용 기계요소에 속하는 것은?
① 벨트
② 기어
③ 로프
④ 체인
43. 너트의 밑면에 넓은 원형 플랜지가 붙어있는 너트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① 와셔붙이 너트
② 육각너트
③ 판 너트
④ 캡 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