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본문 바로가기

회차별문제풀기

1. 펌프의 토출 압력이 높아질 때 체적 효율과의 관계로 옳은 것은?

효율이 증가한다.

효율은 일정하다.

효율이 감소한다.

효율과는 무관하다.

2. 필터를 설치할 때 체크 밸브를 병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체크 밸브를 사용하는 이유로 알맞은 것은?

기름의 충만

역류의 방지

강도의 보강

눈막힘의 보완

3. 제어작업이 주로 논리제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AND, OR, NOT, 플립플롭 등의 기본논리 연결을 표시하는 기호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논리도

제어선도

회로도

변위단계선도

4. 유압회로에서 회로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밸브는?

체크 밸브

릴리프 밸브

유압 펌프

솔레노이드 밸브

5. 다음 중 공압 센서로 검출할 수 없는 것은?

물체의 유무

물체의 위치

물체의 재질

물체의 방향 변위

6. 습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건조공기 중량에 대한 수증기의 중량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포화습도

상대습도

평균습도

절대습도

7. 공압장치의 공압 밸브 조작방식이 아닌 것은?

수동조작방식

래치조작방식

전자조작방식

파일럿조작방식

8. 공압장치에 사용되는 압축공기 필터의 공기여과 방법으로 틀린 것은?

가열하여 분리하는 방법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

흡습제를 사용해서 분리하는 방법

충돌판에 닿게하여 분리하는 방법

9. 공기압 실린더의 지지형식이 아닌 것은?

풋형

플랜트형

플랜지형

트러니언형

10. 공기압축기를 작동원리에 따라 분류할 때 용적형 압축기가 아닌 것은?

축류식

피스톤식

베인식

다이어프램식

11. 공기압 회로에서 압축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밸브로서,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고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않는 밸브는?

체크 밸브

시퀀스 밸브

셔틀 밸브

급속배기 밸브

12. 다음 중 공기압 장치의 기본시스템이 아닌 것은?

유압펌프

압축공기 조정장치

공압 제어밸브

압축공기 발생장치

13. 일정량 액체가 채워져 있는 용기의 밑면적이 받는 압력은?

정압

절대압력

대기압

게이지압력

14. 유압시스템의 최고 압력을 설정할 수 있는 밸브는?

감압 밸브

방향 제어 밸브

언로딩 밸브

압력 릴리프 밸브

15. 실린더가 전진운동을 완료하고 실린더 측에 일정한 압력이 성된 후에 후진운동을 하는 경우처럼 스위칭 작용에 특별한 압력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하는 밸브는?

시퀀스 밸브

3/2way 방향 제어 밸브

급속 배기 밸브

4/2way 방향 제어 밸브

16. 회로 중의 공기압력이 상승해 갈 때나 하강해 갈 때에 설정된 압력이 되면 전기 스위치가 변환되어 압력 변화를 전기신호로 나타나게 한다. 이러한 작동을 하는 기기는?

압력스위치

릴리프 밸브

시퀀스 밸브

언로드 밸브

17. 유압ㆍ공기압 도면기호(KS B 0054)의 기호 요소 중 1점 쇄선의 용도는?

주관로

포위선

계측기

회전이음

18. 작동유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압축성일 것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열을 방출시킬 수 있어야 할 것

기름 속의 공기를 빨리 분리시킬 수 있을 것

19. 유압ㆍ공기압 도면기호 (KS B 0054)의 기호 요소 중 정사각형의 용도가 아닌 것은?

필터

피스톤

주유기

열교환기

20. 복동 실린더의 미터-아웃 방식에 의한 속도제어회로는?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

공급과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모두 조절하는 방식

전진 시에는 공급유체를 후진 시에는 배출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

21. 압력제어 밸브의 핸들을 돌렸을 때 회전각에 따라 공기 압력이 원활하게 변화하는 특성은?

유량 특성

릴리프 특성

재현 특성

압력조정 특성

22. 압축공기에 비하여 유압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확성

비압축성

배기성

힘의 강력성

23. 유압회로에서 유압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높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응답성이 저하된다.

동력손실이 커진다.

열 발생의 원인이 된다.

관내 저항에 의한 압력이 저하된다.

24. 유압 작동유의 적절한 점도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 발생되는 현상이 아닌 것은?

동력손실 증대

마찰 부분 마모 증대

내부 누설 및 외부 누설

녹이나 부식 발생의 억제

25. 평형 3상 회로에서 △결선의 3상 전원 중 2개 상의 전원만을 이용하여 3상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때 사용되는 결선은?

Y결선

△결선

V결선

Z결선

26. 다음 중 건식정류기(금속정류기)가 아닌 것은?

셀렌정류기

실리콘정류기

회전변류기

아산화동정류기

27. 다음 중 측정 중 또는 측정방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가 아닌 것은?

우연오차

과실오차

계통오차

정밀오차

28. 직류기의 손실 중 전기자 철심 안에서 자속이 변할 때 철심부에 생기는 손실로서, 히스테리시스손, 와류손 등으로 구분되는 것은?

동손

철손

기계손

표류부하손

29. 서보모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저속회전이 쉽다.

급가감속이 어렵다.

정역회전이 가능하다.

저속에서 큰 토크를 얻을 수 있다.

30. 단상 유도전동기가 산업 및 가정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직류전원을 생활 주변에서 쉽게 얻을 수 있다.

전동기의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적고 튼튼하다.

작은 동력을 필요로 하며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

취급과 운전이 쉬워 다른 전동기에 비해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31. 기계제도에서 척도 및 치수 기입법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치수는 되도록 주투상도에 집중하여 기입한다.

치수는 특별한 명기가 없는 한 제품의 완성치수이다.

현의 길이를 표시하는 치수선은 동심 원호로 표시한다.

도면에 NS로 표시된 것은 비례척이 아님을 나타낸 것이다.

32. 선의 종류에 의한 용도 중 가는 실선으로 표현해야 하는 선으로 틀린 것은?

치수선

중심선

지시선

외형선

33. 기어에서 이 끝 높이(Addendum)가 의미하는 것은?

두 기어의 이가 접촉하는 거리

이뿌리원부터 이끝원까지의 거리

피치원에서 이뿌리원까지의 거리

피치원에서 이끝원까지의 거리

34. 너트의 풀림 방지법이 아닌 것은?

턴 버클에 의한 방법

자동 죔 너트에 의한 방법

분할 핀에 의한 방법

로크 너트에 의한 방법

35. 1/100의 기울기를 가진 2개의 테이퍼 키를 한 쌍으로 하여 사용하는 키는?

원뿔 키

둥근 키

접선 키

미끄럼 키

36. 체결용 기계요소가 아닌 것은?

나사

브레이크

채점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가로수등대길 2200225500-205
Tel 02-0000-0000 Fax 02-0000-0000
Copyright ⓒ item.bumup.net.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