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1. 다음 중 실린더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밸브는?
① AND 밸브
② 3/2-Way 밸브
③ 압력 시퀀스 밸브
④ 일방향 유량제어 밸브
2. 공유압 변환기를 에어 하이드로 실린더와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열원의 가까이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② 공유압 변환기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한다.
③ 에어 하이드로 실린더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한다.
④ 작동유가 통하는 배관에 누설, 공기 흡입이 없도록 밀봉을 철저히 한다.
3. 공압 실린더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밸브의 명칭은 무엇인가?
① 시퀀스 밸브
② 무부하 밸브
③ 압력 스위치
④ 교밸브
4. 자기 현상을 이용한 스위치로 빠른 전환 사이클이 요구될 때 사용되는 스위치는?
① 압력 스위치
② 전기 리드 스위치
③ 광전 스위치
④ 전기 리밋 스위치
5. 공압 밸브에 부착되어 있는 소음기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배기속도를 빠르게 한다.
② 공압 작동부의 출력이 커진다.
③ 공압 기기의 에너지 효율이 좋아진다.
④ 압축공기 흐름에 저항이 부여되고 배압이 생긴다.
6. 연속적으로 공기를 빼내는 공기 구멍을 나타내는 기호는?
① ②
③
④
7. 공기 청정화 장치로 이용되는 공기 필터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압축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용한다.
② 압축공기는 필터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물과 오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③ 투명의 수지로 되어 있는 필터통은 가정용 중성세제로 세척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④ 필터에 의하여 걸러진 응축물은 필터통에 꽉 채워져 있어야 추가적인 이물질 공급이 차단되어 효율적이다.
8. 유압 탱크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① 필요한 기름의 양을 저장할 수 있을 것
② 복귀관 측과 흡입관 측 사이에 격판을 설치할 것
③ 펌프의 출구 측에 스트레이너가 설치되어 있을 것
④ 적당한 크기의 주유구와 배유구가 설치되어 있을 것
9. 공압 실린더나 공압 탱크의 공기를 급속히 방출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공압 실린더 속도를 증가킬 필요가 있을때 사용되는 밸브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2압 밸브
② 셔틀 밸브
③ 체크 밸브
④ 급속 배기 밸브
10. 접속된 관로를 나타내는 기호는?
① ②
③
④
11. 루브리케이터(Lubricator)에 사용되는 적정한 윤활유는?
① 기계유 1종(ISO VG 32)
② 터빈유 1종, 2종(ISO VG 32)
③ 그리스유 3종, 4종(ISO VG 32)
④ 스핀들유 3종, 4종(ISO VG 32)
12. 유압펌프의 성능을 표현하는 것으로 단위시간당 에너지를 의미하는 것은?
① 동력
② 전력
③ 항력
④ 추력
13. 회로설계 시 주의하여야 할 부하 중 과주성 부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음의 부하이다.
② 저항성 부하이다.
③ 운동량을 증가시킨다.
④ 액추에이터의 운동방향과 동일하게 작용한다.
14. 전기제어의 동작 상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기의 미소 시간 동작을 위해 조작 동작되는 것을 조깅이라 한다.
② 계전기 코일에 전류를 흘려 자화 성질을 얻게 하는 것을 여자라 한다.
③ 계전기 코일에 전류를 차단하여 자화 성질을 잃게 하는 것을 소자라 한다.
④ 계전기가 소자된 후에도 동작기능이 유효하게 하는 것을 인터록이라 한다.
15. 다음 중 공압 모터의 장점인 것은?
① 배기음이 작다.
②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다.
③ 폭발의 위험성이 거의 없다.
④ 공기의 압축성에 의해 제어성이 우수하다.
16. 유압펌프의 동력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힘×거리
② 압력×유량
③ 질량×가속도
④ 압력×수압면적
17. 유압실린더가 중력으로 인하여 제어속도 이상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는?
① 감압 밸브
② 시퀀스 밸브
③ 무부하 밸브
④ 카운터밸런스 밸브
18. 실린더 로드의 지름을 크게 하여 부하에 대한 위험을 줄인 실린더는?
① 램형 실린더
② 탠덤 실린더
③ 다위치 실린더
④ 텔레스코프 실린더
19. 일의 3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크기
② 속도
③ 형상
④ 방향
20. 유압 제어 밸브 중 회로압이 설정압을 넘으면 막이 유체 압에 의해 파열되어 압유를 탱크로 귀환시키고 동시에 압력상승을 막아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기기는?
① 유체 퓨즈
② 압력 스위치
③ 감압 밸브
④ 릴리프 밸브
21. 압력의 크기에 의해 제어되거나 압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① 솔레노이드 밸브
② 방향 제어 밸브
③ 압력 제어 밸브
④ 유량 제어 밸브
22. 피스톤 로드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실린더의 양측으로 뻗은 1쌍의 원통 모양의 피벗으로 지지된 공압 실린더의 지지형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풋형
② 클래비스형
③ 용접형
④ 트러니언형
23. 다음 중 공기압 발생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장치는?
① 송풍기
② 진공펌프
③ 압축기
④ 공압모터
24. 유압 실린더나 유압 모터의 작동 방향을 바꾸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회로 내의 유체 흐름의 통로를 조정하는 것은?
① 체크 밸브
② 유량 제어 밸브
③ 압력 제어 밸브
④ 방향 제어 밸브
25. 공압 장치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용 에너지를 쉽게 구할 수 있다.
② 압축성 에너지이므로 위치 제어성이 좋다.
③ 힘의 증폭이 용이하고 속도조절이 간단하다.
④ 동력의 전달이 간단하며 먼 거리 이송이 쉽다.
26. 공압 시스템의 사이징 설계조건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반복 횟수
② 부하의 형상
③ 부하의 중량
④ 실린더의 행정거리
27. 백열전구를 스위치로 점등과 소등을 하는 것은 무슨 제어라고 하는가?
① 자동제어
② 정성적 제어
③ 되먹임 제어
④ 정량적 제어
28. 직류 분권전동기의 속도제어방법이 아닌 것은?
① 계자 제어
② 저항 제어
③ 전압 제어
④ 주파수 제어
29. 직류 전동기가 기동하지 않을 때, 고장의 원인으로 보기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과부하
② 제어기의 양호
③ 퓨즈의 용단
④ 계자권선의 단선
30. 기계설비조정을 위하여 순간적으로 전동기를 시동ㆍ정지시킬 때 이용하는 회로는?
① 정역운전
② 리액터 가동
③ 현장ㆍ원격제어
④ 촌동운전(미동, Jog)
31. 교류 고전압 측정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① 진동 검류계
② 계기용 변압기(PT)
③ 켈빈 더블 브리지
④ 계기용 변류기(CT)
32. 평형 3상 Y 결선의 상전압(VP)와 선간전압(VI)과의 관계는?
① VP=VI
② VP=√3VI
③ VP=3VI
④
33. 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장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무슨 법칙인가?
① 렌츠의 법칙
② 플레밍의 왼손 법칙
③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④ 앙페르의 오른나사 법칙
34. 교류회로에서 위상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전압과 전류의 실횻값을 곱한 값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임피던스
② 피상 전력
③ 무효 전력
④ 유효 전력
35. 다음 중 직류기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① 계자
② 정류자
③ 콘덴서
④ 전기자
36. 관용 테이퍼 나사 중 테이퍼 수나사를 나타내는 표시 기호로 옳은 것은?
① G
② R
③ Rc
④ Rp
37. 도면에 표제란과 부품란이 있을 때, 부품란에 기입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제도 일자
② 부품명
③ 재질
④ 부품번호
38. 곡면과 곡면, 또는 곡면과 평면 등과 같이 두 입체가 만나서 생기는 경계선을 나타내는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전개선
② 상관선
③ 현도선
④ 입체선
39. 다음 제동장치 중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을 브레이크 블록으로 누르게 한 것은?
① 밴드 브레이크
② 원판 브레이크
③ 블록 브레이크
④ 원추 브레이크
40. 너트 위쪽에 분할 핀을 끼워 풀리지 않도록 하는 너트는?
① 원형 너트
② 플랜지 너트
③ 홈붙이 너트
④ 슬리브 너트
41. 두 축이 나란하지도 교차하지도 않으며, 베벨기어의 축을 엇갈리게 한 것으로, 자동차의 차동기어 장치의 감속기어로 사용되는 것은?
① 베벨기어
② 웜기어
③ 베벨헬리컬기어
④ 하이포이드기어
42. 원형나사 또는 둥근나사라고도 하며, 나사산의 각(a)은 30°로 산마루와 골이 둥근 나사는?
① 톱니나사
② 너클나사
③ 볼나사
④ 세트 스크루
43. 나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나사에서 피치가 같으면 줄 수가 늘어나도 리드는 같다.
② 미터계 사다리꼴 나사산의 각도는 30° 이다.
③ 나사에서 리드라 하면 나사축 1회전당 전진하는 거리를 말한다.
④ 톱니나사는 한방향으로 힘을 전달시킬 때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