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1. 브레이크의 축방향에 압력이 작용하는 브레이크는?
① 원판 브레이크
② 복식 블록 브레이크
③ 밴드 브레이크
④ 드럼 브레이크
2. 축을 설계할 때 고려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축의 강도
② 응력 집중
③ 축의 변경
④ 축의 용도
3. 회전수를 적게하고 빨리 조이고 싶을 때 가장 유리한 나사는?
① 1줄 나사
② 2줄 나사
③ 3줄 나사
④ 4줄 나사
4. 벨트의 종류에서 인장강도가 가장 큰 것은?
① 가죽 벨트
② 섬유 벨트
③ 고무 벨트
④ 강철 벨트
5. 회전축을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에서 이 축과 베어링에 의하여 받쳐지고 있는 축 부분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리테이너
② 저널
③ 볼
④ 롤러
6. 하중을 분류할 때 분류 방법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① 인장 하중
② 굽힘 하중
③ 충격 하중
④ 비틀림 하중
7. 동기 회로에서 2개의 실린더가 같은 속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해 주는 밸브는?
① 체크 밸브
② 분류 밸브
③ 바이패스 밸브
④ 스톱 밸브
8. 다음 중 유압 장치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① 기름 탱크
② 유압 모터
③ 제어 밸브
④ 공기 압축기
9. 다음 중 실린더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밸브는?
① 일방향 유량제어 밸브
② 3/2way 밸브
③ AND 밸브
④ 압력 시퀀스밸브
10. 작동유의 유온이 적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때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윤활 상태의 향상
② 기름의 누설
③ 마찰 부분의 마모 증대
④ 펌프 효율 저하에 따른 온도 상승
11. 공압 센서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광센서
② 공기 배리어
③ 반향 감지기
④ 배압 감지기
12. 응축수 배출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플로트식(Float Type)
② 파일럿식(Pilot Type)
③ 미립자 분리식(Mist Separator Type)
④ 전동기 구동식(Motor Drive Type)
13. 왕복형 공기 압축기에 대한 회전형 공기 압축기의 특징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진동이 크다.
② 고압에 적합하다.
③ 소음이 적다.
④ 공압 탱크를 필요로 한다.
14. 공압 실린더의 속도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밸브는?
① 교축 밸브
② 속도제어 밸브
③ 급속배기 밸브
④ 배기교축 밸브
15. 유압 펌프가 갖추어야 할 특징 중 옳은 것은?
① 토출량의 변화가 클 것
② 토출량의 맥동이 적을 것
③ 토출량에 따라 속도가 변할 것
④ 토출량에 따라 밀도가 클 것
16. 전기적인 입력신호를 얻어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기기로 반복동작을 할 수 있는 기기는?
① 압력 스위치
② 전자 릴레이
③ 시퀀스 밸브
④ 자동 밸브
17. 다음 중 복동실린더의 공기 소모량을 계산할 때 고려하여야 할 대상이 아닌 것은?
① 압축비
② 분당 행정수
③ 피스톤 직경
④ 배관의 직경
18. 1차측 공기압력이 변화하여도 2차측 공기압력의 변동을 최저로 억제하여 안정된 공기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밸브는?
① 방향제어 밸브
② 감압 밸브
③ OR 밸브
④ 유량제어 밸브
19. 베르누이의 정리에서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 따라 유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아닌 것은?
① 위치 에너지
② 마찰 에너지
③ 운동 에너지
④ 압력 에너지
20. 유압기기에서 포트(Port)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유압 밸브가 가지고 있는 기능의 수
② 관로와 접촉하는 전환 밸브의 접촉구의 수
③ R. S. T의 기호로 표시된다.
④ 밸브배관의 수는 포트수보다 1개 적다.
21. 다음 중 드레인 배출기 붙이 필터를 나타내는 기호는?
① ②
③
④
22. 다음 중 유압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① 직선운동에만 사용한다.
② 유온의 변화와 속도는 무관하다.
③ 무단변속이 가능하다.
④ 원격제어가 불가능하다.
23. 유압장치에서 작동유를 통과, 차단시키거나 또는 진행 방향을 바꾸어주는 밸브는?
① 유압차단 밸브
② 유량제어 밸브
③ 방향전환 밸브
④ 압력제어 밸브
24. 다음 유압 기호 중 파일럿 작동, 외부 드레인형의 감압밸브에 해당하는 것은?
① ②
③
④
25. 공압시간 지연 밸브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공기저장 탱크
② 시퀀스 밸브
③ 속도제어 밸브
④ 3포트 2위치 밸브
26. 2개의 안정된 출력 상태를 가지고, 입력 유무에 관계없이 직전에 가해진 압력의 상태를 출력 상태로서 유지하는 회로는?
① 부스터 회로
② 카운터 회로
③ 레지스터 회로
④ 플립플롭 회로
27. 공압 모터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① 에너지 변환 요율이 높다.
② 과부하 시 위험성이 크다.
③ 배기음이 적다.
④ 공기의 압축성에 의해 제어성은 그다지 좋지 않다.
28. 다음 중 액추에이터 가동 시 부하에 해당하는 것으로 맞는 것은?
① 정지 마찰
② 가속 부하
③ 운동 마찰
④ 과주성 부하
29. 유도전동기의 슬립 S = 1일 때의 회전자의 상태는?
① 발전기 상태이다.
② 무구속 상태이다.
③ 동기속도 상태이다.
④ 정지 상태이다.
30. 고전압을 직접 전압계로 측정하는 것은 계기의 정격과 절연 때문에 불가능하며, 또한 고압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도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계기는?
① 단로기
② 발전기
③ 전동기
④ 계기용 변압기
31. 기동 시 토크가 큰 것이 특징이며 전동차나 크레인과 같이 기동 토크가 큰 것을 요구하는 것에 적합한 전동기는?
① 타여자 전동기
② 분권 전동기
③ 직권 전동기
④ 복권 전동기
32. 전기량(Q)과 전류(I), 시간(t)의 상호 관계식이 바른 것은?
① Q=It
② q=I/t
③ Q=t/I
④ I=Q
33. 기기의 동작을 서로 구속하며, 기기의 보호와 조작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회로는?
① 인터록 회로
② 자기유지 회로
③ 지연복귀 회로
④ 지연동작 회로
34.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를 설명한 것은?
①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되돌려 제어한다.
② 목표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③ 미리 정해놓은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제어한다.
④ 목표값과 결과치를 비교하여 제어한다.
35. 도면에서 표제란과 부품란으로 구분할 때, 부품란에 기입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품명
② 재질
③ 수량
④ 척도
36. 한쪽 단면도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대칭형의 물체를 중심선을 경계로 하여 외형도의 절반과 단면도의 절반을 조합하여 표시한 것이다.
② 부품도의 중앙 부위 전후를 절단하여, 단면을 90° 회전시켜 표시한 것이다.
③ 도형 전체가 단면으로 표시된 것이다.
④ 물체의 필요한 부분만 단면으로 표시한 것이다.
37. 리벳의 호칭이 “KS B 1102 둥근 머리 리벳 18X40 SV330"으로 표시된 경우 숫자‘40’의 의미는?
① 리벳의 수량
② 리벳의 구멍치수
③ 리벳의 길이
④ 리벳의 호칭지름
38. 도면의 같은 장소에 선이 겹칠 때 표시되는 우선순위가 가장 먼저인 것은?
① 숨은선
② 절단선
③ 중심선
④ 치수 보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