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1. 공압탱크의 크기를 결정할 때 안전계수는 대략 얼마로 하는가?
① 0.5
② 1.2
③ 2.5
④ 3
2. 압력보상형 유량제어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실린더 등의 운동속도와 힘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밸브이다.
② 밸브 입구와 출구의 압력 차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밸브이다.
③ 체크 밸브와 교축 밸브로 구성되어 한 방향으로 유량을 제어한다.
④ 유압 실린더 등의 이송속도를 부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할 수 있다.
3. 유압장치의 작동이 불량하다. 그 원인으로 잘못된 것은?
① 무부하 상태에서 작동될 때
② 펌프의 회전이 반대일 때
③ 릴리프 밸브에 결함이 있을 때
④ 압축라인에서 오일이 누출될 때
4. 공압 시퀀스 제어 회로의 운동 선도 작성방법이 아닌 것은?
① 운동의 서술적 표현법
② 테이블 표현법
③ 기호에 의한 간략적 표시법
④ 작동시간 표현법
5. 두 개의 강관을 평행(일직선상)으로 연결하고자 할 때 사용 되는 관 이음쇠는?
① 유니언
② 엘보
③ 티
④ 크로스
6. 급격하게 피스톤에 공기압력을 작용시켜서 실린더를 고속으로 움직여 그 속도 에너지를 이용하는 공압 실린더는?
① 서보 실린더
② 충격 실린더
③ 스위치 부착 실린더
④ 터보 실린더
7. 유압펌프 중에서 회전사판의 경사각을 이용하여 토출량을 가변할 수 있는 펌프는?
① 베인 펌프
② 액시얼 피스톤 펌프
③ 레이디얼 피스톤 펌프
④ 스크루 펌프
8. 광전 스위치를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① 레벨 검출, 특정 표시 식별 등에 많이 이용되며, 포토센서, 광학적 센서라고도 한다.
② 종류에는 투과형, 미러 반사형, 확산 반사형이 있다.
③ 미러 반사형 광전 스위치는 투광부와 수광부가 각각 분리되어 있다.
④ 투과형은 투광기와 수광기를 동일 축선상에 위치시켜 사용하여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9. 유압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낮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캐비테이션이 발생한다.
② 마모나 눌러붙음이 발생한다.
③ 펌프의 용적효율이 저하된다.
④ 펌프에서의 내부누설이 증가한다.
10. 공기탱크와 공기압 회로 내의 공기 압력이 규정 이상의 공기 압력으로 될 때에 공기 압력이 상승하지 않도록 대기와 다른 공기압 회로 내로 빼내주는 기능을 갖는 밸브는?
① 감압 밸브
② 릴리프 밸브
③ 시퀀스 밸브
④ 압력 스위치
11. 유압 작동유의 일반적인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압축성이어야 한다.
② 화학적으로 안정하여야 한다.
③ 방열성이 좋아야 한다.
④ 녹이나 부식 발생이 방지되어야 한다.
12. 증압기의 사용목적으로 적합한 것은?
① 속도의 증감
② 에너지의 저장
③ 압력의 증대
④ 보조 탱크의 기능
13. 밸브의 작업 포트를 표현하는 기호는 무엇인가?
① A
② P
③ Z
④ R
14. 공기 압축기를 작동원리에 의해 분류하였을 때 터보형에 해당되는 압축기는 어느 것인가?
① 원심식
② 베인식
③ 피스톤식
④ 다이어프램식
15. 공압제어 밸브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압력제어 밸브
② 방향제어 밸브
③ 유량제어 밸브
④ 온도제어 밸브
16. 유압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부는?
① 동력원
② 제어부
③ 구동부
④ 배관부
17. 유압 실린더의 중간 정지회로에 적합한 방향제어밸브는?
① 3/2way 밸브
② 4/3way 밸브
③ 4/2way 밸브
④ 2/2way 밸브
18. 유온 상승 방지 및 펌프의 동력절감을 위해 사용하는 회로는?
① 감압 회로
② 감속 회로
③ 시퀀스 회로
④ 무부하 회로
19. 압력의 원격조작이 가능한 밸브는?
① 유량조정 밸브
② 파일럿 작동형 릴리프 밸브
③ 셔틀 밸브
④ 감압 밸브
20. 대기의 성분 중 가장 많은 것부터 나열한 것은?
① 산소 → 질소 → 아르곤 → 이산화탄소
② 산소 → 아르곤 → 질소 → 이산화탄소
③ 질소 → 이산화탄소 → 산소 → 아르곤
④ 질소 → 산소 → 아르곤 → 이산화탄소
21. 부하의 운동 에너지가 완충 실린더의 흡수 에너지보다 클 때에 행정 끝단에 충격에 의한 파손이 우려되어 사용되는 기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유량조절밸브
② 완충기
③ 윤활기
④ 필터
22. 피스톤 모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사용압력이 높다.
② 출력 토크가 크다.
③ 구조가 간단하다.
④ 체적효율이 높다.
23. 공압 실린더의 배출저항을 적게 하여 운동 속도를 빠르게 하는 밸브로 맞는 것은?
① 급속배기 밸브
② 시퀀스 밸브
③ 언로드 밸브
④ 카운터 밸런드 밸브
24. 전원이 교류가 아닌 직류로 주어져 있을 때에 어떤 직류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크기가 다른 직류를 얻기 위한 회로는?
① 인버터 회로
② 초퍼 회로
③ 사이리스터 회로
④ 다이오드 정류회로
25. 교류회로에서 직렬공진 시 최대가 되는 것은?
① 전 압
② 전 류
③ 저 항
④ 임피던스
26. 유도전동기의 슬립 s = 1 일 때의 회전자 상태는?
① 발전기 상태이다.
② 무구속 상태이다.
③ 동기속도 상태이다.
④ 정지 상태이다.
27.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적고 취급이 용이하며, 공장의 동력용 또는 세탁기나 냉장고뿐만 아니라 펌프, 재봉틀 등 많은 가전제품의 동력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고 있는 것은?
① 변압기
② 스테핑 모터
③ 유도 전동기
④ 제어 정류기
28. 전류 측정 시 안전 및 유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측정 전 날씨의 조건(습도)을 확인한다.
② 직류 전류계를 사용할 때 전원의 극성을 틀리지 않도록 접속한다.
③ 회로 연결 시 그 접속에 따른 접촉 저항이 작도록 해야한다.
④ 전류계의 내부저항이 작을수록 회로에 주는 영향이 작고, 그 측정오차도 작다.
29. 옥내 전등선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는데 가장 적당한 측정기는?
① 휘트스톤 브리지
② 켈빈 더블 브리지
③ 메거
④ 전위차계
30. 직류기의 구조 중 정류자면에 접촉하여 전기자 권선과 외부 회로를 연결시켜 주는 것은?
① 브러시(Brush)
② 정류자(Commutator)
③ 전기자(Armature)
④ 계자(Field Magnet)
31. 교류에서 1초 동안에 반복되는 사이클의 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주파수
② 전력
③ 각속도
④ 주기
32. 직류 전동기를 급정지 또는 역전시키는 전기 제동 방법은?
① 플러깅
② 겨자제어
③ 워드 레오나드 방식
④ 일그너 방식
33. 전력(Electric Power)을 맞게 설명 한 것은?
①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말한다.
② 전원의 전기적인 압력을 말한다.
③ 단위 시간 동안에 전하가 하는 일을 말한다.
④ 전기가 할 수 있는 힘을 말한다.
34. 기계제도에서 제3각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눈→투상면→물체의 순으로 나타낸다.
② 평면도는 정면도의 위에 그린다.
③ 배면도는 정면도의 아래에 그린다.
④ 좌측면도는 정면도의 좌측에 그린다.
35. 도면에서 특정 치수가 비례척도가 아닌 경우를 바르게 표기한 것은?
① (24)
② 24
③ 24
④ 24
36. 기계제도에서 물체의 투상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주투상도는 대상물의 모양 및 기능을 가장 명확하게 표시하는 면을 그린다.
②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주투상도를 보충하는 다른 투상도는 되도록 많이 그린다.
③ 특별한 이유가 없는 경우 대상물을 가로길이로 놓은 상태로 그린다.
④ 서로 관련되는 그림의 배치는 되도록 숨은선을 쓰지 않도록 한다.
37. 스프링의 용도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충격 완화용
② 무게 측정용
③ 동력 전달용
④ 에너지 축적용
38. 재료의 전단 탄성 계수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굽힘 응력/전단 변형률
② 전단 응력/수직 변형률
③ 전단 응력/전단 변형률
④ 수직 응력/전단 변형률
39. 직접전동 기계요소인 홈 마찰차에서 홈의 각도(α)는?
① 2α = 10 ~ 20°
② 2α = 20 ~ 30°
③ 2α = 30 ~ 40°
④ 2α = 40 ~ 50°
40. 축계 기계요소에서 레이디얼 하중과 스러스트 하중을 동시에 견딜 수 있는 베어링은?
① 니들 베어링
② 원추 롤러 베어링
③ 원통 롤러 베어링
④ 레이디얼 볼 베어링
41. 체결하려는 부분이 두꺼워서 관통구멍을 뚫을 수 없을 때 사용되는 볼트는?
① 탭 볼트
② T홈 볼트
③ 아이 볼트
④ 스테이 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