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별문제풀기
1. 유압에 비하여 공기압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안전성이 우수하다.
② 에너지 효율성이 좋다.
③ 에너지 축적이 용이하다.
④ 신속성(동작속도)이 좋다.
2. 오일 탱크 내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① 가열기
② 분리판
③ 스트레이너
④ 에어 브리더
3. 공기압 회로에서 실린더나 기타의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키는 밸브는?
① 압력제어 밸브
② 유량제어 밸브
③ 방향제어 밸브
④ 릴리프 밸브
4. 과도적으로 상승한 압력의 최댓값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배압
② 서지압
③ 맥동
④ 전압
5. 기계적 에너지를 유압 에너지로 변환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부분은?
① 유압 펌프
② 유량 밸브
③ 유압 모터
④ 유압 액추에이터
6. 유압회로에서 어떤 부분 회로의 압력을 주회로의 압력보다 저압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밸브는?
① 배압 밸브
② 감압 밸브
③ 압력보상형 밸브
④ 셔틀 밸브
7. 다음의 기호 중 고압실린더의 1방향 속도제어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① ②
③
④
8. 압력의 크기가 변해도 같은 유량을 유지할 수 있는 유량 제어 밸브는?
① 니들 밸브
② 유량분류 밸브
③ 압력보상 유량제어 밸브
④ 스로틀 앤드 체크 밸브
9. 다음의 방향 밸브 중 3개의 작동유 접속구와 2개의 위치를 가지고 있는 밸브는 어느 것인가?
① ②
③
④
10. 공유압 변환기를 에어 하이드로 실린더와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에어 하이드로 실린더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한다.
② 공유압 변환기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한다.
③ 열원의 가까이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④ 작동유가 통하는 배관에 누설, 공기 흡입이 없도록 밀봉을 철저히 한다.
11. 방향전환 밸브의 포핏식이 갖고 있는 특징으로 맞는 것은?
① 이동거리가 짧고, 밀봉이 완벽하다.
② 이물질의 영향을 잘 받는다.
③ 작은 힘으로 밸브가 작동한다.
④ 윤활이 필요하며 수명이 짧다.
12. 다음 중 압력 제어 밸브 및 스위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압력 스위치
② 시퀀스 밸브
③ 릴리프 밸브
④ 유량제어 밸브
13. 공압 실린더의 배출 저항을 작게 하여 운동 속도를 빠르게 하는 밸브의 명칭은?
① 급속 배기 밸브
② 시퀀스 밸브
③ 언로드 밸브
④ 카운터 밸런스 밸브
14. 공압 실린더의 속도를 조정하려 한다. 이때 필요한 밸브는?
① 셔틀제어 밸
② 방향제어 밸브
③ 2압제어 밸브
④ 유량제어 밸브
15. 다음 중 방향제어 밸브에 속하는 것은?
① 미터링 밸브
② 언로딩 밸브
③ 솔레노이드 밸브
④ 카운터 밸런스 밸브
16. 펌프가 포함된 유압유닛에서 펌프 출구의 압력이 상승하지 않는다. 그 원인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릴리프 밸브의 고장
② 속도제어 밸브의 고장
③ 부하가 걸리지 않음
④ 언로드 밸브의 고장
17. 3개의 공압 실린더를 A+, B+, C+, C-, B-의 순서로 제어하는 회로를 설계하고자 할 때, 신호의 중복(트러블)을 피하려면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야 하는가? (단, A, B, C : 공압 실린더, + : 전진동작, - : 후진동작)
① 2
② 3
③ 4
④ 5
18. 유압 액추에이터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펌프
② 유압 실린더
③ 기어 모터
④ 요동 모터
19. 어큐뮬레이터(축압기)의 사용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에너지의 보존
② 유체의 누설 방지
③ 유체의 맥동 감쇠
④ 충격 압력의 흡수
20. 유압에너지가 가진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소형장치로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② 온도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③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④ 공기압보다 작동속도가 늦다.
21. 다음의 공압 실린더 중 다른 실린더에 비하여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은?
① 텔리스코픽 실린더
② 충격 실린더
③ 가변스트로크 실린더
④ 다위치형 실린더
22. 유압실린더에 작용하는 힘을 산출할 때 사용되는 것은?
① 보일의 법칙
② 파스칼의 원리
③ 가속도의 법칙
④ 플레밍의 왼손 법칙
23. 다음 공압 장치의 기본 요소 중 구동부에 속하는 것은?
① 애프터 쿨러
② 여과기
③ 실린더
④ 루브리케이터
24. 구동부가 일을 하지 않아 회로에서 작동유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작동유를 탱크로 귀환시키는 것은?
① AND 회로
② 무부하 회로
③ 플립플롭 회로
④ 압력설정 회로
25. 유압 작동유의 점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① 포아즈
② 디그리
③ 리스크
④ 토크
26. 시퀀스(Sequence)밸브의 정의로 맞는 것은?
① 펌프를 무부하로 하는 밸브
② 동작을 순차적으로 하는 밸브
③ 배압을 방지하는 밸브
④ 감압시키는 밸브
27. 공압 발생 장치의 구성상 필요 없는 장치는?
① 방향제어 밸브
② 공기탱크
③ 압축기
④ 냉각기
28. SCR의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SCR은 교류가 출력된다.
② SCR은 한번 통전하면 게이트에 의해서 전류를 차단할 수 없다.
③ SCR은 정류 작용이 있다.
④ SCR은 교류전원의 위상 제어에 많이 사용된다.
29. 전기기계는 주어진 에너지가 모두 유효한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고 그 중의 일부 에너지가 없어지는 손실이 발생된다. 축과 베어링, 브러시와 정유자 등의 마찰로 인한 손실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등손
② 철손
③ 기계손
④ 표유 부하손
30. 측정 오차를 작게 하기 위한 전류계와 전압계의 내부 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① 전류계, 전압계 모두 큰 내부 저항
② 전류계, 전압계 모두 작은 내부 저항
③ 전류계는 작은 내부 저항, 전압계는 큰 내부 저항
④ 전류계는 큰 내부 저항, 전압계는 작은 내부 저항
31. 전동기 운전 시퀀스 제어 회로에서 전동기의 연속적인 운전을 위해 반드시 들어가는 제어 회로는?
① 인터록
② 지연동작
③ 자기유지
④ 반복동작
32. △결선된 대칭 3상 교류 전원의 선전류는 상전류의 몇 배인가?
① 1/2배
② 1배
③ √2배
④ √3배
33. 백열전구를 스위치로 점등 및 소등하는 것은 무슨 제어라고 하는가?
① 정성적 제어
② 되먹임 제어
③ 정량적 제어
④ 자동 제어
34. 절연 전선에서는 온도가 높게 되면 절연물이 열화 되어 절연 전선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전선에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를 규정해 놓고 있다.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허용 전류
② 합성 전류
③ 단락 전류
④ 내부 전류
35. 교류 전류 중 코일만으로 된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와의 위상은?
① 전압이 90° 앞선다.
② 전압이 90° 뒤진다.
③ 동상이다.
④ 전류가 180° 앞선다.
36. 구동회로에 가해지는 펄스 수에 비례한 회전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특수 전동기는?
① 분권
② 직권
③ 직류 스테핑
④ 타여자
37. 배관의 간략 도시 방법에서 체크 밸브 도시 기호는?
① ②
③
④
38. 치수에 사용하는 기호이다.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정사각형의 변 - □
② 구의 반지름 - R
③ 지름 - ø
④ 45° 모따기 - C
39. 기계제도에서 대상물의 일부를 뗴어낸 경계를 표시하는 데 사용하는 선의 명칭은?
① 가상선
② 피치선
③ 파단선
④ 지시선
40. 다음 KS용접기호 중 플러그 용접 기호는?
① ②
③
④
41. 원형봉에 비틀림 모멘트를 가하면 비틀림이 생기는 원리를 이용한 스프링은?
① 코일 스프링
② 벌류트 스프링
③ 접시 스프링
④ 토션바
42. 링크가 스프로킷 휠에 비스듬히 미끄러져 들어가는 구조로 되어 있어 고속운전 또는 정숙하고 원활한 운전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체인은?
① 롤러 체인
② 핀틀 체인
③ 사이런트 체인
④ 블록 체인
43. 호칭번호가 6208로 표기되어 있는 구름베어링이 있다. 이 표기 중에서 08이 뜻하는 것은?
① 틈새 기호
② 계열 번호
③ 안지름 번호
④ 등급 기호
44. 접촉면의 압력을 p, 속도를v, 마찰계수가 u일 때 브레이크 용량(Brake Capacity)을 표시하는 것은?
① upv
② 1/upv
③ pv/u
④ u/pv
45. 너트(Nut)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핀은?
① 평행 핀
② 분할 핀
③ 테이퍼 핀
④ 스프링 핀
46. 동력전달에 필요한 마찰력을 주기 위하여 정지하고 있을 때 벨트에 장력을 준 상태에서 벨트 풀리에 끼워 접촉면에 알맞은 합력이 작용하도록 하는데 이 장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말기 장력
② 유효 장력
③ 피치 장력
④ 초기 장력
47. 부품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고 구조물 자체를 보강하는 데 사용되는 볼트는?
① 기초 볼트
② 아이 볼트
③ 나비 볼트
④ 스테이 볼트